• 제목/요약/키워드: 청각역치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2초

청각선별을 통과한 주간 보호와 언어재활 서비스 수혜 소아의 가청역치 (Hearing Threshold of Children with Hearing Screening-Passed in Day Care Center and Speech-Language Pathology Clinic)

  • 허승덕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73-278
    • /
    • 2016
  • 청각선별에서 반응 역치는 검사 환경 잡음, 청각기관 생리적 특성, 과도한 음원 노출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 연구 목적은 청각선별을 통과한 소아의 주파수별 가청역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언어치료센터와 지역아동센터에 다니는 3.3세부터 16.3세($9.01{\pm}2.52$) 사이의 110명으로 하였고, 이들의 소아 청각 선별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청각선별은 고막운동성계측(Tympanometry), 등골근반사(acoustic reflex threshold), 자동화 이음향방사(automated otoacoustic emission), 순음청각선별(pure tone screening)을 시행하였다. 대상자들은 모두 청각선별 정상 기준에 포함되었다. 주파수별 가청역치 차이는 반복측정 분산분석 하였다. 결과: 가청역치 평균은 500, 1,000, 2,000, 4,000 Hz의 순서로 우측 귀 $16{\pm}6.49$, $11.5{\pm}4.79$, $6.86{\pm}4.99$, $5.95{\pm}6.65$ dB HL, 좌측 귀 $15.68{\pm}6.01$, $9.95{\pm}5.24$, $5.72{\pm}5.21$, $5.63{\pm}7.04$ dB HL로 각각 관찰되었다. 주파수 사이에는 500Hz와 1,000, 2,000, 4,000 Hz(p=.000), 1,000과 2,000, 4,000 Hz(p=.00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Sedative가 정상청력 성인의 ABR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DATIVES ON AUDITORY BRAINSTEM RESPONSE)

  • 손진호;장원삼;손수준;조태환;성창섭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7년도 제21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7.3-8
    • /
    • 1987
  • 청성뇌간 유발반응이 Juwett 및 Sohmer와 Feinmesser에 의하여 보고된 이래 타각적 청력검사로서 임상적응용에까지 이르렀다. 타각적 청력검사는 반응역치와 청각역치의 오차가 적어야 하며 주파수별로 역치측정이 가능하여야 하며 개인차가 적고 반응의 재현성이 높아야 되며 반응의 판정이 용이해야 함이 필요조건으로서 이러한 조건이 피검자의 수면상태하에서도 충족되어야 한다. 저자들은 정상 성인 청력자를 대상으로 sedation전후의 ABR에 대한 latency 및 amplitude를 중심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edative의 사용에 있어서 amplitude및 latency의 차이는 없었다. 2) Sedative의 사용에는 무관하게 low frequency filter에서 high frequency filter보다 voltage의 유의한 차가 있었다.

  • PDF

표준청력검사와 자기청력검사의 역치차에 관한 고찰 (A STUDY OF THRESHOLD DIFFERENCE BETWEEN CONVENTIONAL AND BEKESY AUDIOMETRY)

  • 이종철;고의병;조병우;전경명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7년도 제21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0.1-10
    • /
    • 1987
  • 표준청각검사와 자기청력검사는 청력역치의 측정으로 난청의 종류를 구별하고 누가현상유무를 판정하며, 사청검사를 할 수 있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표준청력검사는 동일강도의 음을 부여하는 대신 자기청력검사는 음의 증강 및 감약이 계속되는 음을 부여하는 점이 양자의 상이점이다. 이런 차이로 인해 자기청력검사에는 일과성 역치 상승(temporary threshold shift)현상이 일어나 청력 역치가 높을 수 있다. 양자의 역치차가 각 청력군별로 어느 정도차이가 있는가를 관찰할 목적으로 정상청력군 50명 (100이), 전음성 난청군 41명(50이), 감각신경성 난청군 38명(50이)을 대상으로 표준 및 자기청력검사의 기도측정을 실시하여 양 검사의 차를 구하고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1) 정상청력군과 전음성 및 감각신경성 난청군 모두 자기역치가 표준역치 보다 높게 측정되는 경향으로 난청군에서 더욱 높게 측정되었다. 그러나 자기역치가 낮은 예도 많았다. 2) 양 검사의 일치범위를 $\pm$10㏈로 하면 정상 청력군은 94%, 전음성 난청군 85%, 감각신경성 난청군 79%에서 양 검사가 일치하였다. 3) 자기역치에서 표준역치를 추정할 수 있는 범위는 정상군에서는 5~-l0 ㏈, 난청군에서는 5~-15 ㏈ 의 변동폭이었다. 4) 양 검사의 역치차가 $\pm$20 ㏈이상인 예도 많아 양 검사는 서로 독립된 검사라고 생각되었다.

  • PDF

수중소음 관리 기준 설정을 위한 소고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Management Criteria for Underwater Noise)

  • 임대규;신영철;전양배
    • 화약ㆍ발파
    • /
    • 제28권2호
    • /
    • pp.119-132
    • /
    • 2010
  • 각종 토목공사가 수행됨에 유발되는 소음 및 진동에 관한 민원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육상부보안물건에 대한 관리기준과 피해 발생시 분쟁을 해결하는 객관적 기준자료는 다수 확보된 상태이다. 그러나 수중 소음에 관한 객관적 자료나 기준은 부족한 상태이다. 수중 생태의 환경 검토는 국외의 경우 수중소음계를 이용한 수중소음계측 방식 및 계측 결과값에 대한 항목(최대소음레벨, 실효치, 노출소음레벨)별 관리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청각역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관리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수중생태에 관한 연구자료 및 피해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관리기준의 설정이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중 소음 측정 장비를 활용한 합리적인 수중소음 관리기준 설정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굴절교정된 정상안에서 운무 전후에 따른 순음청력역치의 비교 (A Comparison of Pure-Tone Thresholds to the Pre and Post Fogging after Refractive Correction in Normal Eyes)

  • 조수진;주석희;이군자;최인실;임현성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89-93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굴절교정된 정상안에서 운무 전후에 따른 순음청력검사 값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안질환이나 청각질환이 없으며, 교정시력이 1.0이상의 젊은 성인 50명(남자: 30명, 여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력교정 전후의 순음청력역치(pure tone threshold)의 변화를 순음청력검사(pure tone audiometry)를 통해서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결과: 전 주파수 대역에서 운무 후의 순음청력역치가 운무 전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2000 Hz를 제외한 전 주파수 대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측정되었다(p<.05). 저주파수 대역인 250 Hz와 500 Hz에서 각각 6.8${\pm}$8.4 dBHL과 4.3${\pm}$6.6 dBHL로 나타나 다른 주파수 대역에 비해서 그 차이가 크게 나타났고, 중주파수 대역인 2000 Hz에서는 0.8${\pm}$4.5 dBHL로 가장 작게 나타났다. 결론: 굴절교정된 정상인에서 운무 전과 후의 순음청력검사의 역치값이 다르게 나타나 망막상의 선명도와 청각은 서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 결과는 굴절교정과 청각의 상관성을 제공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Guinea Pig에서 Action Potential과 Summating Potential의 정상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NORMAL VALUE OF ACTION POTENTIAL AND SUMMATING POTENTIAL IN GUINEA PIG)

  • 차몽철;윤주헌;정광현;김희남;심윤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7년도 제21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7.2-7
    • /
    • 1987
  • Waver 와 Bray (1930) 가 cochlear microphonic을 처음 발견한 이래 Derbyshire 와 Davis (1935)는 summating potential을 각각 처음 기술하여 이 세가지 전위를 electrocochleogram 이라 칭하였고 이는 감음신경성 난청의 감별진단 및 청각생리연구에 이용되어 왔다. 저자들은 정상 guinea pig 10 마리를 대상으로 DANAC 7E ERA청각계기를 사용하여 정원창에서 action potential과 summating potential을 측정하였으며 주파수에 따른 역치 자극간 간격 및 두 potential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그 역치는 점차 감소하였다. 2) 자극음의 강도와 action potential의 $N_1$ component 진폭은 상호 비례관계를 보여 주었으며 주파수 증가에 따라 $N_1$ component 진폭은 점차 증가하였다. 3) Action potential 의 $N_1$ component latency는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역비례 관계를 보여 주었다. 4) N$_1$ component의 진폭과 자극간 간격(interstimulus interval, ISI)과의 관계는 ISI가 80~160m sec사이에서 plateau를 형성하였다. 5) summating potential은 자극음의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진폭이 증가하였으며 action potential도 증가하였으나, SP/AP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일개 종합병원을 방문한 어선원에서 발생한 소음성 난청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Noise Induced Hearing Loss of Fishermen Visiting a General Hospital)

  • 정유선;김창회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8권1호
    • /
    • pp.41-49
    • /
    • 2023
  • 2022년 11월부터 2023년 2월까지 동국대학교 경주병원 이비인후과 외래를 내원한 환자 중에서 소음성 난청을 가진 어선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소음성 난청을 가진 총 10명의 19개 귀의 청각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모두 60세 이상의 남자였고 소음에 노출된 기간은 평균적으로 38.9 ± 10.8년으로 장기간 소음에 노출되었으나 난청기간은 평균적으로 13.4 ± 4.3년으로 소음노출에 비해서 늦게 난청을 인지하였다. 고음역 평균역치가 저음역 평균역치보다 높지만, 8 kHz에서 하강하는 청력도를 보였고 고음역 평균 청력역치가 75 dB 초과인 경우는 10.5%이나 저음역 평균 청력역치가 40 dB 초과인 경우가 57.9%를 차지하였다. 순음청력검사상 평균 청력역치는 52.2 ± 7.1 dB, 어음청취역치는 34.0 ± 11.1 dB, 어음명료도검사는 81.5 ± 11.4%, 청성뇌간반응검사의 청력역치는 56.8 ± 6.7 dB, 청성지속반응검사의 청력역치는 63.7 ± 7.6 dB였다. 향후 다기관 연구에서는 어선의 소음의 크기 및 근로시간 등 근로환경에 대한 조사를 같이 시행하여 소음노출을 확인 후 어선원 소음성 난청 청각학적 특성을 분석해야 할 것이다.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 기반 청각선별과 설문 청각선별의 비교 (Comparison of Smart Phone Application Based Hearing Screening and Hearing Handicap Inventory)

  • 허승덕;박찬호;송병섭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73-79
    • /
    • 2017
  • 언어 습득 이후 성인 난청은 진행 속도가 느려서 발견이 어렵다. 이들은 적절한 도구를 제공하면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스마트 폰도 도구들 중 하나이며, 설문이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이 연구에서는 순음청각선별(pure tone screening, PTS)을 위한 스마트 폰 앱을 개발 후 이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난청자각 설문조사방법(hearing handciap inventory, HHI)을 동시에 진행한 후 결과를 비교하여 진행 속도가 느린 지연성 후천성 난청 발견을 위한 도구로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은 10대부터 80대 사이 남녀 22명으로 하였다. 가청역치 평균(PTAs)은 두 귀 같은 주파수 가청역치 중 좋은 것을 선택(최량청력, best hearing)하였다. HHI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난청 자각 여부나 PTAs_4 kHz를 기준으로 하였다. 두 검사 간 비교는 App_PTS의 PTAs와 HHI 점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단순회귀 분석하였다. 민감도와 특이도는 두 기준 모두에서 1.000으로 관찰되었다. 최량청력 PTAs_4 kHz와 HHI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R-square= 0.951, p= .000). 설문을 이용한 청각선별은 정량적 계측을 통해 구현한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 기반 청각선별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app_PTS는 개인 친화적 도구로 생애 주기별 청각선별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