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철자지식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Effects of Orthographic Knowledge and Phonological Awareness on Visual Word Decoding and Encoding in Children Aged 5-8 Years (5~8세 아동의 철자지식과 음운인식이 시각적 단어 해독과 부호화에 미치는 영향)

  • Na, Ye-Ju;Ha, Ji-Wa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6
    • /
    • pp.535-546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 among orthographic knowledge, phonological awareness, and visual word decoding and encoding abilities. Children aged 5 to 8 years took letter knowledge test, phoneme-grapheme correspondence test, orthographic representation test(regular word and irregular word representation), phonological awareness test(word, syllable and phoneme awareness), word decoding test(regular word and irregular word reading) and word encoding test(regular word and irregular word dictation). The performances of all task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a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tasks. In the word decoding and encoding tests, the variables with the most predictive power were the letter knowledge ability and the orthographic representation ability. It was found that orthographic knowledge more influenced visual word decoding and encoding skills than phonological awareness at these ages.

Effects of the Orthographic Representation on Speech Sound Segmentation in Children Aged 5-6 Years (5~6세 아동의 철자표상이 말소리분절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 Maeng, Hyeon-Su;Ha, Ji-Wa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6
    • /
    • pp.499-511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effect of the orthographic representation on speech sound segmentation performance. Children's performances of the orthographic representation task and the speech sound segmentation task had positive correlation in words of phoneme-grapheme correspondence and negative correlation in words of phoneme-grapheme non-correspondence. In the case of words of phoneme-grapheme corresponden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rformance ability between orthographic representation high level group and low level group, while in the case of words of phoneme-grapheme non-correspondence, the low level group's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high level group's. The most frequent errors of both groups were orthographic conversion errors and such errors were significantly more noticeable in the high level group. This study suggests that from the time of learning orthographic knowledge, children utilize orthographic knowledge for the performance of phonological awareness tasks.

A Study on Hangul Writing Behavior (한글 필기행동의 연구)

  • Yi, Kwang-Oh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1.10a
    • /
    • pp.139-146
    • /
    • 1991
  • 한글 필기행동에서 나타나는 실수들을 분석하였다. 단어이하의 수준에서 오철(spelling error)와 오기(slips of the pen)가 관찰되었다. 오철은 부분적인 철자지식에 기인하는 것으로, 음소를 철자로 변환하는 과정에 영향을 받는 것임을 시사하는 사례가 발견되었다. 오기에는 지속 예기 생략 등이 있었으며, 철자정보를 운동패턴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것 같았다. 또한 획과 관련된 실수들도 발견되었다. 전반적으로 필기과정에는 발음관련정보의 영향이 큰 것을 부정할 수 없었다.

  • PDF

DDAG: An Efficient Method for Morphological Analysis of Korean (DDAG: 효율적인 한국어 형태소 해석 방법)

  • Kim, Deok-Bong;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3.10a
    • /
    • pp.341-353
    • /
    • 1993
  • 기존의 한국어 형태소 해석 시스템들은 철자 변화형 어절에 대한 처리가 매우 효율적이지 못했다. 대개가 문제를 일으키는 형태소들의 변형들을 모두 사전에 등록하여 후처리 형태로 다루려 하거나, 각 형태/음운 규칙을 적용한 다음 거기에 대응하는 후보 단어들을 사전 검색을 통해 확인하는 방법들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과다한 사전 정보의 중복이나 계산의 중복으로 인하여 비효율적인 면을 많이 내포한다. 또한, 기존의 한국어 형태소 시스템들은 거의 모두가 형태소해석 엔진과 언어학적인 지식(특히, 철자 규칙과 형태소 배열 규칙)이 제대로 분리되지 않아 시스템 확장이 매우 어려웠다. 이 논문에서는, 철자 변화형 어절을 후처리에 의하지 않고, 사전 검색과 함께 하나의 오토마타에 의해 처리하면서, 형태소 해석시 발생하는 중복 계산을 최대한 배경하고, 또한 형태소 해석 엔진과 언어학적인 지식을 완전히 분리하여 시스템의 확장성을 한층 높인, 효율적인 한국어 형태소 해석 시스템 DDAG를 소개한다. 이 시스템의 주요 알고리즘의 계산적인 복잡도는 n이 입력 어절의 길이이고, m이 입력 어절을 이루고 있는 형태소의 최대 수라고 할 때 다음과 같이 분석된다: (1) 철자 변화의 처리와 사전 검색 부분의 계산적인 복잡도는 $O(n^2)$이고, (2) 형태소 배열 검사와 모든 가능한 결과를 출력해 내는 부분은 $O(2^m)$이다. 여기에서 m의 실질적인 값은 복잡한 한국어 용언의 경우 최대 8이다.

  • PDF

A Method for Spelling Error Correction in Korean Using a Hangul Edit Distance Algorithm (한글 편집거리 알고리즘을 이용한 한국어 철자오류 교정방법)

  • Bak, Seung Hyeon;Lee, Eun Ji;Kim, Pan Koo
    • Smart Media Journal
    • /
    • v.6 no.1
    • /
    • pp.16-21
    • /
    • 2017
  • Long time has passed since computers which used to be a means of research were commercialized and available for the general public. People used writing instruments to write before computer was commercialized. However, today a growing number of them are using computers to write instead. Computerized word processing helps write faster and reduces fatigue of hands than writing instruments, making it better fit to making long texts. However, word processing programs are more likely to cause spelling errors by the mistake of users. Spelling errors distort the shape of words, making it easy for the writer to find and correct directly, but those caused due to users' lack of knowledge or those hard to find may make it almost impossible to produce a document free of spelling errors. However, spelling errors in important documents such as theses or business proposals may lead to falling reliability.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high-level spelling error correction programs for the general public.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duce a system to correct sentence-level spelling errors to normal words with Korean alphabet similarity algorithm. On the basis of findings reported in related literatures that corrected words are significantly similar to misspelled words in form, spelling errors were extracted from a corpus. Extracted corrected words were replaced with misspelled ones to correct spelling errors with spelling error detection algorithm.

A Research on Module Arrangement of Korean Spelling Corrector to Optimize Correction Rate (교정률 최적화를 위한 한국어 철자교정기의 모듈 배열)

  • Yun Keun-Soo;Kwon Hyuk-Chul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2 no.5
    • /
    • pp.366-377
    • /
    • 2005
  • We find a module may that takes optimal correction rate of Korean spelling corrector. If there are a lot of module numbers of spelling corrector,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optimal correction rate of spelling corrector because permutation of N-modules is N!. This Korean spelling corrector consists of 19 modules. It is impossible to arrange 19 modules actually and the correction rate is various according to input data. We found the range of correction rate using parallel processing between modules and the optimal correction rate using sequential processing of modules. Input data that are used in an experiment is 753,191 eojeol's sets that happen in newspaper publishing company during several years. About this error set, theoretical maximum correction rate of spelling corrector is $97.28\%$ (732,764/753,191). But we got the optimal correction rate $96.62\%$ (727,750/733,191). This optimal correction rate is almost near to $99.31\%$ (727,750/732,764) of the maximum correction rate.

Improving Recall for Context-Sensitive Spelling Correction Rules using Conditional Probability Model with Dynamic Window Sizes (동적 윈도우를 갖는 조건부확률 모델을 이용한 한국어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 규칙의 재현율 향상)

  • Choi, Hyunsoo;Kwon, Hyukchul;Yoon, Aesun
    • Journal of KIISE
    • /
    • v.42 no.5
    • /
    • pp.629-636
    • /
    • 2015
  • The types of errors corrected by a Korean spelling and grammar checker can be classified into isolated-term spelling errors and context-sensitive spelling errors (CSSE). CSSEs are difficult to detect and to correct, since they are correct words when examined alone. Thus, they can be corrected only by considering the semantic and syntactic relations to their context. CSSEs, which are frequently made even by expert wiriters, significantly affect the reliability of spelling and grammar checkers. An existing Korean spelling and grammar checker developed by P University (KSGC 4.5) adopts hand-made correction rules for correcting CSSEs. The KSGC 4.5 is designed to obtain very high precision, which results in an extremely low recall. Our overall goal of previous works was to improve the recall without considerably lowering the precision, by generalizing CSSE correction rules that mainly depend on linguistic knowledge. A variety of rule-based methods has been proposed in previous works, and the best performance showed 95.19% of average precision and 37.56% of recall. This study thus proposes a statistics based method using a conditional probability model with dynamic window sizes.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recall. The proposed method obtained 97.23% of average precision and 50.50% of recall.

Integration of Korean Spelling/Grammar Checkre with Web-Based Language Learning System (한국어 철자/문법 검사기와 웹 기반 언어 학습시스템의 통합 환경 구축)

  • 남현숙;김상훈;김지원;권현주;정유진;권혁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37-40
    • /
    • 2000
  • '바른 우리글 쓰기' 학습시스템은 우리말 작문 학습에 필요한 지식을 익히도록 하고자 만들었다. 이 논문의 궁극적인 목표는 한국어 철자/문법 검사기와 국어 학습시스템을 연계하여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능동적인 언어 학습 시스템의 구현이다. 흔히 웹에 기반한 학습시스템에서 학습자는 일방적으로 정보를 제공받거나 독립적인 위치에서 자율적인 학습을 해나가야 하므로 끊임없는 흥미와 관심이 없이는 효율적인 성과를 거두기 어렵다. 이와 같은 약점을 보완하려는 맥락에서 이 학습시스템은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한 후 그 결과를 평가 문제나 한국어 철자/문법 검사기를 통해 즉각적으로 확인해 보고 부족한 내용을 공부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A Korean Grammar Checker using Lexical Disambiguation Rule and Partial Parsing (어휘적 중의성 제거 규칙과 부분 문장 분석을 이용한 한국어 문법 검사기)

  • So, Gil-Ja;Gwon, Hyeok-Cheol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8 no.3
    • /
    • pp.305-315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우리말 문서에 있는 오류를 어절 단위로 검증하는 철자 오류와 여러 어절을 분석해야 처리할 수 있는 문법 오류로 분류하였다. 문법 오류를 처리할 때 전체 문장 분석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구현하기 어려우므로 대부분 부분 문장 분석 방법을 이용한다. 기존 연구에서 사용한 부분 문장 분석은 분석 어절에 어휘 중의성이 있을 때 문장 분석 종결 또는 과분석 등의 오류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문법 검사기에서 어휘 중의성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어휘 중의성 제거 규칙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어휘 중의성 제거 모듈은 코퍼스 데이타에서 얻은 경험적 규칙을 기반으로 한다. 이 경험적 규칙은 언어적 지식을 기반으로 한다.

  • PDF

A method for morphological correction of ambiguous error (한글 문서에서 형태적 중의 오류의 교정)

  • Kim, Min-Ju;Jeong, Jun-Ho;Lee, Hyeon-Ju;Choe, Jae-Hyeok;Kim, Hang-Jun;Lee, Sang-J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8.10c
    • /
    • pp.41-48
    • /
    • 1998
  • 교정 시스템에 나타나는 오류 유형들 중에는 전체적인 교정률에 차지하는 비중은 적지만 출현할 때마다 틀릴 가능성이 아주 높은 오류들이 있다. 기존의 교정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오류들에 대한 처리가 미흡한데, 철자 오류와 띄어쓰기 오류 중 형태가 비슷하거나 같은 형태가 다른 기능을 함으로써 발생하는 오류들이다. 이러한 오류는 일반 문서 작성자뿐만 아니라 한글 맞춤법에 대해 어느 정도 지식을 가진 사람의 경우에도 구분이 모호하다. 복합 명사와 미등록어를 제외한 오류 중 약 30%가 여기에 속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오류 유형들을 분류하고, 이 중에서 빈번하게 출현하는 오류에 대한 교정을 시도하고, 오류 유형들이 문장 내에서 어떤 분포를 가지는지 알아본다. 약 617만 어절의 말뭉치를 이용하여 해당 형태와 다른 성분들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교정 방법을 제시하고, 형태소 분석을 하여 교정을 행한다. 코퍼스 655만 어절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84.6%의 교정률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교정 방법은 기존의 교정 시스템에 추가되어 교정 시스템의 전체 교정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비슷한 유형의 다른 어휘 교정에 대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