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철도 도상 자갈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43초

레일 방사소음 저감 기술 개발 위한 소음특성 연구 (A study on the noise characteristics of rails)

  • 고효인;장승호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82-484
    • /
    • 2014
  • 국내의 슬라브도상, 자갈도상의 소음현안에 부합하여 소음저감설계 및 저감장치와 저감구조를 개바할 수 있는 합리적인 소음계산 및 영향인자 규명 모델을 현 모델과 더불어 발전시키고자 하며, 그의 한 예로 고속철도의 통과소음 측정 및 분석결과와 소음원 기여도 기술을 이용한 분석결과를 통하여 레일소음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 PDF

철도 전동 소음의 관점에서 해석한 국내 철도의 진동 특성 비교 (Comparison of Track Vibration Characteristics for Domestic Railway Tracks in the Aspect of Rolling Noise)

  • 유정수;장승호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85-92
    • /
    • 2013
  • 철도 전동 소음은 철도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소음으로서 차륜과 레일의 음향 조도에 의해 유기된다. 철도 전동 소음의 주요 소음원으로는 침목, 레일 그리고 차륜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철도의 전동 소음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차륜의 진동 특성과 함께 궤도의 진동을 해석하고 그 특성을 이해하는 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동 소음의 관점에서 레일의 진동을 해석하기 위한 이론적 궤도 모델링에 대해 기술하고, 국내의 대표적인 세 가지 철도 궤도에 대해 진동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에 사용한 궤도로는 기존선 자갈 도상 궤도, KTX 자갈 도상 궤도, KTX 콘크리트 궤도를 선정하였으며, 각 궤도 별로 레일을 따라 진행하는 파동의 전파 특성을 해석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해석 시 궤도는 이산 지지를 가진 Timoshenko 보로 모델링하였으며, 레일의 평균 진동 속도를 이용해 세 궤도 레일의 방사 소음 특성을 간접 비교하였다.

고속철도 콘크리트궤도-자갈도상궤도 완충구간의 뜬침목 발생 현상과 대책 (Unsupported Sleepers in Transition Zone between Concrete Slab Track and Ballasted Track : Phenomena and Its Countermeasures)

  • 장승엽;임오진;양신추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26-1131
    • /
    • 2007
  • In 1st Phase Kyeong-Bu High-Speed Line, to lessen the impact in the transition zone between concrete slab track(in tunnel) and ballasted track(on embankment), the ballast bonding method has been adopted. However, in this area, in the beginning of the operation, unsupported sleepers are found, and the track deterioration and damage of concrete sleepers have occurred. In this paper, the status and causes of unsupported sleepers are discussed and several repair measures are proposed.

  • PDF

고속철도 궤도 종류에 따른 허용침하량 분석 (Analysis of Allowable Settlement on Tracks of High Speed Railway)

  • 김영호;정상섬;설훈일;한영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1호
    • /
    • pp.25-3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고속철도 궤도의 종류에 따른 허용침하량 분포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존 경부 고속철도에 사용되었던 자갈도상 궤도와 시공예정인 콘크리트 궤도의 대표단면 및 지반 물성치를 바탕으로 철도 운행 시 레일상부에서 열차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침하량을 3차원수치해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특히 콘크리트궤도의 경우에는 원지반의 물성 변화에 따른 침하량 결과를 토대로 말뚝지지전면기초(pile raft foundation) 보강 시 침하 감소 효과를 분석 정리하였다. 본 연구결과, 원지반이 점성토에서는 콘크리트 궤도와 자갈도상 궤도의 사용에 따라 침하량의 차이가 컸으나, 사질토 지반의 경우는 궤도별 침하량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또한 콘크리트 궤도 단면의 침하량 저감을 위한 말뚝 전면기초 시공의 경우, 무보강 단면의 해석결과보다 지지력이 확보되어 침하량 감소가 나타났으며, 말뚝의 길이가 증가될수록 침하량 감소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하중형태의 경우는 기존 설계에 사용되었던 객차 하중에 의한 침하량보다 기관차 하중에 의한 침하량이 더 크게 발생하여 기관차 하중을 통한 궤도 설계를 할 경우 좀 더 안전측 설계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레일 용접의 현상과 과제

  • 서사범
    • 한국철도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8-14
    • /
    • 2001
  • 레일의 이음매부는 상시 차륜에 의한 충격ㆍ진동이 크기 때문에 이음판ㆍ볼트의 이완, 레일 단부의 변형ㆍ손상, 도상 자갈의 파괴ㆍ세립화의 발생 등 궤도 관리상의 최약점 개소로 되어 있다. 지금까지 이와 같은 이음매부를 줄이기 위하여 수송밀도가 높은 주요 간선에 대하여 용접에 의한 레일의 장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또한 구조물 주변의 보수가 곤란한 개소 및 도시 구간에서의 소음ㆍ진동 대책뿐만 아니라 궤도 보수 작업의 경감과 열차의 고속화ㆍ승차감의 개선 등에 레일 용접이 크게 공헌하고 있다. (중략)

  • PDF

DEM을 이용한 자갈도상의 응력분포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tresses distribution of ballast bed using DEM (Discrete Element Method) Analysis)

  • 김대상;이수형;이성혁;이상배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78-883
    • /
    • 2005
  • Sleeper, the ballast, and ballast mat in the high-speed railroad line are modelled using a two-dimensional discrete element method to generate circle and line elements. Stress transfer mechanism from the sleeper to the subgrade via the ballast is analyzed. The behavior of ballast bed of the high-speed railroad line is also accessed with the model.

  • PDF

대형침목을 이용한 터널/토공 접속구간의 보강효과 (Effectiveness of Reinforcement for Transitional Zone between Tunnel and Earthwork Using the Large Sleeper)

  • 최찬용;이진욱;김현기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214-221
    • /
    • 2010
  • 철도 선로에서 대표적인 취약개소로 분류하고 있는 터널-토공 접속구간은 하부 지지강성의 차이로 인하여 강성이 작은 구간에서 더 큰 침하가 발생하여 선로의 부등침하를 발생시켜 지속적인 유지보수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현장구간의 터널-토공 접속구간에 대하여 도상자갈부에 설치된 일반 침목을 약 20m 대형침목으로 교체 후 윤중과 침목 침하량을 측정하여 개선효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침목 크기와 간격 등을 변화시켜 레일압력, 도상 침하량 그리고 도상압력을 비교하였다. 현장계측과 수치해석결과 대형침목으로 교체한 경우 일반침목에 비해 윤중변동율과 침하량 등에서 약 10%의 개선효과가 있는 것 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치해석결과 대형침목의 경우 일반침목에 비해 레일저부압력, 침목침하량, 도상압력이 각각 9.3%, 4%, 14.5% 감소되었으며, 이중에서 도상압력이 가장 많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베이지안 회귀 및 상관분석을 통한 지하철 진동발전 모델의 수정과 기전력 분석 (A Fundamental Study on Analysis of Electromotive Force and Updating of Vibration Power Generating Model on Subway Through The Bayesian Regression and Correlation Analysis)

  • 조병완;김영석;이윤성;김윤기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139-146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페러데이 법칙을 이용한 진동발전 장치를 지하철의 자갈도상과 콘크리트 도상의 분류에 따른 기전력 량을 분석 하였다. 지하철 2호선 서초~방배 구간의 자갈도상에서 콘크리트 도상 변경으로 동일한 전동차 운행속도로 동일 구간에서 차량운행에 의한 동특성을 분석하고 진동력발전 장치를 이용해 얻어질 수 있는 기전력 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페러데이의 법칙에 의한 유도 기전력 식에 의한 계산 기전력 량과 발전 장치에 의한 관측 기전력 량을 베이지안 회귀 분석 및 상관분석을 통하여 철도에 적용되는 모델에 대한 신뢰구간과 모델식을 각 도상별로 업데이팅하였다. 수정된 식을 이용한 기전력은 한 개의 진동발전 장치 당 콘크리트 도상에서 4mV, 자갈도상에서는 40mV의 전력을 얻을 수 있다.

자갈도상 지반에서의 파울링층 식별을 위한 수치해석연구 (Numerical Modeling for the Identification of Fouling Layer in Track Ballast Ground)

  • 고규현;이성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7권9호
    • /
    • pp.13-24
    • /
    • 2021
  • 최근 자갈도상궤도의 유지관리 시 지반투과레이더(GPR) 장비를 이용한 지반 내부의 파울링 양상을 검측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복잡한 지반조건이 혼재된 현장에서 다량의 노이즈가 포함된 채로 얻어지는 GPR 신호 자료 판독은 전문가의 경험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으며, 정밀한 분석에 어려움도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ython 기반의 오픈소스코드인 gprMax와 RSA(Random sequential Absorptio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갈도상 재료의 파울링 정도에 따른 GPR 신호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수치해석 기법을 제안하였다. 해석모델의 예측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모형시험체를 제작하여 시험 결과와 해석결과를 서로 비교하여 해석모델의 예측 정밀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다양한 시험조건 별 모형체 시험 및 해석에서의 파울링층의 식별 여부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갈도상 자갈철거 기계화 방안 (Mechanization Scheme for ballast withdrawal from ballast track bed)

  • 양회성;공선용;김박진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29-1037
    • /
    • 2008
  • As for track maintenance, Seoul Metro executes track bed improvement project from obsolete ballast track bed to concrete track bed in order to achieve maintenance free and to extend its LCC(Life Cycle Costing). When it comes to obsolete ballast track bed withdrawal task, now it is done solely relying on man power and ballast inhalation vehicle. In this paper, I suggested ballast cleaning system with lighter equipment to change manpower withdrawal tasks to mechanized ones. It is expected to improve work efficiency and economic benefits by applying track excavator having variable wheels and container etc, which is able to keep on the si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