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iveness of Reinforcement for Transitional Zone between Tunnel and Earthwork Using the Large Sleeper

대형침목을 이용한 터널/토공 접속구간의 보강효과

  • 최찬용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구조연구실) ;
  • 이진욱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구조연구실) ;
  • 김현기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구조연구실)
  • Received : 2010.02.12
  • Accepted : 2012.04.20
  • Published : 2010.04.26

Abstract

The transitional zone between tunnel and earthwork is one of the most vulnerable areas site for railway lines and because of differential settlement due to different stiffness of each supporting layer, it has to conducted a maintenance work constantly. In this study, it i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 of reinforcement by wheel load and displacement of the sleepers after existing sleepers are replaced with the large sleepers for 20m long in-field transitional zone. Also, numerical parametric study using multi-layer elastic method has been performed to compare rail force, settlement and stresses of ballast while varying size and space of the sleeper. The field test and numerical results show that replacing the large sleepers improves about 10% of total settlement and coefficient of wheel force than conventional sleepers. Effectiveness of improvement is about 9.3%, 4%, 14.5% for rail seat force, settlement of sleepers and ballast pressure respectively with size of sleepers.

철도 선로에서 대표적인 취약개소로 분류하고 있는 터널-토공 접속구간은 하부 지지강성의 차이로 인하여 강성이 작은 구간에서 더 큰 침하가 발생하여 선로의 부등침하를 발생시켜 지속적인 유지보수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현장구간의 터널-토공 접속구간에 대하여 도상자갈부에 설치된 일반 침목을 약 20m 대형침목으로 교체 후 윤중과 침목 침하량을 측정하여 개선효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침목 크기와 간격 등을 변화시켜 레일압력, 도상 침하량 그리고 도상압력을 비교하였다. 현장계측과 수치해석결과 대형침목으로 교체한 경우 일반침목에 비해 윤중변동율과 침하량 등에서 약 10%의 개선효과가 있는 것 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치해석결과 대형침목의 경우 일반침목에 비해 레일저부압력, 침목침하량, 도상압력이 각각 9.3%, 4%, 14.5% 감소되었으며, 이중에서 도상압력이 가장 많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Coenraad Esveld (2001) Modern railway track, MRT-Productions, pp. 157-170.
  2. 양신추 (1997) 차량과 궤도의 상호작용해석을 통한 하부 구조물에 작용하는 동하중의 산정,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17(1), pp. 3-10.
  3. Alexander Smerkal (1997) Transitional Structures of Railway Bridges, WCRR 97, Proceeding Volume B, pp. 149-158.
  4. 양신추, 강윤석 (2002) 교량/토공 접속구간 충격 완화를 위한 보강레일의 설계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22(6), pp 1257-1269.
  5. Makoto Ishida et al. (1998) Track deformation characteristics and vehicle running characteristics due to settlement of embankment behind the abutment of bridges, RTRI Report, 12(3).
  6. 石田誠 외 2명 (1997) 車輛走行에 의한 軌道沈下個所의 動 的應答 特性, 일본기계학회, 제6회 교통물류부문대회 강연 논문집, No. 97-13, pp. 133-136.
  7. TTCI (2006) Design of track transition, TRB's Transit Cooperative Research Program (TCRP) Research Results Digest 79.
  8. D. Li, and D. Davis (2005) Transition of railroad bridge approaches,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131(11), pp. 1392-1398. https://doi.org/10.1061/(ASCE)1090-0241(2005)131:11(1392)
  9. 정근영, 이일화, 이진욱, 최찬용 (2006) 궤도지지강성 변화 구간에서의 광폭침목 사용에 따른 궤도거동 개선효과 분석, 한국철도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pp. 15-22.
  10. 박용걸, 최정열 (2006) 현장측정을 통한 자갈도상궤도의 동적 거동분석,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9(4), pp. 401-411.
  11. C.S. Chang, C.W. Adegoke, and E.T. Selig (1980). GEOTRACK model for track performance, Journal of the Geotechnical Engineering Division, ASCE, 106(GT 11), pp. 1201-1208.
  12. H.E. Stewart (1989) User's manual for GEOTRACK computer program.
  13. 鐵道總合技術硏究所 (1999) 鐵道構造物等設計標準東解說 省力化軌道用土構造物.
  14. 최찬용, 이성혁, 황선근 (2007) 철도하중에 따른 강화노반 두께별 토압특성,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10(3).
  15. 이일화 (2005) 상호작용을 고려한 교량-토공 접속부의 설계 및 유지관리, 철도시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