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철거

Search Result 34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Development of Underground Cable Automatic Cutting Machine (철거용 지중케이블 자동절단기 개발)

  • Lee, Young-Seop;Kim, Hyung-Kwon;Yoon, Jang-Joong;KIm, Jong-Sam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e
    • /
    • pp.81-82
    • /
    • 2006
  • 한국에 지중배전케이블이 설치된 지 30년이 넘고 현재 지중화율은 12% 가량 되고 있다. 지중화율이 점차 높아지는 추세에서 기존의 매설된 케이블이나 사고 케이블에 대한 교체로 철거케이블이 발생하는 빈도가 높아져 이를 쉽게 철거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여 철거용 지중케이블 자동절단기 개발을 하기에 이르렀다. 케이블철거 작업이 현재까지는 대부분 수동유압절단기를 통하여 이루어지다보니 작업의 경제성이 상당히 낮고 안전상의 문제가 대두되어 관로내 케이블을 차량의 유압을 이용하여 자동 인출, 자동 절단할 수 있는 기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자동절단기를 사용함으로써 기존 $4{\sim}5$명이 소요되는 작업이 $1{\sim}2$명의 인력으로도 작업할 수 있고 작업시간도 대폭 단축되어 경제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아울러 사람이 절단작업을 수행하다보니 안전성의 문제가 염려시 되었는 데 철단작업을 기계가 대행함으로써 작업의 안전이 보장되었다. 이와 같이 케이블 자동절단기는 경제성은 물론 안전성을 확보함으로써 케이블 철거작업의 품질개선에 큰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Optimal TACT Process for Eco-Friendly Demolition Works in Aged Housing Remodeling - Focus on Case Study -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의 최적 TACT공정 개발 -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 Woo, Joong-Pyung;Kim, Ki-Hyun;Hwang, Young-Gyu;Kim, Kyung-Rai;Cha, Hee-Sung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2 no.1
    • /
    • pp.3-12
    • /
    • 2011
  • Technology based civilization has made a sustained advancement, resulting in economic growth and material prosperity. The outcome was the beginning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Especially, in regard to construction, it has been recognized as a key culprit for pollution. As such,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recently shown interest in the environment, as it has been applying environment friendly method of construction and reducing wastes. As the number of old common housing increases in our country, reconstruction and remodeling are implemented as a means of improvement. However, it can be said that remodeling is the inevitable option because of cost and environmental problems associated with reconstruction. As part of its feature, remodeling work is preceded by removal work. And, removal work inevitably creates construction wastes. Treatment of wastes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environmental aspects is important and for this, removal work that is based on environment friendly remodeling to ensure selective separation must be implemented. Yet, a removal work based on environment friendly remodeling has a lower level of output compared to existing methods. Because remodeling work by its nature has a post construction work which proceeds after it, securing work efficiency is important as the removal work is a critical path activity. Thus, the present study improves the work process of a removal work that is based on environment friendly remodeling so that it becomes a work process that includes work efficiency. For this, as a case study, old common housing has been selected, and a TACT process has been developed which is based on data acquired from environment friendly removal work. And, this study develops an optimal TACT process which is based on environment friendly remodeling by conducting a simulation for a 15 floor apartment.

Constructability Analysis in Aged-Housing Remodeling Demolition Work for Maximizing Waste Recycling (폐기물 재활용성 향상을 위한 리모델링 철거공사의 시공성 평가 및 사례적용)

  • Chae, Seong-Hyun;Kim, Ki-Hyun;Cha, Hee-Sung;Kim, Kyung-Rai;Han, Ju-Yeou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1 no.3
    • /
    • pp.13-22
    • /
    • 2010
  • From now on, the aged apartment or house is expected to increase rapidly. So, we have to build a process of remodeling and develop the new technique. Demolition work is needed for systematic plan and management. However, contractors of the remodeling project established a rough plan and did not consider recycling wastes, safety of workers and structural stability of building. Therefore, we need a step to develop a assessment system, verify and make specified. This paper evaluated how much improve on construction speed, work efficiency, intensity of work and influence with another process comparing the existing method with the new demolition method.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sessment system are developed with these output. The case study was carried out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ased on developed assessment system, which have the same condition. The existing method was made up of 3 steps- 1)Demolish windows, doors and iron goods, 2)Demolish indoor and outdoor walls, 3)Drop the waste. The new demolition method was made up of 5 steps- 1)Demolish windows, doors and iron goods, 2)Demolish the ceiling and wall's finishing materials, 3)Demolish the floor's finishing materials, 4)Demolish indoor and outdoor walls, 5)Drop the waste. Work time, idle time, the character of a work unit are analyzed by mock-up test. This study's output is expected to establish a systematic process of new demolition method and based on the maximizing waste recycling work in our construction industry.

Analysis on the Water Level Variation due to Remaving the Singok Submerged Weir in the Lower Han River (한강하류부 신곡수중보 철거에 따른 수위변화 분석)

  • Park, Jae Hyeun;Lee, Jong Jin;Park, Chng 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01-101
    • /
    • 2015
  • 1986년 한강종합개발사업으로 대규모 준설이 실시되고, 수위가 낮아지면서 발생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1988년 김포대교 직하류 지점에 신곡수중보를 건설하였다. 당시 수중보의 설치목적은 취수시설 유지를 위한 수위유지가 주요기능이었으나, 30년이 지난 지금 생활용수 취수시설은 잠실 수중보 상류로 모두 이전하였고, 농업용수와 일부 공업용수 등의 일부 시설만이 남아 있어 신곡수중보 시설의 필요성 및 현재 기능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다. 신곡수중보 철거시 변화하는 한강 본류의 수위를 모의하기 위해 수리학적 모형인 HEC-RAS를 이용한 부정류 모의를 실시하였다. 모형의 보정을 위해 저수기를 대표하는 2014년 4월부터 5월까지 45일간과 풍수기를 대표하는 2014년 8월부터 9월까지 45일간을 모의하였다. 조위영향을 받고 있는 강화대교 관측수위를 기점수위로 선정하고, 팔당댐 유량을 유량조건으로 모의하였으며, 본류구간의 전류, 행주대교, 한강대교 지점의 실측수위와 모의결과는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곡수중보 철거시 평가를 위해 팔당댐 방류량이 최소가 되는 조건과 한강의 갈수량, 저수량, 계획홍수량 등 유량조건 변화에 따른 한강 본류수위를 비교하였다. 보 철거시 서해안의 조위영향이 잠실수중보 직하류지점까지 영향을 미치고, 일시적인 수위하강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보 철거에 의해 감조하천으로 변화되는 구간에서는 전반적인 유속이 증가하여,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신곡수중보 직상류 및 지천 합류부 주변의 퇴적문제와 수질 문제개선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신곡수중보 상류지역에서 잠실수중보 하류까지 발생하는 수위변화와 수면폭변화는 간조대 형성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여 한강변의 퇴적지 면적 증가 및 생태계 서식처 제공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신곡수중보 하류지역의 수위는 현재보다 전반적인 상승이 예상되어 장항습지 면적이 일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홍수시 침식 및 퇴적이 가장 활발히 발생하므로 하상변동 등에 대한 면밀한 평가가 필요하다. 또한 홍수기 신곡수중보 구조물에 대한 평가 결과에서는 철거 시 한강 본류의 하천 수위가 일부 하강하는 것으로 모의되어 하천을 횡단하는 구조물이 홍수위 상승에 기여한다고 판단되므로 대안마련을 위한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 PDF

Prediction of River Bed Change after Removing A Low Dam (SMS모형을 이용한 보 철거 후의 하상 변동)

  • 김현석;노영신;이진수;윤병만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898-90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보천거로 인해 발생되는 보 상하류의 하상변동을 예측하여 보았다. 대상 지역은 최근 철거된 경안천 장지보 부근으로 양벌보에서 경안 1교까지 3.5km 구간이다. 흐름분석은 RMA-2를 이용하였으며 하상변동은 SED-2D모형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모의 결과 보 철거로 인할 유속의 증가로 보 상류에서 침식이 발생하였고, 하류부는 유속 감소로 인할 최적이 발생하였다. 보 철거로 인한 하상변동의 영향이 보 주변에만 국한되지 않고 하류구간에 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모형은 장기하상변동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보철거로 인한 2차원 장기하상변동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모형의 개발이 요구된다.

  • PDF

Laboratory experiment on the adjustment processes of channel by weir removal (보 철거에 의한 하도 적응과정의 실험적 분석)

  • Kim, Gi Jung;Jang, Chang-L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01-405
    • /
    • 2016
  • 중소하천에 기능을 상실한 하천 횡단 수리구조물이 많이 설치되어 있으며, 수리구조물 상류와 하류에 흐름 및 유사의 이송에 대한 연속성을 차단하고, 하천 교란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사회적으로 수리구조물의 기능을 개선하거나 철거하여 하천복원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실험을 통해 하천횡단 수리구조물에 의하여 형성된 상류의 지형이 하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흐름이 하천횡단 수리구조물을 월류하면서 직하류에 세굴이 발생하고, 상류에서 델타를 형성하면서 퇴적되었다. 상류에서는 사주가 형성되었으며, 하류의 지형변화에 영향을 주었다. 하천횡단 수리구조물의 상류에 형성된 델타는 하류로 일정하게 이동하고 있으며, 델타가 구조물에 도달하기 바로 직전에서 수리구조물하류의 세굴이 가장 깊게 나타났다. 수리구조물 철거 후, 상류에 퇴적된 토사는 흐름에 의하여 급격하게 하류로 유실되었다. 천급점은 상류로 이동하며, 두부침식을 일으켰다.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사에 의하여 침식은 감소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하류에서 교호사주의 형상을 유지하며, 평형상태를 유지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Physical Habitat Simulation System (PHABSIM) in the Reach of Small Dam Removal for Zacco platypus (피라미에 대한 보 철거 구간에서의 물리서식처 모의(PHABSIM) 적용)

  • Im, Dong-Kyun;Jung, Sang-Hwa;Ahn, Hong-Kyu;Kim, Kyu-H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11
    • /
    • pp.909-920
    • /
    • 2007
  • River restoration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have been peformed by social needs, therefore methodology for evaluating such projects must be provided. The PHysical HABitat SIMulation system (PHABSIM) is proposed as a tool for the assessment of hydraulic habitat suitability for aquatic species related to flow regime in river. This study evaluates the change of physical habitat for Zacco platypus according to small dam removal and the model suitability by applying PHABSIM to the reach where small dam was removed. It is shown that the physical habitat is generally increased and improved where the small dam was removed. However, physical habitat in the spawning stage that has a weak swimming speed is decreased by increased flow velocity in the upstream area of small dam, so proper countermeasure for that condition should be needed. Consequently, PHABSIM can be effectively used to provide methodology for assessment and necessity of various river projects including a removal of out-aged hydraulic structures.

Water Quality Change due to Singok Submerged Weir Removal Considering Tide (조석운동을 고려한 신곡수중보 철거에 따른 수질변화 연구)

  • Jang, Suk Hwan;OH, Kyung Doo;Oh, Ji Hwan;Han, Su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35-335
    • /
    • 2015
  • 행주대교 하류 약 3km 지점에 위치한 신곡수중보는 한강종합개발 사업 중 하도정비로 인한 상시수위 저하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취수장의 취수심 확보, 주운수심 확보, 염수 역류에 의한 생태계의 변화 방지, 하천 주면의 지하수위 저하 방지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신곡수중보의 존치, 이전 혹은 철거로 인한 수질변화를 모의를 실시하였다. 한강 본류와 임진강 합류를 고려하여 총 495개 수질모의 셀을 구성하였고, 수질모의를 위한 WQ Cell은 길이가 100 m~340 m로 임진강 47개, 한강 448개로 총 495개의 셀로 구성하였으며, 주요 지천이나 오염원으로 신곡보 하류에는 공릉천, 신곡보와 잠실보 사이에는 창릉천, 서남과 난지물 재생센터, 안양천, 홍제천, 중랑천, 탄천, 잠실보 상류에는 왕숙천, 월문천, 덕풍천 등 9개 지천과 2개 물 재생센터를 포함하였으며 잠실보 상류에서의 생활용수 취수를 고려하였다. 수온, BOD, 조류의 경계조건은 환경부에서 제공한 2011년 3월과 4월의 측정자료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신곡보 철거시 수온의 변화는 서해로부터의 차가운 해수의 역류 증가로 임진강, 파주, 전류, 장항습지까지 수온이 최대 $0.94^{\circ}C$ 크게 하강할 것으로 나타났으나 행주, 가양, 영등포는 오히려 수온이 $0.03{\sim}0.04^{\circ}C$ 미미하게 상승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의 신곡보가 수온의 급격한 변화를 완층하는 역할을 담당하여 왔으나 보가 철거되면서 이러한 수온 완충역할이 사라지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신곡보 철거시 BOD 농도의 변화는 잠실보 하류쪽으로는 BOD 농도가 최대 1.02 mg/l 감소하는 등 전반적으로 수질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 잠실보 상류쪽으로는 BOD 농도가 최대 0.56 mg/l 증가하며 현재의 1급수 수질에서 2급수로 수질이 악화되어 상수원 수질 관리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었다. 신곡보 철거시 조류 농도의 변화는 잠실보 하류쪽으로 조류 농도가 최대 1.85 mg-A/l 감소하는 등 전반적으로 수질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 잠실보 상류쪽으로는 조류 농도가 최대 0.40 mg-A/l 증가하며 고조위 기간에는 조류주의보 기준 1.5 mg-A/l를 초과하는 경우도 발생하여 상수원 취수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nflicts between the Conservation and Removal of the Modern Historic Landscapes - A Case of the Demolition Controversy of the Japanese General Government Building in Seoul - (근대 역사 경관의 보존과 철거 - 구 조선총독부 철거 논쟁을 사례로 -)

  • Son, Eun-Shin;Pae, Jeong-Han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6 no.4
    • /
    • pp.21-35
    • /
    • 2018
  •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reuse 'landscapes of memory,' including industrial heritages, modern cultural heritages, and post-industrial parks, as public spaces in many cities. Among the various types of landscapes, 'modern historic landscapes', which were formed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are landscapes where the debate between conservation and removal is most freque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evaluation and recognition of modern history. This study examines conflicts between conservation and removal around modern historic landscapes and explores the value judgment criteria and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ose landscapes, as highlighted in the case of the demolition controversy of the old Japanese general government building in Seoul, which was dismantled in 1995. First, this study reviews newspaper articles, television news and debate programs from 1980-1999 and some articles related to the controversy of the Japanese general government building. Then it draws the following six factors as the main issues of the demolition controversy of the building: symbolic location, discoveries and responses of new historical facts, reaction and intervention of a related country, financial conditions, function and usage of the landscape, changes of urban, historical and architectural policies. Based on these issues, this study examines the conflicts between symbolic value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modern historic landscapes and determines conservation or removal, and the utility of functional values that solve the problems and respond to criticisms that arise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modern historic landscape. Especially, it is not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makes the decision is the symbolic values, although the determination of the conservation or removal of modern historic landscapes has changed according to changes in historical perceptions of modern history. Today, the modern historic landscape is an important site for urban design, and still has historical issues to be agreed upon and addressed. Thi study has contemporary significance from the point that it divides the many values of modern historic landscapes into symbolic values and functional values, evaluates these, and reviews the background social con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