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천체관측 프로그램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2초

김해천문대 운영 사례를 통한 우리나라 시민천문대 운영방향

  • 이상현
    • 천문학회보
    • /
    • 제36권1호
    • /
    • pp.77.1-77.1
    • /
    • 2011
  • 김해천문대는 2002년에 개관하여 대전, 영월을 이어 세 번째로 건립된 초기 시민천문대이다. 당시 지방자치단체에서 지방과학관 사업으로 국비를 받아 건립하였다. 초기에 개관한 시민천문대에 대한 국민들의 뜨거운 호응에 힘입어 이후 지방과학관 사업에서 대부분 시민천문대 형태로 건립되었는데, 현재 약 20개 정도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시민천문대를 건립하였다. 현재 도서관, 수련원, 교육과학연구원 등 기존의 교육 기관에 딸린 부설 천문대를 포함하면 청소년,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성격의 천문대는 전국적으로 약 80개에 이른다. 이러한 시민천문대의 등장은 국민들의 천문에 대한 관심을 높여 우리나라의 천문학 발전에 밑거름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시민천문대에 대한 학계, 교육계의 관심과 협조가 향후 천문학 발전에 중요한 밑거름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시민천문대의 운영은 일반적인 과학관과는 달리 천체를 보여주는 등, 관측 활동을 중심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창의적인 다양한 방법의 운영을 시도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특히 김해천문대의 경우 초기의 관람중심을 탈피하여 교육프로그램 중심의 운영함으로서, 소행성 탐사, 자체 기술개발 등 연구 활동이 가능할 정도로 발전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김해천문대에서 지난 9년간 진행된 다양한 사업과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김해천문대 운영의 운영 변화 과정과 그 결과를 통해 향후 시민천문대의 운영 방향을 말하고자 한다.

  • PDF

PBL 기반 천체관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BL-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in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 신명렬;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0-3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BL-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on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in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To verify research proble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orth-grade students selected from one classes of an elementary science-gifted class in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the research group is composed of twenty students who were participated in PBL-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During four weeks, the PBL-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instruction was executed in the reasearch group. Post-test showed following results: First, the research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ience process skill. We look into detailly this, the research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basis science skill. The sub-factor 'expectation' of the science process skill effects a significant improvement. Second, the research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ientific attitudes. In conclusion, PBL-based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was more effective on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tific attitudes. However, since the study has a limit on an object of the study and the applied program, the additional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with an extended comparative group and program.

현장학습을 위한 천체관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for Field Trip)

  • 김상달;박종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2-6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learning content for astronomical observation that could perform astronomical programs regardless of weather conditions as a case for the present conditions of astronomical observation and the methods of new education for astronomical observation, and to suggest the methods of synchronized multiple astronomical observation and actual cases using the Internet network.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thod of galaxy-oriented astronomical education helped those attempting to approach astronomy academically for the first time grasp useful concepts as to the astronomical space, and let them look at the space in an objective sense, which was effective in forming cosmic structure and concepts. Second, the administration curriculum of astronomical observation team was related to data that systematically contained annual astronomical education concerning the operation of astronomical observation teams; thus, they could be suggested as beneficial teaching materials to the teachers who wanted to organize a school club meeting. Third, it has been noted that the level of students' satisfaction in p2d program and MSO program was very high, and they turned out to be effective learning methods that could be implemented even in times of rain when it would not be possible to conduct astronomical observation activities.

  • PDF

완전 개폐형 돔 엔클로져 (DOME ENCLOSURE: CLAM SHELL DESIGN)

  • 임홍서;강용우;변용익;문홍규;한원용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9권4호
    • /
    • pp.341-350
    • /
    • 2002
  • 한국천문연구원 지구접근천체 연구실과 연세대학교 천문대 YSTAR 팀은 해외에 설치될 전천탐 사용 광시야 망원경을 위한 돔 엔클로져(dome enclosure)를 순수한 우리 기술로 제작하였다. 이 돔 엔클로져는 망원경의 빠른 구동특성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완전 개방형의 구조를 지님과 동시에 다양한 기상 조건에 대응하도록 견고한 구조를 가지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자동 관측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무인 관측 시스템의 한 부분으로도 그 역할을 다하도록 전자 제어부도 함께 설계되었다. 개발된 돔 엔클로져는 현재 남아프리카공화국 천문대 써덜랜드 관측소에 설치되어 성공적으로 가동되고 있다.

기계학습 기반의 파이썬 모듈을 이용한 밀양아리랑우주천문대 전천 영상의 운량 모니터링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the Cloud Monitoring Program using Machine Learning-based Python Module from the MAAO All-sky Camera Images)

  • 임구;김도형;김동현;박근홍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11-120
    • /
    • 2024
  • 운량은 천체 관측을 지속하는 데에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과거에는 관측자가 날씨를 직접 판단할 수밖에 없었으나, 원격 및 자동 관측 시스템의 개발로 관측자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 또한 구름의 다양한 형태와 빠른 이동 때문에 자동으로 운량을 판단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기계학습 기반의 파이썬 모듈인 "cloudynight"을 밀양아리랑우주천문대의 전천 영상에 적용하여 운량을 모니터링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전천 영상을 하위 영역으로 나누어 각 39,996개 영역의 16개의 특징을 학습하여 기계학습 모델을 생성하였다. 검증 표본에서 얻은 F1 점수는 0.97로, 기계학습 모델이 우수한 성능을 가짐을 보여준다. 운량("Cloudiness")은 전체 하위 영역 개수 중 구름으로 식별 된 하위 영역 개수의 비율로 계산하며, 운량이 지난 30분 동안 0.6을 초과할 때 관측을 중단하도록 자동 관측 프로그램 규칙을 정하였다. 이 규칙을 따를 때, 기계학습 모델이 운량을 오판하여 관측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본 기계학습 모델을 통하여, 밀양아리랑우주천문대 0.7 m 망원경의 성공적인 자동 관측을 기대한다.

Development of the Auto-guiding program, KAP82 3.0

  • Ji, Tae-Geun;Pak, Soojong;Lee, Hye-In;Choi, Changsu;Im, Myungshin
    • 천문학회보
    • /
    • 제41권1호
    • /
    • pp.75.1-75.1
    • /
    • 2016
  • KAP82 (KHU Auto-guiding software Package for McDonald 82 inch telescope)는 천체망원경의 정밀한 추적을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프로그램으로, 미국 텍사스주에 위치한 McDonald 천문대의 82 inch 망원경에 장착된 광학 및 적외선 영역의 관측기기 SQUEAN (SED camera for Quasars in EArly uNiverse)과 함께 개발되었다. KAP82는 지난 한 해 동안 두 차례의 개정을 통해 프로그램 작동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동시에 가이드의 성능에도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다. 대상 별 중심을 찾는 알고리즘에 따라 KAP82 1.0에서는 가중 평균(weighted mean)을, KAP82 2.0에서는 산술평균을 활용해 자체 개발한 J-J 함수를 사용해 가이드를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이번에 개발한 KAP82 3.0은 가이드 알고리즘으로 가우스 함수를 채택하고, 제조사가 다른 다수의 상용 CCD카메라 및 망원경과 연결이 가능한 ASCOM Platform에서 작동하므로, 다른 시스템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포스터에서는 KAP82 3.0을 소개하면서 기존 KAP82버전들과 KAP82 3.0의 차이로 알아본 서로 다른 알고리즘에 따른 가이드의 정확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제시한다.

  • PDF

UDP 기반의 대용량 VLBI 데이터 전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UDP based Massive VLBI Data Transfer Program)

  • 송민규;김현구;손봉원;위석오;강용우;염재환;변도영;한석태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7-51
    • /
    • 2010
  • 본 논문에서 우리 대용량 데이터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프로그램 구현 및 시스템 최적화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수백 ~ 수천 km 떨어진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천체를 관측하는 VLBI에서 각 관측소는 수 TB에 달하는 대용량 데이터를 상관센터로 전송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전세계적으로 초고속 네트워크를 활용한 e-VLBI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 추세에 따라 초고속 네트워크 상에서 Gbps 급의 VLBI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프로그램 설계 및 시스템 구축에 대해 기술하였다. 기존의 VTP(VLBI Transport Protocol) 기반 데이터 전송을 넘어 보다 신속한 데이터 전달이 가능하도록 전송 프로그램 설계에 있어 UDP를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사용되는 VTP 프로그램에 Tsunami UDP 알고리즘을 이식하여 데이터 전달에 있어 성능을 극대화하였고, 시스템 최적화를 통해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KVN 각 사이트 간 데이터 전송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였다.

국내 소형천문대 기선을 이용한 근접 소행성 지심시차 측정 (Geocentric parallax measurements of Near-Earth Asteroid using Baselines with domestic small-size observatories)

  • 정의완;손정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398-407
    • /
    • 2016
  • 국내 교육용 천문대 네 곳과의 협력으로 세 개의 기선을 구축 및 동시 관측을 수행하여, 지구근접천체 Amor족 소행성인 1036 Ganymed의 지심시차와 거리, 운동 상태를 알아보았다. 관측은 2011년 9월에서 11월 동안, 동시 관측이 가능한 날에 이루어졌다. 1036 Ganymed의 거리는 9월 26일 0.40 AU, 10월 11일 0.40 AU, 10월 25일 0.34 AU 이었고, 각각은 미국 제트추진연구소가 제시하는 측정거리와 비교한 결과 오차 범위내의 값이었다. 1036 Ganymed는 관측기간 동안 순행 운동을 보였고, 접선 각속력은 $0.04-0.05^{{\prime}{\prime}}\;sec^{-1}$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 있는 교육용 천문대들의 동시 관측으로 0.4 AU 부근의 소행성에 대해 약 5% 정도의 오차 범위를 가지는 거리 측정치를 얻을 수 있음을 보였다. 이로부터, 교육용 천문대 간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협력 관측 수행이 이루어지고 새로운 연구연계 교육프로그램의 유형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4회 거대마젤란망원경 여름학교 - 의문들에 대한 해답을 찾아서 ($4^{th}$ K-GMT Summer School - Seeking Answers to Open Questions)

  • Lee, Joon Hyeop;Hwang, Narae;Park, Byeong-Gon;Kim, Yee Jin;Lee, Jae-Joon;Lee, Ho-Gyu;Kim, Minjin
    • 천문학회보
    • /
    • 제39권2호
    • /
    • pp.122.1-122.1
    • /
    • 2014
  • 다가오는 거대마젤란망원경 (GMT) 시대를 이끌어갈 신진 연구자들의 연구역량 증진을 위해, 2014년 8월 25일부터 29일까지 4박5일에 걸쳐 경상북도 경주시 대명리조트에서 제4회 거대마젤란망원경 여름학교를 개최하였다. 총 40명이 학생으로서 참가한 이번 여름학교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새로운 프로그램이 시도되었다. (1) 관측천문학의 기초, 우리은하 천문학의 기초, 외부은하 천문학의 기초 등 세 번의 기초강의를 선택적으로 제공하였다. (2) 별과 행성, 항성종족과 화학진화, 은하 형성, 고적색이동 천체와 재이온화, 우주론 등 총 다섯 개 분야에서 심화강의를 제공한 뒤에 각 강의내용과 연관된 열린 질문들을 화두로 해서 학생들 간에 조별 토론을 진행하였다. 이는 정해진 답이 없는 문제를 놓고 토론을 통해 능동적으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훈련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본 포스터에서는 제4회 거대마젤란망원경 여름학교의 결과를 정리하고 앞으로 나아갈 GMT 계절학교의 방향을 점검해본다.

  • PDF

태양풍 관측기 시제품 개발

  • 이방원;박용선;김창희;최한규;김정훈;노진철;이철환
    • 천문학회보
    • /
    • 제36권1호
    • /
    • pp.67.1-67.1
    • /
    • 2011
  • 태양으로부터 날아오는 고에너지 하전 입자들은 인공위성이나 지구의 통신장비에 심각한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태양풍의 물리량을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inter planetary scintillation 현상을 이용하여 태양풍의 운동을 예보하는 시스템을 전파연구소와 협력하여 개발할 예정이다. 그 첫 단계로 이 시스템보다 작은 규모의 시제품을 만들어 동작을 입증하고자 한다. 이 시제품은 각각 16개의 다이폴 안테나로 구성된 타일 3개로 이루어져 있다. 다이폴 안테나들의 중심주파수는 350MHz이고, 대역폭은 약10MHz이다. 48개의 다이폴 안테나들의 총 집광면적은 약 30m2이고, 타일 내의 다이폴 안테나들을 나선형으로 배열해 grating lobe의 크기를 감소시켰다. 각 안테나에서 나오는 신호는 저 잡음의 LNA를 이용해 증폭하여 beam former로 인가된다. Beam former는 안테나에서 나오는 신호의 위상을 조절하고 합쳐서 약 15도 크기의 빔을 만들고 전자적으로 천체를 추적한다. Beam former에서 나온 신호는 수신기에서 저주파의 신호로 변환되는데, 국부발진기를 조절하여 radio frequency interference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신기에서 나오는 아날로그 신호는 digitizer를 최대 107sps의 빠르기로 2바이트의 디지털 신호로 전환된다. Labvie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3개의 타일에서 나온 신호를 합성해서 태양 근처의 전파원을 추적하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