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천연식물추출물

검색결과 415건 처리시간 0.021초

쉬땅나무(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 열매의 항산화 활성 성분 (Antioxidative Constituents from Fruit of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

  • 박종혁;권진아;양윤정;한효상;한민우;이영일;김인수;이종일;강세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37-342
    • /
    • 2011
  • 합성항산화제의 독성과 부작용으로 인한 천연물유래 항산화제에 대한 관심과 연구개발이 활발한 가운데 추출물 단계에서 ORAC assay를 통하여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쉬땅나무(Sorbaria sorbfolia var. stellipila Max.) 열매의 생물학적 생리활성 성분을 분리, 동정하기 위하여 국내에 자생하는 쉬땅나무의 열매를 채집하여 80% MeOH로 추출한 후 일반적인 용매분획법에 의해 분획한 분획물과 추출물을 대상으로 ORAC assay를 실시한 결과 80% MeOH추출물과 EtOAc, n-BuOH분획에서 천연항산화제인 trolox보다 우수한 활성이 나타났으며, 이중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낸 EtOAc 분획물로 부터 각종 chromatography 기법을 통하여 분리, 정제한 결과 flavonoid계열의 화합물인 catechin을 단리 하였다. 단리 되어진 catechin은 쉬땅나무의 열매에서는 처음으로 본 연구에서 보고되는 성분으로 ORAC assay에서 대조군인 trolox에 비해 높진 않지만 유사한 활성이 나타나, vitamine E와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지며, 따라서, 이 성분 외에 다양한 항산화 활성 성분들의 복합작용으로 인하여 쉬땅나무열매 추출물 및 분획물이 vitamine E에 비하여 3배 이상의 높은 항산화 활성이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현재까지 쉬땅나무에 대한 식물학적 성분연구 및 유효활성 성분연구가 다른 천연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flavonoid계 화합물이 TLC확인 시험을 통하여 확인한 바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어, 향후 이와 유사한 다양한 flavonoid계열의 화합물을 분리하여,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천연물의약품의 기초자료 제공 등 항산화 성분연구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천연식물로부터 추출한 색소성분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Various Color Resources Extracted from Natural Plants)

  • 황초롱;강민정;심혜진;서화진;권오운;신정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65-172
    • /
    • 2015
  • 정향, 감, 오배자, 황벽, 치자, 홍화황 및 아나토와 같은 천연 식물로부터 얻어진 색소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오배자 추출물에서 2,441.45 mg/kg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정향 추출물에서 1,346.48 mg/kg으로 높았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및 환원력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오배자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alpha}$-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은 감 추출물에서 ($IC_{50}=22.83{\mu}g/mL$)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오배자 추출물에서 높았다. ${\alpha}$-Amylase 및 lipase에 대한 저해 활성 역시 감 추출물 처리 시 각각 49.45% 및 61.01%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20{\mu}g/mL$ 농도로 처리 시 3T3-L1 세포 내 지방 축적율은 감, 정향 및 아나토 추출물 처리군에서 각각 81.54%, 83.36% 및 85.70%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3T3-L1 세포 내 triglyceride 함량은 정향 추출물 처리군이 66.11%로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감 추출물 처리 군에서 88.88%로 유의적으로 낮았다. 천연식물류로부터 추출한 색소 원료 중 오배자 추출물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감 추출물은 소화효소 저해 활성과 3T3-L1 세포 내의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가짐으로써 항비만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멸종 위기에 처한 Bulbophyllum auricomum Lindl. orchid의 시험관 내 종자 발아를 통한 구근 절편체의 식물 재생 및 캘러스 유도에 대한 천연 추출물 및 식물 성장 조절제(PGR)의 효과 (Effects of Different Natural Extracts and Plant Growth Regulators on Plant Regeneration and Callus Induction from Pseudobulbs Explants through in vitro Seed Germination of Endangered Orchid Bulbophyllum auricomum Lindl.)

  • 땡기아웅;방극수;윤서아;고바울;배종향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33-141
    • /
    • 2022
  • Bulbophyllum auricomum Lindl.은 희귀 난초이며 매력적인 향기가 지닌 꽃이 피어난다. 본 연구는 미세 증식을 위한 조직 배양 방법을 조사하였다. 인공 자가 수분으로부터 파생된 캡슐은 MS 기본 배지에서 최상의 종자 발아를 위해 얻어진다. 식물 성장 조절제(1.0 mg/L의 BAP 및 2.0 mg/L의 NAA)는 원괴체 유래 유사구근 절편체의 캘러스 유도에 영향을 받았다. 캘러스 계대배양을 위해 10가지 처리 배지에서 다른 천연물 추출물을 테스트하였다. 이 중 150ml/L 코코넛 워터를 첨가한 MS 배지는 일반적으로 1개월 및 2개월에 생중량(1.75 ± 0.08) 및 (3.01 ± 0.20) 캘러스 증식 및 PLB 유도에 효과가 있었고, 그 다음으로 바나나 30g/L와 감자 추출물 20g/L의 MS 조합이 뒤를 이었다. 식물 생장 조절제와 천연 추출물을 함께 첨가한 MS배지와 천연 추출물만 첨가한 MS 배지를 비교 연구한 결과, 천연 추출물(코코넛 워터 150ml/L)과 식물 생장 조절제(BAP 2.0 mg/L 및 NAA 1.0 mg/L)를 혼합하여 MS 배지에 첨가한 결과 배양 1개월 및 2개월 후에 각각 가장 높은 새싹 재생수로 (3.37 ± 0.17) 및 (6.41 ± 0.68)을 얻었다.

식물세포배양기술을 이용한 순무 캘러스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Brassica rapa (Turnip) callus extracts by plant cell culture technology)

  • 신수영;모상현;황유진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3권2호
    • /
    • pp.248-25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 강화군의 특화작물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순무 캘러스를 배양하고 열수, 초음파 그리고 에탄올 추출하여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순무 캘러스의 열수, 초음파 그리고 에탄올 추출물에서 DPPH radical소거활성이 대조군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순무 캘러스 에탄올 추출물의 수렴효과는 열수 및 초음파 추출물보다 높게 나타났다. 콜라겐 생합성량을 측정한 결과 순무 캘러스 에탄올 추출물의 5 ppm과 10 ppm 농도에서 59%와 78%의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순무 캘러스의 열수, 초음파 그리고 에탄올 추출물이 천연 항산화 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에탄올 추출물은 수렴효과와 주름개선 효과가 뛰어나 기능성 화장품 천연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종자발아 및 유묘생장에 미치는 황련(Coptis chinensis) 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Solvent-extracts Extracted from Coptis chinensis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 이승엽;권태오;배종향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77-282
    • /
    • 2006
  • 천연 살초성분 해발을 위한 기초적 연구로 발아 및 생장억제물질 동정을 위하여 몇 가지 유기용매에 따른 황련의 분획 추출물에 대한 다른 식물의 종자발아 및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추출물에 대한 검정식물의 발아율은 들깨, 배추, 피, 참깨 순으로 억제되었으며, 2,000ppm ethyl acetate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발아억제를 보였다. 초장 및 뿌리생육은 참깨, 들깨, 배추, 피 순으로 억제되었으며, 특히 뿌리신장은 $H_2O$, butyl alcohol, hexane, ethyl acetate 추출물 순으로 억제정도가 심하였다 추출물에 대한 발아 및 유묘생육의 억제정도는 참해 및 배추에서 종특이적으로 작용하였으며, 특히 물 추출물은 종자발아 및 뿌리 신장에 천연살초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금후 천연제초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천연식물추출물(RIP)이 쥐의 간섬유화 치료에 미치는 영향 (Therapeutic Effects in the RIP-treated liver Fibrosis Rat Model)

  • 조수현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8권2호
    • /
    • pp.41-59
    • /
    • 2006
  • Chronic liver diseases and hepatic cancer have been reported as 10% of cause of death in Koreans. Regardless of various causes, chronic liver disease accompanies commonly hepatic fibrosis. But still the mechanism of hepatic fibrosis remains poorly understood. Using the dimethylnitrosamine(DMN)-induced hepatic fibrosis rat model, We performed to evaluate the possible therapeutic effect of RIP(extracts of Phellodendron amurense and Patrinia scabiosaefolia)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referential connective tissue proteins($TGF-{\beta}_1$, ${\alpha}$-smooth muscle actin, and vimentin) as a marker of fibrogenesis. For these purposes, liver tissues were stained with H & E, and Azan staining for estimation of developing fibrosis. In the DMN-treated rat liver tissue, fibrosis were developed forming incomplete septal fibrosis. Whereas, in the RIP-treated rat liver tissues, the fibrosis were decreased recovering to normal morphology. The expressions of $TGF-{\beta}_1$, ${\alpha}$-smooth muscle actin($\alpha-SMA$), and vimetin were increased in the DMN-treated rat liver tissues, but decreased in the various areas of RIP-treated rat liver tissues. According to these results, RIP could be a possible therapeutic agent to reduce hepatic fibrosis, and the $TGF-{\beta}_1$, ${\alpha}$-SMA, and vimentin could be possible indicative markers of hepatic fibrosis development and recovery.

  • PDF

천연 항산화제 첨가에 따른 식물성 크림의 유통기간 연장 (Shelf Life Extension of Non-Dairy Cream with the Addition of Natural Antioxidants)

  • 한희탁;차용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747-752
    • /
    • 2011
  • 트랜스산 문제로 경화공정이 기피되는 상황에서 식물성 유지의 산화안정성 향상과 이를 이용한 분말상 식물성크림의 유통기간 향상을 목적으로, 천연 유래의 산화방지제인 토코페롤, 녹차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ascorbic acid의 상승효과도 검토하였다. 또한 가속실험을 통하여 이들 제품의 유통기간 연장 가능성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팜유에 대한 항산화 활성이 가장 큰 항산화제는 녹차추출물이었으며 팜유에 400 ppm 첨가한 경우 OSI 시간은 67.7시간으로 팜유 대비 2.3배 향상되었다. 유통기간 예측을 위한 품질지표는 관능점수가 가장 높은 결정계수를 보였고, $20^{\circ}C$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녹차추출물(400 ppm) 첨가군 (TE)은 2.5개월(28%), 녹차추출물(400 ppm)과 ascorbic acid(0.002%)를 첨가한 군(TEA)은 5.5개월(62.5%)이 연장되었다. $25^{\circ}C$에서는 대조군이 7.2개월인 데 비하여 TE군은 8.9개월(23%), TEA군은 51% 향상된 10.9개월의 유통기간 연장효과를 보였다.

어성초, 금잔화 추출물의 모유두세포와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및 발모효과 (Cell Viability and Hair Growth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Houttuynia cordata Whole Plant and Calendula arvensis Flower on HDFDPC and 3T3-L1 Cells)

  • 진성우;김경제;고영우;임승빈;정상욱;서경순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79-79
    • /
    • 2018
  • 현대사회에서 스트레스, 환경오염 등으로 인하여 중년남성의 전유물로 여겨져 왔던 탈모가 젊은 사람들에게서도 나타나며, 탈모로 고민하는 인구가 약 700만 명 이상으로 추산되고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탈모관련 시장은 현재 약 4조원 규모이며 지속적인 성장세에 있으며, 주로 한약재등 천연추출물을 혼합하여 제품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어성초, 금잔화 70%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천연발모제 소재화를 목적으로 섬유아세포, 모유두세포,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및 지방전구세포 분화를 통한 발모 효능을 확인하여 약용작물을 이용한 향장품 소재화를 시도하고자 한다. 섬유아세포에 각 시료에 대한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는 어성초 70% 에탄올 추출물을 50, 100, $500{\mu}g/mL$으로 처리하였을 때 107.3%, 109.6%, 128.2%로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다. 모유두세포에 대한 각 시료의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모발의 생육을 촉진하는 혈소판에서 유래하는 성장인자를 분비하여 모발 재생에 효과를 나타내는 지방전구 세포의 지방 분화 확인 결과 금잔화와 어성초 70% 에탄올 추출물을 $10{\m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각각 104.3%, 103.9%의 분화율을 나타내었고, 어성초 출물의 경우 처리 농도의 증가에 따라 지방분화율이 유의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육모용 모발제품 소재 개발을 위한 생약초 자원들의 in-vitro 육모활성관련 실험 결과 어성초와 금잔화는 각 세포에 대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어성초 70% 에탄올 추출물은 지방전구세포를 자극하여 지방 분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어성초와 금잔화 70% 에탄올 추출물은 탈모관련 향장품 개발 소재로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Propionibacterium acnes에 대한 제주 자생식물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효과 검색 (Screening of the Antibacterial Effects by Ethanol Extracts from Natural Plant in Jeju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 고미옥;강희주;황준호;양경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59-66
    • /
    • 2018
  • Propionibacterium acnes (P. acnes)는 여드름의 주요 병원성균으로 염증성 질환에 관련된 미생물 중에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드름 주요 유발 균주인 P. acnes에 대하여 70% Ethanol로 추출한 제주 자생식물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disc diffusion test 실험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61개의 제주 자생 식물 추출물 중에서 45개 추출물의 항균 활성이 검출되었으며, 16개의 추출물은 항균 활성이 검출되지 않았다. 그중에서 여우 구슬(Phyllanthus urinaria L.) - 줄기 잎 추출물이 $18.96{\pm}0.69mm$로 가장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뿌리, 돌외(Gynostemma pentaphyllum (Thunb.) Makino),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 잎 줄기, 산박하(Isodon inflexus (Thunb.) Kudo), 차나무(Camellia sinensis L.) - 꽃, 그리고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L.) - 줄기 추출물 순으로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제주 자생 식물 추출물이 여드름 치료 예방의 항균제 및 기능성 화장품 천연 원료로써의 이용 가능성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