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천마

검색결과 297건 처리시간 0.027초

마분말과 천마분말이 흰쥐의 간, 뇌 및 신장의 지질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oscorea batatas and Gastrodia rhizoma on Lipid Compositional Changes of Liver, Brain and Kidney in Rats)

  • 박필숙;성낙주;박미연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88-194
    • /
    • 1999
  • The present study tested to recommend optimum level of Gastrodia rhizoma and effect on the compositional changes of the lipids in Sprague Bawley rats which were fed control diet adding 5, 10, 15% Dioscorea batatas powder and 5, 10, 15% Gastrodia rhizoma powder for 3 weeks,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moisture. ash, fat, protein and carbohydrate in dried Gastrodia rhizoma were 5.9, 2.7 2.1, 0.9 and 88.4%(w/w) respectively.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and free cholesterol in liver were the lowest in the 10% Gastrodia rhizoma group. Concentrations of triglyceride and phospholipid in liver were lower in the 10 and 15% Gastrodia rhizoma groups than in the other groups.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free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phospholipid in brai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 6, 7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Concentrations of triglyceride and phospholipid in kidney were slightly lower in the Gastrodia rhizoma groups than those in the Dioscorea batatas groups.

  • PDF

천마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nstituents in the Rhizoma of Gastrodia elata)

  • 김용규;이종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5호
    • /
    • pp.455-458
    • /
    • 1997
  • Crude oils in the rhizoma of fresh and dried Gastrodia elata were obtained by a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SDE) method using n-pentane/diethyl ether (1 : 1) as solvent, and their volatile constituent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GC/MS) A total of 39 volatile flavor constituents (11 acids, 13 alcohols,6 hydrocarbons,7 carbonyls,2 esters) and 25 constituents (6 alcohols, 13 acids, 4 hydrocarbons, 1 carbonyl, ester) were identified in the fresh and dried Gastrodia elate respectively. The major volatile components of the fresh and dried sample were hexadecanoic acid(66.78%, 50.72%), 9-hexadecenoic acid(8.07%, 9.58%), heptadecanoic acid(2.01%, 0.13%), pentadecanoic acid(6.41%, 4.94%), p-cresol(1.43%,0.52%) and cyclododecene(1.83%, 6.00%).

  • PDF

천마 탐지레이더 Limit&STC 조립체 개선을 통한 탐지성능 향상 (Detection Performance Improvement by Limit&STC Assembly Betterment of Surveillance Radar)

  • 윤재복;김시옥;금종주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8
    • /
    • 2016
  • In this paper, we have described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surveillance radar to prevent damage or malfunction of surveillance radar RF head unit due to the strong reflections caused by artificial obstacles at close range. We have proposed a techniqu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RF head unit as a solu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operating system and improve radar performance. We have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improvement by comparing the before and after results applied to actual system.

천마총 출토 철부(鐵釜)의 제작기법 및 보존처리 (Study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 Conservation of Iron Pot from Cheonmachong Ancient Tomb)

  • 이승렬;신용비;정원섭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63-275
    • /
    • 2014
  • 천마총(황남동 제 155호 고분)에서 출토된 철부(鐵釜)의 제작기법 및 보존처리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철부의 제작기법을 조사하기 위하여 유물 중 일부를 채취하여 마운팅 후 연마하고, etching을 실시하여 금속조직을 관찰하였고, 비금속개재물부분은 SEM-EDS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금속학적 조직검사와 SEM-EDS분석 결과 철 솥은 백주철 조직이 관찰되었고, 주조 후 상온에서 서서히 건조시킨 것으로 보이며, 취성을 개선하기 위해 별다른 열처리를 시도한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 몸통 중심부의 폭3cm 두께 1.5cm 전이 확인됨에 따라서 가로식 거푸집을 활용한 이분제작기법을 사용하여 주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백주철 조직과 가로식 거푸집을 활용한 제작기법은 비슷한 시기인 식리총과 황남대총에서 출토 된 철 솥에서도 나타나는 것으로, 당시 주조품의 생산기술이 동일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보존처리는 크게 처리전조사, 이물질제거, 탈염처리, 강화처리, 접합 복원, 색맞춤의 순서로 진행하였으며, 처리과정 중 필요에 따라 세척 및 건조를 실시하였다. 강화처리는 유물의 크기로 인하여 진공함침에 어려움이 있었으므로, 저농도의 Paraloid NAD-10을 2-3차례 붓으로 도포하였고, 보존처리가 완료된 후 15wt.% Paraloid NAD-10용액으로 표면을 재강화하였다. 파손부위의 복원은 섬유강화플라스틱 수지(POLYCOAT FH-245,몰드 적층용)를 사용하여 파손 부위와 유사한 형태의 모형을 만든 후 접합하여 복원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철제유물의 보존처리뿐만 아니라 5-6세기 주조 철솥의 제작기법에 대한 자료를 축적함으로 향후 보다 나은 연구를 위한 발판으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열처리와 한약재 추출물이 발아현미의 GABA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t Treatment and Selected Medicinal Plant Extracts on GABA Content after Germination)

  • 전건욱;이미영;윤재민;장성호;정미리;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54-15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현미 발아 시 침지 및 발아 조건에 따른 GABA 함량의 변화를 분석하고 효과적으로 GABA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처리조건을 살펴보았다. 발아 현미의 GABA 함량 증가를 위해 침지 전 열처리를 실시하였으며, 한약재로 널리 쓰이는 오미자와 용안육, 구릿대, 천마를 침지수와 발아수로 이용하였을 때의 GABA 함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45^{\circ}C$에서의 열처리군이 3977.3 nmol/g로 무처리군에 비해 약 1.4배 정도의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한약재를 침지 및 발아수로 이용한 결과 용안육은 3% 추출물을 발아수로 이용하였을 경우가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여주었으며, 오미자는 5% 추출물을 발아수로 이용한 경우가 대조군보다 2.1배로 가장 높은 GABA 함량을 나타내었다. 천마 추출물의 경우는 5% 추출물을 침지수와 발아수로 이용했을 경우 약 2.5배의 증가율을 보여 실험한 한약재 중 가장 높은 효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점차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발아현미 연구에 있어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쌀 소비촉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도산구곡의 원형경관에 관한 연구 - 제4곡 분천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rototype Landscape of Dosangugok - Focused on Valley4 Booncheon -)

  • 박은희;장운기;윤민규;조병상;이재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5-105
    • /
    • 2014
  • 도산구곡(陶山九曲)은 경북 안동시 도산면에 소재한 도산구곡 중 제4곡 분천을 중심으로 원형경관을 분석하였다. 도산구곡의 원형경관을 추정하기 위하여 "농암집(聾巖集)", 시 문(詩文) 등 고문헌을 조사한 뒤 경관요소를 추출하고 현지조사에서 확인 가능한 경관요소를 제시하였으며 회화작품을 중심으로 분천마을의 배치를 추정하였다. 시문분석에서는 29개의 경관요소를 추출하였으며 현지조사 결과 이중 점암(자리바위), 농암(聾巖:귀먹바위), 사자석(獅子石: 사자바위), 상암(象巖: 코끼리바위), 대(臺), 분강 등 6개소가 현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회화 작품에서는 분강과 인접한 바위 위의 애일당과 그 뒤쪽 마을 안에 분천서원, 분강변의 귀먹바위, 점암 등 바위가 표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측량은 분천마을의 농암종택 옛 터를 중심으로 농암 이현보의 17대 종손(이성원 박사)과 인터뷰 및 현지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를 도면화 하고 이 일대의 추정도를 작성하여 원형경관을 재현코자 하였다.

반하백출천마탕(半夏白朮天麻湯)과 반하백출천마탕가미방(半夏白朮天麻湯加味方)의 항암효과(抗癌效果)와 면역반응(免疫反應)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Experimental studies on antitumor effects and immune responses of Banhabaekchulcheonmatang and Banhabaekchulcheonmatanggamibang)

  • 백태현;류봉하;박동원;류기원
    • 대한한방종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41-165
    • /
    • 1995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nhabaekchulcheonmatang and Banhabaekchulcheonmatanggamibang on antitumor effects after Sarcoma-180 cells transplantation into the peritoneal cavity or left groin in mice, and immune responses in mice induced by methotrexate, the extracts of its herbal medicines were orally administered for 14 or 21 days. Experimental studies were performed for measurance of mean survival days, tumor and body weight for antitumor effects, and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hemagglutinin titer, hemolysin titer, rosette forming cells,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and phagocytic activity for immune responses in ICR mic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Mean survival time in Banhabaekchulcheonmatang and Banhabaekchulcheonmatanggamibang-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prolonged,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P<0.010, P<0.005). 2. Tumor weight in Banhabaekchulcheonmatang and Banhabaekchulcheonmatanggamibang-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depressed,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P<0.050, P<0.050). 3. Body weight in Banhabaekchulcheonmatang-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0), but in Banhabackchulcheonmatanggamibang-treated group was slightly increased with no effectivenes,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4.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in Banhabaekchulcheonmatang and Banhabaekchulcheonmatanggamibang-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P<0.010, P<0.050). 5. Hemagglutinin titer in Banhabaekchulcheonmatang and Banhabaekchulcheonmatanggamibang-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P<0.050, P<0.050). 6. Hemolysin titer in Banhabaekchulcheonmatanggamibang-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0), but in Banhabaekchulcheonmatanggamibang-treated group was slightly increased with no effectiveness,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7. Rosette forming cells in Banhabaekchulcheonmatang and Banhabaekchulcheonmatanggamibang-treated group was slightly increased with no effectiveness,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8.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in Banhabaekchulcheonmatang and Banhabaekchulcheonmatanggamibang-treated group was slightly increased with no effectiveness,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9. Phagocytic activity in Banhabaekchulcheonmatanggamibang-treated group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0), but in Banhabaekchulcheonmatanggamibang-treated group was increased with no effectiveness,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could be suggested that Banhabaekchulcheonmatang and Banhabaekchulcheonmatanggamibang have prominent antitumor effects, and enhance both cellular and humoral immunity.

  • PDF

한반도 야생란의 분포 및 보호 대상 식물 (Distributions and Red Data of Wild Orchids in the Korean Peninsula)

  • 이진실;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35-360
    • /
    • 2006
  • 표본에 근거하여 한반도 야생란 88분류군에 대한 분포를 조사하고, 각 분류군의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한반도내 8개 식물 분포 아구에 분포하는 야생란의 분류군 수는 다음과 같았다; 갑산아구 27분류군, 관북아구 21분류군, 관서아구 13분류군, 중부아구 37분류군, 남부아구 39분류군, 남해안아구 33분류군, 제주도아구 64분류군, 울릉도아구 19분류군. 한반도 야생란의 72.7%가 제주도에 자라는데, 이 중 18분류군은 한반도에서는 제주도에만 분포한다. 한반도 야생란 중 30분류군은 상록활엽수림대에 자라며, 16분류군은 북부지역이나 고산에 분포하는 북방계 요소였다. 분포 조사를 기초로, 한반도 야생란을 국내에서 변형한 IUCN 적색 목록 범주에 따라 분류하였다. 절멸종(EX) 또는 야생에서의 절멸종(EW)에 속하는 난초과 식물은 한반도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위급종(CR)에 속하는 분류군은 Cymbidium kanran(한란), C. lancifolium(죽백란), C. ensifolium(소란), Cypripedium japonicum(광릉요강꽃), Cyrtosia septentrionalis(으름난초), Dendrobium moniliforme(석곡), Habenaria chejuensis(제주방울란), H. radiata(해오라비난초), Neofinetia falcata(풍란), Sedirea japonica(나도풍란) 10분류군이었는데, 이 중 소란과 제주방울란은 이번 연구에서 처음으로 CR 범주로 기록되었다. 한편, 위기종(EN)으로 분류된 것은 22분류군으로, 이 중 Gastrochilus japonicum(탐라난), G. fuscopunctatus(금자란), Gastrodia verrucosa(한라천마), Habenaria flagellifera(방울난초), Herminium lanceum var. longicrure(씨눈난초), Chamaegastrodia sikokiana(애기천마), Lecanorchis kiusiana(제주무엽란), Neottia hypocastanoptica(한라새둥지란), Tipularia japonica(비비추난초)가 이번 연구에서 최초로 EN 범주에 포함되었다.

한국산 민주름버섯목의 분류학적 연구 (II) -수종 미기록종에 대하여- (Taxonomic study on Korean Aphyllophorales (II) -on some unrecorded species-)

  • 정학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3호통권78호
    • /
    • pp.228-236
    • /
    • 1996
  • 1994년 5월부터 1994년 10월까지 도합 11차례에 걸쳐 우리나라 전역의 11개 지역을 탐색하여 290점의 목재부후균류 표본을 확보하고 최근의 분류체계를 따라 자실체의 형태학적인 관찰을 통하여 분류 동정하였다. 그중 가장 많은 종류를 차지하는 종류는 민주름버섯목 균류로서 7과 42속 57종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들 중 도합 1속 6종이 국내 미기록으로 판명되었다. 해당 미기록속은 고약버섯과의 가루고약버섯속(신칭, Tylospora)으로 그리고 해당 미기록종은 고약버섯과의 조각부후고약버섯(신칭, Athelia fibulata), 백설후막고약버섯(신청, Hypochnicium punctulatum), 흰가루고약버섯(신칭, Tylospora fibrillosa), 꽃구름버섯과의 배착꽃구름버섯(신칭, Stereum ochraceo-flavum), 수염버섯과의 흰바늘버섯(신칭, Steccherinum litschaueri), 그리고 구멍장이버섯과의 배착손등버섯(신칭, Oligoporus undosus)으로 동정되었다. 최근 정학성은 한국산 목재부후균류의 분포상에 대한 연구 제 2보를 통하여 국내의 15개 국립공원과 7개 일반 지역 및 2개 도서지역을 탐색한 결과 국내 목재부후균류의 민주름버섯류를 217종과 1변종으로 확인한바 있으며, 이어 균학회지에 게재한 한국산 민주름버섯목의 분류학적 연구 제 1보에서 추가로 발표한 1속 6종 미기록종과 함께 본 연구의 결과를 합산하면 한국산 목재부후 민주름버섯류는 도합 17과 101속 230종 1변종으로 집계되었다 이들 미기록종 균류는 관악산, 덕유산, 소백산, 지장봉, 및 천마산에서 채집되었으며 섬유부후고약버섯과 배착꽃구름버섯은 참나무, 흰바늘버섯은 단풍나무, 주로 침엽수에 서식하는 배착손등버섯은 딱총나무, 삼림의 부후재목과 부식토에서 발견되는 흰가루고약버섯은 미확인 활엽수, 그리고 낙엽송과 향나무와 같은 침엽수 위주의 숙주에 서식하는 백설후막 고약버섯은 참나무와 같은 활엽수에서도 발견되었다. 그중 백설후막고약버섯과 배착꽃구름버섯은 경기도 남양주군 화도면 천마산에서 그리고 백설후막고약버섯과 흰가루고약버섯 및 배착손등버섯은 경기도 포천군 관인면 지장봉에서 채집되었는데 이들 지역은 그간 균류조사의 미답지였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이들 지역의 균류 분포상의 다양성과 특이성을 처음으로 알 수 있었다. 과거에 조사된 균류의 분포 기록을 참조하여 볼 때 경기도 남양주군 진접읍 광릉 일대에서 다양한 균류상이 계속적으로 보고되어 왔는데 금번 조사를 통하여 경기도 포천군과 광릉 지역을 포함한 남양주군 일대가 민주름버섯류의 분포상 연구에도 매우 이상적인 지역으로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