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s and Red Data of Wild Orchids i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야생란의 분포 및 보호 대상 식물

  • 이진실 (인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 최병희 (인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Received : 2006.09.07
  • Accepted : 2006.12.15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The distribution on 88 taxa of wild orchids in the Korean Peninsula was investigated by the examinations of specimens and the distribution maps were presented. The species numbers distributed at each eight floral regions in the Korean Peninsula are as the followings; Gapsan Province 27 taxa, Gwanbuk 21, Gwanseo 13, Middle 37, South 39, Southern-coast 33, Jeju 64 and Ulleung 19. Most species (72.7%) of Korean wild orchids are found in the Jeju Island. Eighteen taxa of them are restricted to the island in the Korean Peninsula. Among Korean species, 30 taxa grow at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and 16 are northern elements distributed at high mountains or northern part. In terms of distribution, the Korean wild orchid species are classified into IUCN Red List Categories by a modified criterion for Korean plants. No orchid species included EX or EW categories is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Ten species are designated to be in CR category; Cymbidium kanran, C. lancifolium, C. ensifolium, Cypripedium japonicum, Cyrtosia septentrionalis, Dendrobium moniliforme, Habenaria chejuensis, H. radiata, Neofinetia falcata and Sedirea japonica, of which C. ensifolium and H. chejuensis are regarded as CR species for the first time. On the other hand, 22 taxa are classified into EN category, and the following nine taxa are newly proposed to be EN species; Gastrochilus japonicum, G. fuscopunctatus, Gastrodia verrucosa, Habenaria flagellifera, Herminium lanceum var. longicrure, Chamaegastrodia sikokiana, Lecanorchis kiusiana, Neottia hypocastanoptica and Tipularia japonica.

표본에 근거하여 한반도 야생란 88분류군에 대한 분포를 조사하고, 각 분류군의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한반도내 8개 식물 분포 아구에 분포하는 야생란의 분류군 수는 다음과 같았다; 갑산아구 27분류군, 관북아구 21분류군, 관서아구 13분류군, 중부아구 37분류군, 남부아구 39분류군, 남해안아구 33분류군, 제주도아구 64분류군, 울릉도아구 19분류군. 한반도 야생란의 72.7%가 제주도에 자라는데, 이 중 18분류군은 한반도에서는 제주도에만 분포한다. 한반도 야생란 중 30분류군은 상록활엽수림대에 자라며, 16분류군은 북부지역이나 고산에 분포하는 북방계 요소였다. 분포 조사를 기초로, 한반도 야생란을 국내에서 변형한 IUCN 적색 목록 범주에 따라 분류하였다. 절멸종(EX) 또는 야생에서의 절멸종(EW)에 속하는 난초과 식물은 한반도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위급종(CR)에 속하는 분류군은 Cymbidium kanran(한란), C. lancifolium(죽백란), C. ensifolium(소란), Cypripedium japonicum(광릉요강꽃), Cyrtosia septentrionalis(으름난초), Dendrobium moniliforme(석곡), Habenaria chejuensis(제주방울란), H. radiata(해오라비난초), Neofinetia falcata(풍란), Sedirea japonica(나도풍란) 10분류군이었는데, 이 중 소란과 제주방울란은 이번 연구에서 처음으로 CR 범주로 기록되었다. 한편, 위기종(EN)으로 분류된 것은 22분류군으로, 이 중 Gastrochilus japonicum(탐라난), G. fuscopunctatus(금자란), Gastrodia verrucosa(한라천마), Habenaria flagellifera(방울난초), Herminium lanceum var. longicrure(씨눈난초), Chamaegastrodia sikokiana(애기천마), Lecanorchis kiusiana(제주무엽란), Neottia hypocastanoptica(한라새둥지란), Tipularia japonica(비비추난초)가 이번 연구에서 최초로 EN 범주에 포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Dressler, R. L. 1993.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the Orchid Family' Discorides Press, Oregon
  2. Satorni, S. 1982. Orchidaceae, In Satake, Y., J. Ohwi, S. Kitamura, S. Watari and T. Tominari (eds.l, Wild Flowers of J.apan I. Heibonsha, Tokyo (in J.apanese)
  3. 김문흥. 1985. 제주식물도감. 제주도
  4. 김수남, 이경서. 1997. 한국의 난초. 교학사, 서울
  5. 김선희, 김윤식. 1986 한국산 나리난초속 (Liparis )의 형태학적 및 세포학적 연구. 식물분류학회지 16: 59-88
  6. 김용원, 박재홍, 홍성천, 최 경, 윤충원, 오승환 1998. 윈색 경상북도자생식물-도감 GRAFICA, 서울
  7. 김윤식, 김상호.1989 한국산 새우난초속의 분류학적 연구. 식물분류학회지 19: 273-287
  8. 박만규 1975. 한국식물 중 절멸 또는 그 위기에 있는 것과 희귀종에 관한 조사연구. 자연보존지 8: 3-24
  9. 방상원, 안선영. 2005. 멸종위기야생동 .식물종의 선정 평가기법 연구. 한국환경 .정책평가연구원 서울
  10. 엄상미 2003. Phylogenetic status of Oreorchis coreana Finet (Orchidaceae) implied by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오병운, 조동광, 김규식, 장창기. 2005. 한반도 특산 관속식물. 국립수목원, 경기도
  12. 오용자, 이창숙 1988. 한국미기록증식물 꼬마은난초(신칭). 성신여자대학교 기초과학지 5:7-9
  13. 오용자, 현진오 1998 한국의 멸종 위기 및 보호 야생 동식물. 식물류, 교학사, 서울
  14. 이영노. 1981. 한국의 희귀 및 위기동식물. 식물편. 한국자연보존협회, 서울
  15. 이영노. 1989. 한국의 희귀 및 위기 동식울도감 식물편, 한국지연보존협회, 서울
  16. 이영노, 이경서, 진용만. 2001. 제주자생식물도감. 여미지, 제주도
  17. 이우철, 임양재. 1978 한국산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식물분류학회지 8(부록) : 1-33
  18. 이우철, 임양재. 2002 식물지리 강원대학교 출판부, 춘천
  19. 이웅빈, 김윤식 1986. 한국산 은대난초속(Cephalanthera) 의 분류학적 연구. 식물분류학회지 16: 39-57
  20. 이원열, 이유미, 김용식. 1996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 -보존지침 및 대상 식물-. 산림청. 임업연구원. 생병의 나무, 서울
  21. 이유미, 이윈열. 1997. 희귀 빚 멸종 위기 식물도감. 산림청. 임염연구원 중부임업시험장 생명의나무, 서울
  22. 이종석. 1984 한국 야생란의 종류와 지리적 분포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논문집 19: 31-54
  23. 이진실, 최병희. 1996. 한국산 보춘화속의 분류학적 검토. 식물분류학회지 26: 141-154
  24. 이진실, 최병희. 1997. 힌국산 난과 식물 종명. 인하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18:49-70
  25. 이진실, 최병희, 2005. 한국산 제비 난초속 (Platanthera ) 의 분류학적 검토: 외부형태학작 형질을 중심으로. 식물분류학회지 35: 25-46
  26. 이진실, 최병희, 2006. 한국산 해오라비난초속 (Habenaria)의 분류와 분포. 식물분류학회지 36: 109-127
  27. 이창복. 1975. 밝혀지는 식물자원 (V). 식물분류학회지 6: 17-19.
  28.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29. 임록재. 2000. 조선식물지 9. 과학기술출판사, 평양.
  30. 자연보호중앙협의회 1999 한반도에서 사라져가는 동식물들. 가람기획, 서울
  31. 장진성, 김휘, 김용식. 2001. 국내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평가에 대한 재고. 식물분류학회지 31: 107-142
  32. 정진성, 이흥수, 박태윤, 김 휘. 2005. IUCN 적색목록 기준에 의한 환경부 멸종 위기 야생식물종에 대한 평가. 한국생태학회지 28: 305-320
  33. 정태현. 1957. 한국식물도감(하). 신지사, 서울
  34. 태경환, 이은혜, 고성철. 1997. 한국산 사철란속의 형태학적 및 세포학적 형질에 의한 계통분류학적 연구. 식물분류학회지 27: 89-116
  35. 현진오. 2005 사계절 꽃산행. 궁리출판, 서울
  36. 홍성천, 김용원, 박재홍, 오승환, 김진석, 장병태. 2002. 울릉군 원색식물도감. 동아문화사, 대구
  37. 환경부, 자연보존협회. 2001 멸종위기야생동식물 및 보호야생동식물의 지정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38. 환경부. 2005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화보집. 환경부 자연자원과, 경기도
  39. 환경처. 1994. 특정 야생 동.식물 화보집. 웃고문화사, 서울
  40. 환경청. 1989. 특정야생동.식물해설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