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700/KITLA.2014.32.2.095

A Study on Prototype Landscape of Dosangugok - Focused on Valley4 Booncheon -  

Park, Eun-He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Jang, Woun-gi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Youn, Min-Giu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Jo, Byeong-Sang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Lee, Jae-Keun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myung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v.32, no.2, 2014 , pp. 95-10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Dosangugok is located at Dosan-myeon, Andong City, Gyeongbuk and its original landscape was analyzed based on Valley4 Buncheon among Dosangugok. In order to estimate original landscape of Dosangugok, landscape elements were extracted after investigating ancient literatures including 'Nongamjib' and poetry/prose relevant to Dosangugok, landscape elements that could be confirmed at local site survey were suggested and arrangement of Buncheon village was estimated based on painting works. In analysis of poetry/prose, 29 landscape elements were extracted and as a result of local site survey, 6 places including Jeomam (Jari-bawi), Nongam (Gwimeok-bawi), Sajaseok (Saja-bawi), Sangam (Elephant rock), Dae and Bungang were confirmed to be existed at present and in painting works, Rocks such as Aeildang on the rock adjacent to Bungang, Buncheon Seowon at its backyard village, Bungang Byeoneui Gwimeokbawi, Jeomam were confirmed to be expressed even though not expressed in detail. Survey was performed based on ancient site of Nongam head house in parallel with interview with 17th eldest grandson(Ph.D. Lee, sung won)of Nongam Lee, Hyeon Bo and local site survey and original landscape was reproduced by making its result as a drawing and preparing an estimated map around this area.
Keywords
Dosangugok; Gugok landscape; Nongam Jongtaek; Aeildang; estimated map;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기근도(2008). 동천구곡의 분포특성과 자연지리적 성격. 경남문화연구 소보. 제29호: 233-247.
2 김덕현(2010). 무이구곡과 조선시대 구곡경영. 한국국학진흥원. 안동학연구. 제9집: 92.
3 김문기(2008). 경북의 구곡문화 I. 경상북도.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19.
4 김문기(2009). 도산구곡시의 작품 현황과 창작 경향. 한국의 철학. 제45호: 221-255.
5 김문기, 강정서(2012), 경북의 구곡문화 II, 경상북도.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10-11.
6 김수진, 심우경(2005). 高山九曲에 나타난 栗谷의 景觀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4): 1-13.
7 김수진, 김태수, 심우경(2008). 한강 정구(1543-1620)의 무흘구곡 경영과 이상향.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4): 59-73.
8 노재현(2008a). 중국 무이구곡의 장소 미학과 하천형태학적 특성 -국내 구곡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4): 1-11.
9 노재현(2009b). 이산구곡가를 활용한 "마이승경"의 스토리텔링 전략.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1): 20-34.
10 노재현, 김연(2011c). 계룡산 갑사구곡과 용산구곡 원림의 실체 및 특성. 월간 문화재. 44(1): 52-71.
11 노재현, 박주성, 심우경(2011d). 구곡원림에서 찾는 신선경의 경관스토리보드-괴산갈은구곡을 대상으로-. 29(1): 90-104.
12 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2013). 울주 대곡천 일원 명승 지정 조사보고서: 13.
13 박청인, 김정태(2002). 곡운구곡의 형성배경과 경관의 의미. 한경대학교 논문집. 제33호: 283-291.
14 이동수(2011), 도서출판 대가, 자연을 벗삼아 군자의 길을 걷다 도산구곡 예던길.
15 이상주(2013). 畿湖士林의 '道統意識'이 구곡문화와 그 시대에 끼친 영향. 景雲 申哲雨先生 서거십주년추도기념논총. pp. 256-257.
16 이석해, 이행렬(2001). 문화경관으로 본 곡운구곡의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9(4): 47-59.
17 임노직(2010). 퇴계학파의 무이도가 수용과 도산구곡. 안동학연구, 제9호: 45-70.
18 이성원(2008), 천년의 선비를 찾아서, 도서출판 푸른역사.
19 이성원(2010). 도산구곡 유역의 유교문화. 안동학연구. 제9호: 9-29.
20 이종호(2010), 영남선비들의 구곡경영과 최남복의 백련서사,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제18호: 99-158.
21 임노직(2011). 퇴계의 무이도가 수용과 이야순의 도산구곡 고찰. 동아인문학. 제20호: 422.
22 임재철, 장동수(2001). 벽계구곡의 경관 의미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노문리 수입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9(1): 19-29.
23 울산대곡박물관(2010). 자연에서 찾은 이상향 구곡문화: 126-129.
24 윤진영(2011). 도산도陶山圖의 전통과 도산구곡陶山九曲. 안동학연구. 제10호: 69-122.
25 정우락(2012). 한강 정구의 무흘 경영과 무흘구곡 정착과정. 한국학논집. 제48호: 86
26 청량산박물관(2012). 국역 오가산지(吾家山誌).
27 최기수(1990). 曲과 景에 나타난 韓國傳統景觀 構造의 解釋에 관한 硏究.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최기수(1991). 덕동구곡에 나타난 전통경관구조의 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논문집. 제25호: 279-293.
29 한승희(2012). '구곡'에 관한 지형경관 분석과 스토리텔링-대구.경북권을 사례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헤리티지채널. 명사칼럼(이재근). 귀거래(歸去來)와 효(孝)를 실천한 농암(聾巖)의 애일당(愛日堂).
31 헤리티지채널. 명사칼럼(이재근). 예던길에 만나는 수묵화의 절정 안동의 고산정(孤山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