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처용무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1초

조선시대 연회도에 나타난 '처용무' 복식 - "악학궤범" 처용무 복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eoyongmu's costume of the paintings of Banquets during the Ch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the Cheoyongmu's costume in Akhakgwebeom -)

  • 김문자
    • 패션비즈니스
    • /
    • 제13권4호
    • /
    • pp.112-12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s the Cheoyongmu's costume of the paintings of Banquets during the Ch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the Cheoyongmu's costume in Akhakgwebeom. The method of the study is the literature analysis closely the occurrence, feature, and function of the Cheoyongmu by analyzing the costume process of transition of the eras was analyzed into the function and feature. The research was don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 of the costume in Akhakgwebeom. In term of difference, of the Cheoyongmu's costume of the paintings of Banquets and Akhakgwebeom had the shape and colour. In headgear, Samo(: 紗帽) or Bokdu was worn and the flower decoration on the Samo and Ui(:衣)was different pattern. The Gilgyong(:吉慶) was not worn. Hye(: 鞋) and Hwa(:靴) was worn and the colour of Hwa was different.

한국춤 스토리텔링 관점과 모색방안 - 처용무 텍스트를 예로 - (Dance Storytelling Perspective and Searching for Dance in Korea - Cheoyongmu text Centered on -)

  • 김지원
    • 공연문화연구
    • /
    • 제35호
    • /
    • pp.373-404
    • /
    • 2017
  • 문화예술로서 춤은 역사이며 전통이자 의식 활동의 지속으로 한민족의 정체성을 이어갈 과거에서 현재, 미래적 활동이다. 이에 스토리텔링은 단순히 지나간 역사적 배경에 대한 서술이 아니라 재창조 되고 있는 영원성을 담고 있다. 본 연구로부터 춤의 예술적 미의 탐구는 전통이라는 오랜 역사를 통해, 오히려 '스토리텔링'이라는 본래적 본질과 가치에 대해 물음을 던지고 있다. 그 간의 춤 연구가 미학적 본질 또는 사상적 체계를 위한 이론가들의 연구였다면, 춤을 '이야기하다'라는 스토리텔링의 관점은 춤의 핵심구조와 사유에 관한 대중적 이해방식과 인문학적 가치탐구에 대한 절실한 태도를 상기시켜주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스토리텔링의 개념적 정의에서 춤의 다양한 콘텐츠를 구축하기 위한 방편으로 스토리텔링의 유용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예로 제시된 처용무 텍스트의 방법론적 모색은 언어적 서사구조를 넘어 독자적인 예술로서 심층적 의미망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원형콘텐츠의 DB로서 스토리텔링 개발의 중요성을 시사해 주었다.

<<약학궤범>>에 나타난 처용무 복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lothing for Cheo-Yong Dancing Appeared in Ak-Hak-Gue-Bum)

  • 전혜숙;김태은
    • 복식문화연구
    • /
    • 제12권4호
    • /
    • pp.529-546
    • /
    • 2004
  • The Chosun Dynasty's establishment of Five-Ceremony, which occurred shortly after its founding, and the revision of traditional Korean music were based on Confucianism's Ceremony-Pleasure Idea(예약사상).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heo-Yong dancing, both social and political, on the role of royal dancing. Furthermore, this study will consider what the Chosun Dynasty's(조선) rulers pursued, by researching the reasonswhy Cheo-Yong dancing changed with the times along with the symbolic change of clothing for Cheo-Yong dancing through (Ak-Hak-Gue-Bum), a book which explains music and dance in Chosun Dynasty as a part of Ceremony-Pleasure Idea(예약사상) the people ruled ever the country tough courtesy etiquette and music. Consequently, Cheo-Yong dancing which was introduced in (Ak-Hak-Gue-Bum) played the roles of justifying, strengthening and displaying royal authority. And because the symbolism of Cheo-Yong dancing is reflected in clothing for Cheo-Yong dancing, it can be concluded that it expresses not only the sense of value of that times but also ruler's idea.

  • PDF

처용설화의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Digitalization of Cultural Archetype Based on the Tale of Cheoyong)

  • 정재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591-600
    • /
    • 2008
  • 우리나라 전통문화는 유구한 역사를 통해 국민정서 속에 뿌리깊게 존재하고 있는 한민족의 삶의 양식이자 민족의 자긍심이며, 자랑이라고 볼때, 처용설화는 통일신라시대 이후로 우리나라 국민 대중의식속에 존재하고 있는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따라서 이러한 소중한 문화자원인 처용설화의 신비롭고 아름다운 스토리를 기반으로 디지털콘텐츠 개발을 통해 전통문화의 가치를 발현하고, 국민 대중이 향유할 수 있는 콘텐츠로 개발은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처용설화가 가지고 있는 콘텐츠 요소를 분석하여 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화 방안을 제시하고, 처용설화의 디지털콘텐츠화 개발과정을 학문적으로 접근하여, 처용무의 3D 애니메이션 복원과정과 처용설화 스토리의 애니메이션화 작업을 통해 디지털콘텐츠화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한다. 처용설화 문화원형의 콘텐츠 개발과정 분석을 통해 다양한 문화콘텐츠 작품으로 개발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 상품 가치가 큰 문화원형 소스로 개발되었다. 향후 전통문화의 디지털콘텐츠화를 위한 개발방법론 연구를 통해 세계속에 빛날 우리나라 문화유산의 콘텐츠화가 지속될 수 있도록 학문적 연구와 탐구가 지속되어 할 것이다.

  • PDF

한국무형문화재 춤 연구의 계량서지학적 분석 : 서울지역 종목을 중심으로 (Bibliometric Analysis on Studies of Kore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Dance : Focusing on Events in the Seoul Area)

  • 유지영;김지영;백현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39-147
    • /
    • 2019
  • 본 연구는 서울지역 한국무형문화재 춤 연구를 계량서지학적으로 분석하여 연구의 경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총 24종목의 한국무형문화재 춤 연구 리스트를 취합하여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인 TEXTOM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텍스트마이닝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봉산탈춤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특히 교수학습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반면 굿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하여 이에 대한 연구 활성화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처용무 종목의 연구에서 '현행 처용무'라는 용어가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이것은 유구한 역사 속에서 변화해 온 무형문화재 춤 연구와 관련하여 의미있는 용어의 사용이라 할 수 있다. 이에 타 종목의 연구에서도 춤의 전형성을 밝힐 수 있는 연구의 활성화가 요구되었다. 셋째, 춤사위를 비교 분석하는 연구가 문묘일무 종목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것은 춤의 원형적 춤사위에 대한 한국무용계의 논쟁이 학술적인 장외논쟁으로 확산된 결과라고 보았다. 따라서 사안의 옳고 그름을 떠나 학술적인 논쟁이 학문적 성과로 연계될 수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조선시대 궁중정재복식을 아카이브로 한 한류연계 패션상품 개발 (Creation of Fashion Products related to Korean Wave using Court Dance Costume during Joseon Period as Archive)

  • 이재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261-275
    • /
    • 2022
  • K-Pop과 K-Fashion이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한류와 연계하여 한복 분야의 좀 더 다양한 아이템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패션상품을 개발해 한류문화와 한류패션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겠다. 이에 본 연구는 K-Pop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궁중연희에서 연행된 궁중정재를 주제로 한류연계 패션상품을 개발하여, 문화와 패션 영역을 융합하고 확장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궁중정재복식의 원형과 현대에 연행되고 있는 궁중정재의 복식을 분석하여, 기존의 일상적인 한복과 차별화되는 무산향·연화대·처용무·춘대옥촉·춘앵전복식을 선정하였다. 이 5가지 복식의 특징적 요소가 반영된 한류연계 패션상품을 디자인했고, 3D 가상 착의 프로그램인 클로(CLO)를 활용하여 실루엣과 사이즈를 점검한 후 총 5착장의 상품을 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첫째,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한국적인 디자인의 대중화, 둘째, 산업적인 측면에서 한류콘텐츠 영역의 확대, 셋째, 국제적인 측면에서 K-Fashion의 세계화 등의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악학규범의 처용무복식 고증 제작 (Historical Reconstruction on the Costumes for the Cheo-yong Dance in Ak-Hak-Gue-Peom)

  • 이태옥;윤현진;조우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3
    • /
    • 2005
  • This study is for the construction of Cheo-Yongdance Costumeby historical research based on Ak-Hak-Gue-Peom(樂學軌範). Through the production of Cheo-Yongdance Costume by historical research, it is examined and this study is expected that be a help of the right succession of a traditional costume. Cheo-Yongdance Costumeis draught to real size by comparing the size and picture suggested in Ak-Hak-Gue-Peom. In the specialty of Cheoyong(處容) dance Costume in the drawing, the length of clothes was 152cm that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excavated Danlyeong(團領) of Chosun Dynasty period. Width was 81.9cm that is very big and the width of Danlyeong is 11.7cm. The sleeve length of Hansam(汗衫) is 20O.60cm and it is one that attached Hansam to Jeogori(저고리). The material used for Cheoyong dance Costume is Dan(緞), Cho, Joo(紬), Red gold patterned brocade(紅金線). At the same part, and as the goal was differently used at the same clothing. As the methods of dyeing, the process of dyeing naturally is suggested. A gardenia seeds, indigo plant, and ink stick are used for the color of blue, red, yellow and black. The producing process is made in concrete by suggesting the process of producing clothing. Danlyeong is required the technique of smoothing out wrinklesin case of attaching. Goon(裙) was made by making plaits below and attaching string for making form in the literature. Ui(衣), Chon-ui(天衣) and Goon(裙)'s Bang-sul(方膝) are drawn a Man-hwa Mun(蔓花紋) on Ak-Hak-Gue-Peom by using the golden dyeing material. As the result of producing the clothe by using the recorded size in Ak-Hak-Gue-Peom, it could be examine a pertinent dance clothing for expressing the dance performance with big motions.

  • PDF

한국무용 동작 시 호흡사용의 숙련도에 따른 운동역학적 분석 (Kinetic Analysis of Proficiency in the Use of the Breathing of Korea Dance Movement)

  • 나안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131-14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무용 동작 시 호흡사용의 숙련도에 따른 운동역학적 분석을 수행하는 것으로 한국무용 중 처용무 낙화유수동작을 실시하게 하였다. 대상자는 호흡사용의 숙련자 5명과 비숙련자 5명으로 선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소요시간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신체중심 수직변위는 유의한 차이가 났다(p<.05). 그리고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신체중심 전 후 속도는 이벤트1과 이벤트4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5), 신체중심 수직속도는 이벤트 3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숙련자와 비 숙련자의 지면반력 성분에서 좌 우 반력은 이벤트2와 이벤트4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전 후 반력은 이벤트 1과 이벤트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그리고 수직반력은 이벤트4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왕직아악부의 정재 음악 연구 - 이병성·성경린 무보를 중심으로 - (A Study of Jeongjae Performed by the Iwangjikaakbu(Royal Music Institute): Based on the mubo(choreography notes) of Lee Byungseong and Sung Gyeonglin)

  • 이종숙
    • 공연문화연구
    • /
    • 제34호
    • /
    • pp.173-21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이병성(李丙星, 1909-1960)의 '창사급정재철'(呈才及唱詞綴)에 수록된 11종의 정재를 기준으로 성경린(成慶麟, 1911-2008) 무보(舞譜)의 음악 관련 기록들을 비교 검토하였다. 이 기록들은 비록 이병성과 성경린 개인의 것이지만, 일제강점기 이왕직아악부 아악생 무동의 학습 자료로서 혹은 교재로서 무동 양성에 크게 일조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두 무보에 수록된 <처용무(處容舞)>, <향령무(響鈴舞)>, <무고(舞鼓)>, <보상무(寶相舞)>, <춘앵전(春鶯?)>,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수연장(壽延長)>, <만수무(萬壽舞)>, <봉래의(鳳來儀)>,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무산향(舞山香)> 등 11종의 정재는 당악정재와 향악정재로 구분된다. 당악정재인 <수연장>, <봉래의>, <장생보연지무>의 죽간자 등장에 '장춘불로지곡(長春不老之曲)'이라는 아명(雅名)의 '보허자령(步虛子令)'이 사용되었다. 중무(中舞)와 무용수를 인도하는 음악은 '풍경지곡(豊慶之曲)'이 사용되었다. 향악정재에는 춤이 전개될 때의 음악으로 '함녕지곡(咸寧之曲)', 끝날 때는 '풍운경회지곡(風雲慶會之曲)'이 사용되었다. 이왕직아악부 정재 반주음악은 '삼현영산회상(靈山會上)'의 속곡(屬曲)인 상령산 중령산 세령산 가락덜이 삼현환입 염불환입 타령 등에 다양한 아명을 붙여 사용한 특징이 발견되었다. 특히 "정재무도홀기"에 제시된 '향당교주(鄕唐交奏)'는 '삼현영상회상'의 여러 속곡임을 알 수 있었다. 정재 반주음악의 빈곤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상의 두 노트는 <학연화대합설무>의 보유자인 이흥구(李興九, 1940년생)의 개인소장 자료이다. 이병성과 성경린의 노트를 비교 분석하여 그 내용을 상세히 소개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일제강점기 정재음악에 대한 이해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통해 본 왕의 위락활동 유형과 변천 (A Study on the Types and Changes of the King's Amusement Activities through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 강현민;신상섭;김현욱;마일초;한서정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9-49
    • /
    • 2018
  • "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분석한 조선시대 제왕들의 위락활동과 변천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궁중 안팎 외부공간에서 행해진 왕의 위락활동은 연회형, 강무형, 유희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연회형은 회례연, 진연(進宴), 풍정(豊呈), 진찬(進饌), 양로연, 사신연, 수연(壽宴), 곡연(曲宴) 등이었고, 강무형은 활쏘기, 격구, 사냥 등이며, 유희형은 나례(가면놀이), 처용무, 풍두희(?頭戱), 그리고 화산붕(불꽃놀이), 꽃놀이(賞花), 투호, 수박희(手搏戱), 낚시, 뱃놀이, 각투(角鬪), 상희(象戱), 잡희 등이었다. 위락 활동은 고려시대 답습기[1기, 태조~세조(예종)], 확립기[2기, 군사문화가 성리학 문화로 전환되었고 연회의 규례가 제도화, 성종~중종]. 단절기[3기, 임진왜란 등 불안한 정세 속에서 침체, 단절 초래, 성종~현종]. 중흥기[4기, 위락 문화 재정비, 수준 높은 왕실 문화의 자긍심 표출, 숙종~정조]. 그리고 쇠퇴기[5기, 세도정치로 왕권이 추락하면서 위락 활동이 급격히 퇴조, 순조~순종] 등 5단계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왕들의 사냥 관련 기사는 600건 이상 추적 되는데, 태종, 세종, 세조 등은 각 100여회 이상이었다. 사냥 대상은 호랑이, 곰, 사슴과 노루, 표범, 멧돼지, 매 등 이었고, 한양의 동북쪽 산림지역에서 주로 행해졌는데, 산수풍광이 수려하고 지리에 익숙한 풍양, 철원지역 등 북방의 정세와 안전을 살피기 위한 방안, 그리고 풍양이궁(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내각리) 장소성 등과 밀접하게 연계된다. 단오절 세시풍속으로 대중에 확산된 격구놀이는 조선 초 왕과 신하들의 최상류층 마상격구로부터, 중기이후 무과시험의 마상격구와 상류층의 보상격구로 전환되는 과정을 거쳐, 조선 후기에는 민간에 확산되어 겨울철 남성들의 집단유락문화로 전승되는 과정이 추적된다. 특히, 강무형 위락문화는 봄(활쏘기), 여름(투호), 가을(활쏘기), 겨울(격구) 등 심신수양을 겸한 4계절 행위요소로 작용되었다. 한편, 조선시대 왕과 왕비들의 연향과 같은 위락 활동은 공식적 의례의 경우 내정(內庭)에서, 비공식적 관유(觀遊)의 경우 궁궐 후원이나 별궁에서, 특수 연회의 경우 모화관과 태평관, 기로소 등 별원(別園)에서, 활쏘기의 경우 성균관 사단에서, 사냥의 경우 금표가 설치된 강무장(금원과 원유)에서, 매사냥의 경우 한강변 광나루에서, 격구의 경우 보격구 중심으로 내정이나 별궁에서 다양하게 행해졌다. 즉, 외조, 치조, 연조, 후원의 범위를 넘어서 별원과 금원, 원유 등 한양에서 최대 100리 범위 까지를 활동영역으로 설정하는 위락문화 확장성(정(庭)${\rightarrow}$원(園)${\rightarrow}$원(苑)${\rightarrow}$원유(苑?))을 추적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수준 높은 기록문화의 추적을 통해, 역대 왕들의 위락문화를 연회형, 강무형, 유희형으로 유형화 할 수 있었고, 위락 활동(진찬, 회례연, 양로연, 대사례, 사신연 등은 물론 사냥, 활쏘기, 격구, 투호, 처용무, 낚시, 뱃놀이, 불꽃놀이 등) 전모와 장소성, 그리고 상징적 의미, 역사적인 전승과정과 위락문화 등을 복합적으로 탐색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