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채찍효과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5초

개인 의사결정유형과 공급체인 동적특성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Decision Style and Supply Chain Dynamics)

  • 김태현;문성암;이정환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7권1호
    • /
    • pp.87-10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동태적인 공급체인을 설정하여 개인의 의사결정 유형이 공급체인에서의 채찍현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설문조사, 실험, 그리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고 있다. 공급체인 참여자의 의사결정 유형은 Rowe와 Boulgarides(1992)에 의해 만들어진 의사결정유형 측정목록을 통해 구분하였으며, 채찍효과는 공급체인에서의 최대주문량과 재고량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공급체인 모델 설정시 주안점은 주문량 결정식이다. 공급체인 참여자들은 통상 고객에 대한 서비스 수준을 충족시킬 수 있으면서 동시에 재고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적정 주문량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맥주배송게임을 통해 기본 공급체인 모델을 설정하고 설정된 공급체인 모델을 바탕으로 개인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공급체인에서의 채찍현상을 시뮬레이션하였다. 연구결과 개인 의사결정유형에 따라 전체 공급체인에서의 채찍효과가 달리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개인의 특성이 공급체인에서의 채찍효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와는 대조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공급체인에서의 채찍현상의 원인을 규명하는 작업에서 조직이나 시스템 관점에서의 접근과 개인 특성 위주의 접근 중에서 전자에 비중을 실어주는 연구결과라고 할 수 있다. 즉 공급체인에서의 채찍현상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구조나 시스템 차원에서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함을 간접적으로 시사함을 본 연구의 의의로 들 수 있다.

  • PDF

공급사슬에서 채찍효과 최소화 대 비용 최소화 (Bullwhip Effect Minimization vs. Cost Minimization in Supply Chain)

  • 조면식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41-51
    • /
    • 2013
  • 하류업체에 발생하는 소비자 수요의 조그만 변화가 상류업체로 올라갈수록 증폭되는 현상을 채찍효과(BE)라 한다. BE는 일반적으로 주문량 분산/수요량 분산으로 정의된다. 이와 같이 왜곡된 정보는 공급사슬의 비효율성을 유발하므로, 주문량의 분산을 줄이는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BE를 최소화하는 것이 오히려 공급사슬의 비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여 주며, 스무딩된 주문 정책을 사용하여 공급사슬의 효율성를 증가시키기 위한 새로운 목적함수를 설정한다. 최적화된 스무딩 주문정책을 연구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최적화 기법을 사용한다.

A Study on the Collaborative Inventory Management of Big Data Supply Chain : Case of China's Beer Industry

  • Chen, Jinhui;Jin, Chan-Y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77-88
    • /
    • 2021
  • 중국에서의 빅데이터의 발전 과정은 비교적 짧아 10년 정도에 불과하다. 따라서 실제 생활에서의 구체적인 활용도는 높지 않으나, 공급망분야에서는 일부 성과를 보이고 있다. 공급망이 실제로 작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류·활용할 수 있다면, 공급망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채찍효과' 또한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공급망 협업 재고 관리 모델과 응용 프레임워크의 개발이다. 본 연구에서는 "채찍효과"가 가장 뚜렷한 소비 업종인 중국의 맥주 업계 공급 체인을 분석하였으며, 시뮬레이션 및 민감도분석을 위해 Vensim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모델을 적용한 결과 맥주 업계 공급 체인의 각 참여 주체의 재고변화가 적어지는 의미 있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가 더 큰 데이터를 갖는 공급망 협업 재고관리모델에도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사하고, 공급망 협업 재고관리모델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및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군수지원체계에서 예산과정에 의해 발생하는 정보왜곡과 초과재고 및 재고부족 분석 (The Information Distortion, Overstock and Stock-out Caused by the Budgetary Process in the Logistic Support)

  • 임준오;박종구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65-75
    • /
    • 2016
  •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군수 수리부속품으로 인한 국방예산의 낭비가 발생하는 반면에 야전부대에서 재고부족으로 필요한 수리부속이 적시에 보급되지 못해 문제가 되고 있다. 초과재고의 발생 원인은 민간분야처럼 다단계 군수지원체계에서 하위공급망에서 상위공급망으로 갈수록 수요정보왜곡에 의한 채찍효과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군수정보체계 개선 이후 채찍효과의 가장 직접적인 원인이었던 사용자부대의 수요정보를 군수사가 공유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초과재고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기존의 연구만으로 재고부족 현상은 설명할 수 없다. 또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적정 재고량을 예측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예산과정의 특성(예산주기, 조달기간, 인가저장 유무)은 크게 관심을 두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시스템 다이내믹스 이론과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해 군수지원체계에서 예산과정에 의해 발생하는 정보왜곡과 이로 인한 초과재고 및 재고부족 현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중국 맥주 산업의 공급망 재고관리에 관한 연구 (The Inventory Managemant of the Supply Chain in China's Beer Industry)

  • 진금회;남수태;진찬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55-156
    • /
    • 2021
  • 중국에서의 빅데이터 개발 역사는 비교적 길지 않아 지금까지 10여년 정도에 불과하다. 또한 실생활에서의 빅데이터의 응용수준도 높지 않지만, 공급망 분야에서는 일부 성과가 이루어져 왔다.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가 공급망의 실제 운용 과정에서 수집되었다. 그러한 데이터들이 효율적으로 분류되고 활용될 수 있다면, 공급망 운용과정에서의 채찍효과가 역시 효율적으로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맥주 산업 공급망에서의 협업재고관리 모델의 개발과 동시에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응용 프레임워크의 개발이다.

  • PDF

황소채찍효과와 발주크기: 대형할인마트에서의 황소채찍효과 (Bullwhip Effect and Lot Size: the Main Cause of BwE is Lot Size)

  • 백시현
    • 산업공학
    • /
    • 제21권2호
    • /
    • pp.161-169
    • /
    • 2008
  • Normally, suppliers have to decide on what, how much, and when to replenish stocks of goods based on a data flow generated by a vendor managed inventory(VMI) system. But information from supply chain is often misleading. It is common for such data to be distorted by a lack of coordination and synchronization across several business entities managing different supply chain operations. This phenomenon is called the 'bullwhip effect(BwE)'. Many researchers, working over many years, have studied the reasons for the BwE. They have proposed various remedies, but this phenomenon persists. Though overlooked in previous research, this paper reveals that the 'lot size' of a supply chain of distribution is indeed the main cause of the BwE. In addition, some problems in the existing methods of measuring the BwE are identified and a revised much improved method of measurement is suggested.

공급사슬에서 계절적 수요를 고려한 채찍효과 측도의 개발 (Quantifying the Bullwhip Effect in a Supply Chain Considering Seasonal Demand)

  • 조동원;이영해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3-212
    • /
    • 2009
  • The bullwhip effect refers to the phenomenon where demand variability is amplified when one moves upward a supply chain. In this paper, we exactly quantify the bullwhip effect for cases of seasonal demand processes in a two-echelon supply chain with a single retailer and a single supplier. In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some measures of performance for the bullwhip effect are developed for cases of non-seasonal demand processes. The retailer performs demand forecast with a multiplicative seasonal mixed model by using the minimum mean square error forecasting technique and employs a base stock policy. With the developed bullwhip effect measure, we investigate the impact of seasonal factor on the bullwhip effect. Then, we prove that seasonal factor plays an important role on the occurrence of the bullwhip effect.

공급사슬에서 계절적 수요와 추계적 조달기간을 고려한 채찍효과 측도의 개발 (Developing the Bullwhip Effect Measure in a Supply Chain Considering Seasonal Demand and Stochastic Lead Time)

  • 조동원;이영해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91-112
    • /
    • 2009
  • The bullwhip effect means the phenomenon of increasing demand variation as moving UP to the upstream in the supply chain. Therefore, it is recognized that the bullwhip effect is problematic for effective supply chain operations. In this paper, we exactly quantifies the bullwhip effect for the case of stochastic lead time and seasonal demand in two-echelon supply chain where retailer employs a base-stock policy considering SARMA demand processes and stochastic lead time. We als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the proposed measurement for the bullwhip effect with autoregressive and moving average coefficient, stochastic lead time, and seasonal factor.

SCM을 위한 정보시스템의 확산이 채찍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s of the diffusion of information systems for SCM on bullwhip effects.)

  • 임희택;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69-179
    • /
    • 2017
  • The size of the market for SCM information systems have globally and steadily increased. And there are businesses that obtained innovative business performance by introducing SCM information systems. However, many businesses have still undergone trial and error in the process to introduce and operate SCM. As external factors including suppliers, customers, etc. and internal factors of businesses have been analyzed to be failure factors of executing SCM information systems, the businesses that try to introduce SCM information systems need to understand possible failure factors and establish the solutions.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verify the diffusion of SCM information systems and effects on bullwhip effects. The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empirical data that people will refer to the establishment of next counterstrategies according to the lapse of the period that systems are introduced based on theoretical bases related to the diffusion of SCM information systems.

통합된 제조/물류 망에서 구성원간 효율적 다중 응답을 위한 이동 에이전트 시스템 설계 (Design of Mobile Agent System for Efficient Multiple Reply among the Members in Integrated Manufacture/Logistics Network)

  • 김광종;고현;이연식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1298-1304
    • /
    • 2006
  • 공급체인관리(Supply Chain Management)는 단순히 물질의 흐름관리뿐만 아니라 제품의 생산, 공급, 유통 등 다양하고 복잡한 활동들의 물질 및 정보 흐름의 통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각 구성원간의 긴밀한 협력과 공동작업을 위해서는 원활한 정보 수집 및 응답이 요구된다. 하지만 기존 시스템은 비이동성 에이전트 개념으로 네트워크의 오버헤드나 혹은 접속 단절 상황에서 작업 수행이 불가능하여 구성원간의 정보 수집과 응답이 실제 업무 처리에 지연이 발생되므로 생산에서 판매까지의 리드타임이 길어지게 되고 채찍효과(Bullwhip Effect)가 더욱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구성원간 협력과 공동작업을 위해 효율적으로 처리되어야 할 정보 수집 및 응답을 대상으로 하는 효율적 다중 응답을 위한 이동 에이전트 시스템을 설계한다. 제안시스템은 기존 시스템의 문제 해결을 위해 이동 에이전트와 객체 복제 메커니즘을 제시하며, 또한 각 구성원 시스템의 투명성을 위해 네이밍 서비스의 구성 방법과 등록된 구성원 시스템 객체의 객체 참조자 정보에 따라 복제된 이동 에이전트가 각 구성원 시스템으로 이주하는 이주 방식과 이주 후, 개별적인 작업 수행 결과를 해당 각 구성원 시스템에 제공하는 다중 응답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