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채널 간 상관성

Search Result 98,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Preprocessing Algorithm of Cell Image Based on Inter-Channel Correlation for Automated Cell Segmentation (자동 세포 분할을 위한 채널 간 상관성 기반 세포 영상의 전처리 알고리즘)

  • Song, In-Hwan;Han, Chan-Hee;Lee, Si-Wo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5
    • /
    • pp.84-92
    • /
    • 2011
  • The automated segmentation technique of cell region in Bio Images helps biologists understand complex functions of cells. It is mightly important in that it can process the analysis of cells automatically which has been done manually before. The conventional methods for segmentation of cell and nuclei from multi-channel images consist of two steps. In the first step nuclei are extracted from DNA channel, and used as initial contour for the second step. In the second step cytoplasm are segmented from Actin channel by using Active Contour model based on intensity. However, conventional studies have some limitation that they let the cell segmentation performance fall by not considering inhomogeneous intensity problem in cell images. Therefore, the paper consider correlation between DNA and Actin channel, and then proposes the preprocessing algorithm by which the brightness of cell inside in Actin channel can be compensated homogeneously by using DNA channel information. Experiment result show that the proposed preprocessing method improves the cell segmentation performanc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Multichannel Audio Coding using inter-channel Redundancies (채널 간 중복성을 이용한 다채널 오디오 부호화)

  • 신종인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5.06a
    • /
    • pp.150-154
    • /
    • 1995
  • 기존의 2-채널 오디오 복호화기와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채널 오디오 부호화기에 할당되는 비트율이 제한되어야 한다. 늘어난 채널 신호에 적은 양의 비트를 할당해줌으로 인해서 복원음의 음질이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기존의 방법에 신호의 채널 간 중복성을 이용한 다채널 오디오 신호의 음질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채널간 중복성을 이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응 채널 간 예측법을 제안하였다. 적응 채널 간 예측법은 주로 저주파 대역에서 스테레오 신호 간에 존재하는 중복된 정보를 제거하고자 하는 방법이다. 저주파 대역에서는 큰 예측 이득을 얻을 수 있어서 스테레오 음상에 불필요한 정보를 없애는데 유리하다. 기존의 방법과 제안된 예측 부호화법을 비교해 보면 두 신호의 상관 관계가 클수록 개선폭이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낮은 비트율에서 기존이 부호화기가 처리하기 어려운 광대역 신호에 대해서 음질이 개선되는 결과를 얻었다.

  • PDF

Adaptive Transmission & Receiving Technology Considering Spatial Channel Correlation in Multiple Antenna Systems (공간 채널 상관도에 따른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적응 송.수신 기법)

  • Park Sung-Ho;Kim Kyoo-Hyun;Chang Kyung-Hi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1 no.9A
    • /
    • pp.844-855
    • /
    • 2006
  • The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ple antennas improves link reliability or system capacity using tx & rx diversity, spatial multiplexing, and beamforming technique with services and characteristics of channel environment. This system is sensitive to spatial channel environment. In case of diversity, the lower correlation among links as a LoS environment, the better performance is acquired. In practical channel environment, However, there is high correlation, and there is high performance difference between ideal case and practical case. On the contrary, in case of beamforming, the higher correlation among links, the better performance is acquired. If we use the spatial adaptive transmission technique with spatial channel characteristics, we can get the system that maintains minimum link reliability and guarantees the overall system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adapti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technique which use diversity or beamforming technique with channel characteristics.

해양환경 변동에 따른 수중음향 무선통신 채널 특성

  • Choe, Ji-Ung;Kim, Seon-Hyo;Son, Su-Uk;Kim, Si-Mu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8
    • /
    • pp.52-62
    • /
    • 2016
  • 해양에서 음파를 사용하여 수중통신을 시도할 경우 해양매질은 음향 도파관(acoustic waveguide)의 역할을 하게 되고, 이 경우 해양환경의 변동성과 그에 따른 음파와 매질의 간섭에 의해 수중통신 채널의 변동성이 발생한다. 수중음향 채널은 대역 제한 채널이면서 잔향음 제한 채널이고 강한 도플러 변이 채널이므로 수신된 통신 신호는 육상통신에 비해 심한 인접 심볼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과 위상변이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수중통신을 시도함에 있어 이러한 해양환경 변동성과 그에 따른 수중음향 채널 변동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수중통신 시스템 구성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수중통신 채널에 영향을 미치는 해양 매질의 기본적 특성에 대해 소개하고 수중통신 채널과의 상관성 및 환경 변동성에 따른 통신채널의 변동성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Performance Analysis of Spatial Modulation Schemes in Correlated Urban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s (상관성을 가진 도심무선채널환경에서 공간 변조 기법들의 성능분석)

  • Jo, Bonggyun;Han, Dong Seog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9 no.6
    • /
    • pp.826-835
    • /
    • 2014
  • Recently, spatial modulation (SM) schemes are considered to improve the reception performance in spatially correlated channel environments. SM schemes utilize a switching method between multiple transmitters to reduce the correlation among multiple transmitters to reduce the correlation of each received signals and can support transmission additional bits using antenna combinations without extra bandwidth. Therefore, SM schemes can overcome correlation interference of conventional MIMO in urban wireless channels. However, the performance comparisons between SM schemes are not yet performed in correlated urban wireless channels. In this paper, some representative SM schemes are compared and a suitable SM-MIMO system in correlated urban wireless channels is proposed.

Characteristics Analysis of the Time Selective Multipath Fading Channel Model for Mobile Communication (이동 통신을 위한 시간선택성 다중경로 페이딩 채널 모델의 특성 평가)

  • 박수진;고석준;이경하;최형진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5A
    • /
    • pp.836-845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시간 선택성 다중경로 이동 무선 채널을 다양한 방법으로 모델링 하고 그에 따른 여러 가지 특성평가를 제시하였다. 모델링 방법에는 Jakes 방식과 시간 영역에서 독립적인 두 개의 가우시안 잡음 발생기와 정형필터(shaping filter)를 사용하는 방식 및 주파수 영역에서 필터링 하는 방식이 있다. 이 세 가지 모델링 방법의 성능을 진폭의 자기상관함수, 상호상관함수, 누적분포함수(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레벨 교차율(Level Crossing Rate), 평균 페이딩 지속 시간(Average Duration of Fades), 위상차의 확률 밀도, 위상차의 자기상관함수 등의 측면에서 시뮬레이션하고 그 결과치와 이론치 간의 특성 비교를 제시하였다. 특히, 확산 대역 시스템을 고려했을 때 이상적인 채널 추정을 가정한 레이크 수신기에서의 BER 성능을 다중경로 개수에 따라 보임으로써 여러 가지 채널 모델링 중에서 주파수 영역에서 필터링 하는 방식이 이동 무선 채널을 모델링 하는데 있어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비대칭 도플러(Doppler) 스펙트럼을 모델링 하는 것도 주파수 영역에서 필터링 하는 방식이 편리하다.

  • PDF

Edge-directed demosaicing considering cross channel correlation (채널간 상관관계 및 에지 방향을 고려한 컬러 보간)

  • Yoo, Du-Sic;Kang, Moon-G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0a
    • /
    • pp.413-414
    • /
    • 2007
  • 본 논문은 칼라 필터 배열(color filter array : CFA) 영상에서 채널 간 상관관계를 이용한 새로운 에지 방향 컬러 보간 방법을 제시하였다. 고정 채널 간 컬러 차 가정에 따라 휘도와 색차간의 차가 큰 경우 에지 영역이라 판단한다. 에지 방향 판별을 정확히 하기 위해 수평, 수직 방향으로 컬러 차 영상을 구하고, 구한 영상에서 변화량을 계산하여 에지 방향 판별 기준으로 사용한다. 에지 판별 기준을 사용하여, 에지 방향에 따라 컬러 보간을 수행한다. 평탄 영역은 이웃 화소와의 유사성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줘서, 이웃 화소의 가중치 합으로 구한다 실험 결과는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기존 알고리즘 보다 우수함을 보여준다.

  • PDF

An Edge Directed Color Demosaicing Algorithm Considering Color Channel Correlation (컬러 채널 상관관계를 고려한 에지 방향성 컬러 디모자이킹 알고리즘)

  • Yoo, Du Sic;Lee, Min Seok;Kang, Moon Gi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8 no.4
    • /
    • pp.619-630
    • /
    • 2013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dge directed color demosaicing algorithm considering color channel correlation. The proposed method consists of local region classification step and edge directional interpolation step. In the first step, each region of a given Bayer image is classified as normal edge, pattern edge, and flat regions by using intra channel and inter channel gradients. Especially, two criteria and verification process for the normal edge and pattern edge classification are used to reduce edge direction estimation error, respectively. In the second step, edge directional interpolation process is performed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fied regions. For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al interpolations, missing color components are obtained from interpolation equations based on intra channel and inter channel correla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directional interpolation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outperforms conventional approaches in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terms.

Target Speech Segregation Using Non-parametric Correlation Feature Extraction in CASA System (CASA 시스템의 비모수적 상관 특징 추출을 이용한 목적 음성 분리)

  • Choi, Tae-Woong;Kim, Soon-Hyub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2 no.1
    • /
    • pp.79-85
    • /
    • 2013
  • Feature extraction of CASA system uses time continuity and channel similarity and makes correlogram of auditory elements for the use. In case of using feature extraction with cross correlation coefficient for channel similarity, it has much computational complexity in order to display correlation quantitatively.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feature extraction method using non-parametric correlation coefficient in order to reduce computational complexity when extracting the feature and tests to segregate target speech by CASA system. As a result of measuring SNR (Signal to Noise Ratio)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arget speech segregation, the proposed method shows a slight improvement of 0.14 dB on average over the conventional method.

Performance Analysis of STBC System Based on STTC in the Correlated Slow Fading Channel (채널 상관된 슬로우 페이딩 채널에서 STTC 기반 STBC 시스템의 성능 분석)

  • Kang, Chul-Gyu;Lee, Hyun-Jae;Oh, Chang-Heon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2 no.1
    • /
    • pp.54-60
    • /
    • 2008
  • The reliability of conven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re diminished by multi-path fading, shadowing, propagation delay, pathloss, AWGN and an interference of the symbols. Therefore, we need more reliable system which can stably transmit multimedia datas over the poor communication environments, so, in this paper, we used STBC system based on STTC that allows a maximum space diversity gain of STBC scheme and channel efficiency, coding gain and diversity gain of STTC scheme at the same time. We did then analyzed the performance over the correlated slow fading channel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channe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