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의적 기능

Search Result 34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Integrated Simulation System of GIS and ANN for Land Price Appraisal (GIS 기반 지가산정 및 시뮬레이션 시스템)

  • Moon, Tae-H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3 no.2
    • /
    • pp.1-10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 parcel-based automatic simulation system of land price through the integration of urban mathematical model and GIS. The appraisal process of public land price by the local government is simple but is a great time-consuming task. Moreover, it doesn't provide any statistical analysis and spatial presentation tools. So, it is difficult for planners or administrative officials to analyze the variation of land price with spatial idea. From these, a system is developed combining two sub-systems, they are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the calculation of land price and GIS for visual presentation. Using Matlab application, ANN model was designed having 3-layer structure and was trained with the sample data taken from Chinju city. With the trained network, the impact of 'road', 'parks', 'height control district' and 'beauty district' on land price in 9 regions(dong) are simulated.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were visualized with ArcView GIS. The automatic simulation system operated through the DDE(Dynamic Data Exchange) conversation between two applications. ArcView was set as client and Matlab as server. Scripting in ArcView and customizing a window of ArcView, this system can execute the whole process of simulation by just clicking a button with mouse. As a conclusion, this system was proved to be an effective and easily controllable planning support system for the land price simulation.

  • PDF

Types and Roles of Visualization Materials in National Compared with Authorized Textbooks for Third- and Fourth-Grade Science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3~4학년 과학 국정교과서와 검정교과서 시각화 자료의 유형과 역할 비교 분석)

  • Ko, Mi-Jeong;Shin, Dong-Hoon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2 no.1
    • /
    • pp.93-108
    • /
    • 2023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ypes and roles of visualization materials presented in the third- and fourth-grade national and authorized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Using the type and role framework, 17 chapter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vealed, first, that the national and authorized textbooks had different total amounts of visualization data and total amounts of simple illustrations. However, no difference in the amounts of simple illustrations and infographics used in the units was evident. The units that used the most infographics were Life, Earth and Universe, in that order, in both the national and the authorized textbooks. Second, simple illustrations were observed to have rol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visualization data, but infographics had no such differences. Specifically, the motivational role in a simple illustration increased in all the authorized textbooks. Third, looking at the frequencies of the infographic subtypes, the Process, Structure, Comparative Analysis, and Timeline types accounted for 86% of the total, but the proportions of those subtypes varied in the national and authorized textbook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suggest that to achieve differentiation in the types or roles of visualization materials, changes in the types, processes, and skills of inquiry must first occur, as must changes in the structure of chapters or lessons. Continuous research and discussion on the standards and methods for authorized textbooks are also needed.

A Model for Constructing Learner Data in AI-based Mathematical Digital Textbooks for Individual Customized Learning (개별 맞춤형 학습을 위한 인공지능(AI) 기반 수학 디지털교과서의 학습자 데이터 구축 모델)

  • Lee, Hwayoung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6 no.4
    • /
    • pp.333-348
    • /
    • 2023
  • Clear analysis and diagnosis of various characteristic factors of individual students is the most important in order to realize individual customized teaching and learning, which is considered the most essential function of math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digital textbooks. In this study, analysis factors and tools for individual customized learning diagnosis and construction models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derived from mathematical AI digital textbooks. To this end,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s recent plan to apply AI digital textbooks, the demand for AI digital textbooks in mathematics, personalized learning and prior research on data for it, and factors for learner analysis in mathematics digital platforms were review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searcher summarized the factors for learning analysis as factors for learning readiness, process and performance, achievement, weakness, and propensity analysis as factors for learning duration, problem solving time, concentration, math learning habits, and emotional analysis as factors for confidence, interest, anxiety, learning motivation, value perception, and attitude analysis as factors for learning analysis. In addition, the researcher proposed noon data on the problem, learning progress rate, screen recording data on student activities, event data, eye tracking device, and self-response questionnaires as data collection tools for these factors. Finally, a data collection model was proposed that time-series these factors before, during, and after learning.

A study on names of weapons in martial arts book, Unhae in Joseon Dynasty (조선시대 무예서 언해에 나타난 무기명 고찰)

  • Kwak, Nak-hyun;Lee, Hyun-Ju
    • (The)Study of the Eastern Classic
    • /
    • no.57
    • /
    • pp.263-299
    • /
    • 2014
  •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weapons names mentioned in "Unhae", a book of traditional martial arts annotated into Korean. Comprehensiv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are as follow. First, the annotated martial arts book is compiled to the order of Muyejaebo of year 1598, Muyejaebobunyuksokjib(A annotated attachment to Mooyejebo) of year 1610, Moojesinbo of year 1759, and Muyedobotongji of year 1790. Second, in the martial arts book are a total of 24 weapons with 4 types of spears, swords, bare hands & poles, and horseback weapons. Weapon names of ?Unhae? taken into detailed analysis, spears are 5 types of Jangchang (long spears), Jukjangchang (long spears made of bamboo), Keechang (flagged spears), Dgangpa (skewered spears), and Nangseon (forked spears). Swords are 10 types of Ssangsoodo (two-handed swords), Yedo (pointed swords), Waegum (Japanese swords), Waegumkyojun (Japanese battle swords), Jedokgum (Admiral's swords), Bongukgum (native swords), Ssanggum (coupled swords), Woldo (moon swords), Hyupdo (narrow swords), Deungpae (swords made of rattan). Bare hands & poles are 3 types of Gwonbeop (fists), 7070 Gonbang (clubs), and Pyeon-gon (flailed clubs). Horseback weapons are 6 types of flagged spears, MasangSsanggum (coupled horseback spears), MasangWoldo (horseback moon swords), MasangPyeon-gon (horseback flailed clubs), Kyukgoo (striking poles), and Masangjae (horse postures). Third, spears of the martial arts book, "Unhae" had the function as long weapons and were used for military drills of the infantry. Swords had the function as short weapons, and were used for military drills of the infantry. Bare hands & poles had the function as short weapons and were used for military drills of the infantry. Horseback weapons composed of short and long weapons were used for military drills of the cavalry. In addition to these, Kyukgoo (striking poles), and Masangjae (horse postures) were martial arts to which entertaining elements were added. Fourth, the difference in its compiling is that Mooyejebo and A annotated attachment to Mooyejebo place both Chinese characters and Korean annotation in the context together with introduction of weapons while Moojedobo Tongji explains weapons in Chinese and compiles a separate copy of Korean annotation that explains mainly postures in each lineage of martial arts for soldiers to acquire practical skills.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Processing System using ICT in to Societ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사회과 교수-학습 방법에서 ICT를 활용한 수행평가 처리 시스템 개발)

  • Lee, Jin-Kyoung;Ko, Byung-Oh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5 no.3
    • /
    • pp.380-388
    • /
    • 2001
  • In this Information Age, the needs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is raising to increase the higher-thought ability for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carry out the authentic performance evaluation in our educational environment. Therefore, we design and implement the Performance Evaluation Processing System as one of the learning-teaching processes. We study the theoretical base of evaluation types and of learning-teaching methods, and inquire appropriat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Among the methods, we focus on the Report, a type of performance evaluation using the most widely in the Society. We constitute a basic form and design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Report. The evaluation system consist of the teacher's module and the learner's module. Teachers make the form of report, provide it for learners and evaluate the report on teacher's module, Learners make out the report, submit it to the teacher and use it for presentation in class, on learner's module, The teacher and learner can apply this system as follows. The teacher can use the report that have been already made, or that make for themselves as a step for evaluation and they can evaluate learners by the submitted report. The learner not only can see their own result of evaluation but also can use ICT at their presentation.

  • PDF

Feasibility Study for the Reconstruction of Jangan Primary School Building (서울 장안초등학교 재건축 계획 설계 연구 요약)

  • Kim, Seung-J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 /
    • v.3 no.3
    • /
    • pp.59-70
    • /
    • 1996
  • 장안초등학교는 한국전쟁 이후인 1955년에 개교된 초등학교이다. 처음에는 8학급의 가교사시설에 18학급으로 편성되어 초기부터 시설이 양적으로 부족하였다. 또한 이 지역의 학생수 증가로 거의 매년에 걸쳐 학급수의 증가와 교실증축이 함께 이루어 졌다. 현재 건물의 건립년도를 살펴보면 1965년 6월에 처음 신관 1층 부분이 건설되어 70년대와 80년대에 걸쳐 꾸준히 증축되어 왔으며, 대지 동측의 별관은 1993년 12월에 건설된 새건물로, 학교교사 건물이 30년된 건물과 최근의 건물이 함께 공존하고 있다. 철근콘크리트 건물이 구조적으로는 100년도 견딘다 하지만 실제로는 약 30년이면 콘크리트의 산성화가 가속화되면서 구조적으로 안전하지 못하다는 학설이 인정되어, 최근 30년이 경과된 학교 건축의 재건축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실제로는 25년이상 경과된 건물에서도 구조적인 하자가 발생하는 예 가 많아 교육부에서는 대체로 25년이상 경과된 건물에 대하여 재건축을 실시하고 있다. 장안초등학교는 20년에서 30년 경과된 건물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관계로 재건축이 실시되는 예이다. 아직까지 사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건물은 본관의 남측부분의 교사(1983년 증축)과 신관의 우측부분(1985년 9월 23일 증축)과 별관(1993년 12월 14일 신축)교사동을 들수 있다.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하여 철거할 것인가 혹은 그대로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의견이 있어, 최종적으로 별관은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본관 남측부분은 가장 마지막 건설시기에 철거하고 신관 우측부분은 규모가 작아 철거하기로 하였다. 학교건축은 다른 일반건물과는 달리 교육이라는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수 있는 공간구성이 필수적이라 할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교육이란 예전의 주입식 교육이 아니라 21세기를 바라보는 정보화 세계화를 지향하는 교육으로 학생 개개인의 창의성과 자주성을 발휘시킬수 있는 교육이라는 점에 대하여 의견은 없을 것이다. 이러한 교육이란 다양한 교육방법을 전제로 하며 하나의 학년을 하나의 학습그룹으로 생각하는 것은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다. 한 학년의 그룹을 교대상의 기본으로하여 이러한 그룹에 대하여 일제학습, 그룹학습, 팀티칭, 개별학습이 이루어 질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점을 본 장안초등학교 기본계획에서 출발점으로 하였다. 물론 학교전체 학생을 콘트롤할 수 있는 교육방법도 존재한다. 선진 외국의 예를 살펴보면 아동의 능력별 교육을 위하여 무학년제(Non-Grade)를 도입하는 경우도 있지만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학급단위가 중요시되고 있다. 이 학급단위는 교육단위이면서 생활지도 단위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을 인식하여 학교건축의 간장 기본 단위가 되는 보통교실 계획을 보통교실과 오픈스페이스를 연속시킨 유니트로 계획하여 일제학습, 그룹학습, 팀티칭, 개별학습 등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하였다. 실제로는 36학급을 계획할 경우, 한학년의 6개 학급이 하나의 공통된 공간내에 그룹핑 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제3안의 배치에서 제안하여 보았지만 북측교실, 오픈스페이스의 통로화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 규모가 너무 커서 3개학급을 하나의 유니트로 하였다. 물론 한학년이 동일한 층에 배치시켜 서로의 관련성을 높게 하였다. 특별교실 계획은 보통교실과의 관련성과 장래 지역개방의 역할을 고려하여 계획하여야 할 것이다. 장안 초등학교의 경우는 별관을 그대로 사용 한다는 조건이 있기 때문에 기존의 편복도 형식의 교실에서는 보통교실 계획의 어려움이 있어 특별 교실동으로 고려하였다. 때문에 지역개방에 대해서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체육관은 기준령에는 권장시설로 되어 있지만 학교시설에 필수적인 시설이라 생각한다. 체육은 국민건강에 직결되기 때문이다. 또한 체육관 건설은 실외체육 실내체육에 대응할 뿐 아니라 학교 행사등에 유용히 사용되기 때문에 더욱 필요시설이라 할수 있겠다. 또한 지역개방을 위하여 정문 혹은 후문 가까이에 배치시키는 것은 필수적이다. 별관, 체육관, 운동장, 후문측에 12학급용의 단독건물 등의 기본적인 제약조건을 고려하여 배치하자면 자연히 교실동들이 분산되는 결과를 낳게된다. 이러한 각각의 교사동을 A동을 중심으로 구름다리로 연결하여 동선의 불편함을 해소시켰다. 주차장은 후문 가까이에 약 10정도의 주차공간이 확보가능하다. 이외에는 운동장을 사용하는 방법과 체육관의 1층부분을 필로티로 하여 그곳에 20대 정도 주차시키는 방안이 있다. 주차는 많을수록 편리는 하겠지만 제한된 대지에 모두 만족 시켜주기는 불가능하다. 공공용의 주차와 소방에 필요한 동선이 요구된다. 특히 도심주차난을 생각할 때는 차라리 적극적으로 지하주차장을 계획하는 방안이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재 67학급은 초대형 규모로 초등학교 규모로는 적합하지 못하다. 장래를 고려하여 48학급에서 최종적으로 36학급으로 계획하였으나 한동안은 67학급이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신설 초등학교가 가까운 시기에 개교될 것을 기대한다.

  • PDF

Development and Suggestion of Integrated Collaboration System to Revitalize Community-Based National Science Museums (지역사회 기반 전국과학관 활성화를 위한 통합이용제도 개발 및 제언)

  • Park, Young Shin;Mun, Kingju;Hwang, Yoh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12 no.3
    • /
    • pp.274-290
    • /
    • 2019
  • In order for the science museum to play a role as a foundation for strengthening the national creative capability, which is the core of the advanced national development paradigm, it is important to gather the capacities of the nation's science museums and establish a platform to cooperate in a shared value system. Science museum is an independent operating system, and there is a lack of strong connections among national, public and private science museums. The existing integrated collaboration system of science museums-centered can be studied first and promoted to develop programs for the free school year according to a specific topic. The same system of science museum-inclusion which link local cultural institutions or cultural places as science culture program were also studied to do the same purpose. On the basis of problems drawn from studies of integrated collaboration systems of each participating science museum, we proposed a convergence integrated collaboration systems of science museum-centered and science museum-inclusion.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practitioners of 7 representing science museums including 5 national ones. In order to suggest improvements, we also contacted five international science museums to collect the exemplary cases.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science museum-inclusion integrated collaboration systems consider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science museum-centered integrated collaboration systems for free school semesters, were developed and tried by practitioner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It was found that integrated collaboration system can be more activated for the community. This suggests that support from the national level or at the level of regional autonomy is essential and the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is necessary for the integrated collaboration system program. Finally, professional experts such as program development or commentator can be a decisive role.

Proble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환경오염의 세계적인 경향)

  • 송인현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72.03a
    • /
    • pp.3.4-5
    • /
    • 1972
  • 생활수준이 낮은 단계에 있어서는 우선 식량에 대한 수요가 강하다. 인간의 욕구가 만족스럽게 먹는다는 것에 대하여 제일 강하게 발동하는 것이다 그러나 점차 과학기술과 산업과 경제가 발전하여 성장과정에 오르게 되고 소득수준도 향상하게 되면 시장기구를 통해서 구입 할 수 있는 개인의 물적 소비재에 대해서는 점차 충족하게 되며 식량이외에도 의복, 전기기구 및 일용생활용품, 자동차 등에 이르기까지 더욱 고차원의 소비재가 보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며는 사람의 욕구는 사적 재물이나 물적 수요에서 점진적으로 공공재나 또는 질적 수요(주택, 생활환경 등)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으로써 여기에 환경오염 또는 공해문제에 대하여 의식하게 된다. 그러나 여기에서 더욱이 문제점이 되는 것은 소득 수준의 향상 과정이란 그 자체가 환경오염의 커다란 요인이라는 점이며 자동차의 급격한 보급과 생활의 편의성을 구하여 집중되는 도시인구의 집적, 높은 소득을 보장하기 위한 생산성 높은 중화학공업의 발전 등등은 그 자체가 환경권이란 사람이 요구하는 고차원의 권리를 침해하는 직접적인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나 공해문제에 대한 세계적인 논의는 이미 시작된 지 오래이지만 현재는 우리의 건강보호를 위해서나 생활환경의 보전을 위해서라는 점에서는 그치는 것이 아니고, 더욱 넓혀서 자연의 보호, 자원의 보호라는 견지로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세계적인 확대된 이해와 이에 대한 대책강구의 제안은 1968년 국제연합의 경제사회이사회에서 스웨덴 정부대표에 의하여 제시되었으며 1969년의 우- 탄트 사무총장의 인간환경에 관한 보고서, 1970년 Nixon 미대통령의 연두일반교서 그리고 1972년 5월 6일 스웨덴의 스톡홀롬에서 개최되는 인간환경회의의 주제 등을 통해서 알 수 있고, 종래의 공해나 생활환경의 오염문제라는 좁은 개념에서가 아니고 인간환경전체의 문제로 다루고 있는 것이다. 즉 환경개발(도시, 산업, 지역개발에 수반된 문제), 환경오염(인위적 행위에 의하여 환경의 대인간조건이 악화하는 문제) 자연ㆍ자원의 보호관리(지하, 해양자원, 동식물, 풍경경치의 문제)란 3개 측면에서 다루고 있는 것이다. 환경오염이란 문제를 중 심하여 보면 환경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로서 대기, 물, 토지 또는 지각. 그리고 공간의 사대요소로 집약하여 생각할 수 있음으로 이 4요소의 오염이 문제가 되는 것이다. 대기의 오염은 환경의 오염중 가장 널리 알려진, 또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오염의 문제로써 이에 속하는 오염인자는 분진, 매연, 유해가스(유황산화물, 불화수소, 염화수소, 질소산화물, 일산 화염소 등) 등 대기의 1차 오염과 1차 존재한 물질이 자외선의 작용으로 변화발생 하는 오존, PAN등 광화학물질이 형성되는 2차적인 오염을 들 수 있다. 기외 카도미움, 연등 유해중금속이나 방사선물질이 대기로부터 토지를 오염시켜서 토지에 서식하는 생물의 오염을 야기케 한다는 점등이 명백하여지고 있으며 대기의 오염은 이런 오염물질이 대기중에서 이동하여 강우에 의한 침강물질의 변화를 일으키게 되며 소위 광역오염문제를 발생케하며 동시에 토지의 토질저하등을 가져오게 한다. 물의 오염은 크게 내육수의 오염과 해양의 오염의 양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천의 오염을 방지하고 하천을 보호하기 위한 움직임 역시 환경오염의 역사상 오래된 문제이며 시초에는 인분뇨와의 연결에서 오는 세균에 의한 오염이나 양수 기타 일반하수와의 연결에서 오는 오염에 대비하는 것부터 시작하였지만 근래에는 산업공장폐수에 의한 각종 화학적유해물질과 염료 그리고 석유화학의 발달에 의한 폐유등으로 인한 수질오탁문제가 점차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것은 측 오염이란 시초에 우리에게 주는 불쾌감이 크므로 이것을 피하자는 것부터 시작하여 인간의 건강을 지키고 각종 사용수를 보존하자는 용수보존으로 그리고 이제는 건강과 용수보존뿐만 아니라 이것이 농림 수산물에 대한 큰 피해를 주게됨으로써 오는 자연환경의 생태계보전의 문제로 확대전환하고 있는 것이다. ?간 특히 해양오염에 대한 문제는 국지적인 것에만 끝이는 것이 아니고 전세계의 해양에 곧 연결되는 것이므로 세계각국의 공통관심사로 등장케 되었으며 이것은 특히 폐유가 유류수송 도중에 해양에 투기되는 유류에 의한 해양의 유막성형에서 오는 기상의 변화와 물피해등이 막심함으로 심각화 되고 있다. 각국이 자국의 해안과 해양을 보호하기 위하여 조치를 서두르고 있는 현시점에서 볼 때에는 이는 국제문제화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국제적 협력과 협조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좋은 예라 하겠다. 토양의 오염에 있어서는 대기나 수질의 오염이 구국적으로 토양과 관련되고 토양으로 환원되는 것이지만 근래에 많이 보급사용되는 농약과 화학비료의 문제는 토양자체의 오염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고 농작물을 식품으로 하여 섭취함으로써 발생되는 인체나 기타생물체의 피해를 고려할 때 더욱 중요한 것이며, 또 토질의 저하를 가져오게 하여 농림생산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을 것이다. 지반강하는 지각 에 주는 인공적 영향의 대표적인 것으로써 지하수나 지하 천연가스를 채취이용하기 위하여 파들어 감으로써 지반이 침하 하는 것이며 건축물에 대한 영향 특히 풍수해시의 재해를 크게 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공간에 있어서의 환경오염에는 소음, 진동, 광선, 악취 등이 있다. 이들은 특수한 작업환경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건강에 직접적인 큰 피해를 준다고 생각할 수 없으나 소음, 진동, 관선, 악취 등은 일반 일상시민생활에 불쾌나 불안을 줌으로써 안정된 생활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공간의 오염물로써 새로운 주목을 끌게된 것은 도시산업폐기물로써 이들은 대기나 물 또는 토지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공간을 점령함으로써 도시의 미관이나 기능을 손상케 하는 것이다. 즉 노배폐차의 잔해, 냉장고등고형폐기물등의 재생불가능한 것이나 비니루등 합성물질로 된 용기나 포장 등으로 연소분해 되지 않은 내구소비재가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는 maker의 양식에 호소하여 그 책임 하에 해결되어야 할 문제로 본다. 이렇듯 환경오염은 각양각색으로 그 오염물질의 주요 발생원인 산업장이나 기타 기관에서의 발생요인을 살펴보며는 다음과 같은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A. 제도적 요인 1. 관리체재의 미비 2. 관리법규의 미비 3. 책임소재의 불명확 B. 자재적 요인 1. 사용자재의 선택부적 2. 개량대책급 연구의 미흡 C. 기술적 요인 1. 시설의 설계불량, 공정의 결함 2. 시설의 점검, 보전의 불충분 3. 도출물의 취급에 대한 검사부족 4. 발생방지 시설의 미설치, 결함 D. 교육적 요인 1. 오염물질 방제지식의 결여 2. 법규의 오해, 미숙지 E. 경제적 요인 1. 자금부족 2. 융자상의 문제 3. 경제성의 문제 F. 정신적 요인 1. 사회적 도의심의 결여(이기주의) 2. 태만 3. 무지, 무관심 등이다. 따라서 환경오염의 방지란 상기한 문제의 해결에 기대하지 않을 수 없으나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국내적 국제적 상호협조에 의한 사회각층의 총력적 대책이 시급한 것이다.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 단속된다 하며는 미구에 인류의 건강은 물론 그 존립마저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며, 현재는 점진적으로 급성피해에 대하여는 그 흥미가 집중되어 그 대비책도 많이 논의되고 있지만 미량의 단속접촉에 의한 만성축적에 관한 문제나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 앞으로 태어날 신생률에 대한 영향이나 유전정보에 관한 연구는 장차에 대비하는 문제로써 중요한 것이라 생각된다. 기외에 우려되는 점은 오염방지책을 적극 추진함으로써 올 수 있는 파생적인 문제이다. 즉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산기업체가 투자를 하게 되며는 그만큼 생산원가가 상승할 것이며 소비가격도 오를 것이다. 반면 이런 시책에 뒤떨어진 후진국의 값싼 생산국은 자연 수입이 억제 당할 것이며, 이렇게되면 후진국은 무역경쟁에서 큰 상처를 입게될 것이고 뿐만 아니라 선진국에 필요한 오염물질의 발생이 높은 생산기기를 자연후진국에 양도하게 될 것임으로 후진국의 환경오염은 배가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 해양오염을 방지할 목적에서와 같이 자국의 해안보호를 위하여 마련된 법의 규제는 타국의 선박운항에 많은 제약을 가하게 될 것이며 이것 역시 시설이 미약한 약소후진국의 선박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임으로 교통, 해운, 무역등을 통한 약소후진국의 경제성장에 제동을 거는 것이 될 것이다. 이렇듯 환경오염의 문제는 환경자체에 대해서만 아니라 부산물적으로 특히 후진국에는 의외 문제를 던져주게 되는 것임으로 환경오염에 대해서는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인간환경전체의 문제로써 Nixon 대통령이 말한 결의와 창의와 그리고 자금을 가지고 과감하게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Awareness of Concepts for Gardens and Parks between the Experts and General Publics (정원과 공원에 대한 전문가와 일반인 인식 비교 연구)

  • Miok, Par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6 no.5
    • /
    • pp.1-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of perceptions for gardens and parks between experts and the general public concerning several aspects including scope, scale, publicity, artistic and scientific nature, main materials, practicality and aesthetics, executive and management systems as well as legal understanding of garden and park. The properties of garden and park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 concept,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gardens and the parks were recognized by the experts and the public viewpoint was clarified by questionnaire. As for the difference in the scope of the gardens and the parks, the expert group recognized it more widely than the general public. In general, the space recognized as a garden was the rooftop green space, and urban forests were recognized as a park. In addition, the general public recognized urban forests as gardens the same as they recognized parks, and the distinction was unclear. In the expert group, the perception that gardens were small and the parks were large was more prevalent. It was generally recognized that gardens were private spaces and the parks were public spaces. In the expert group, the gardens were more personal and the parks were more apparent to the public. In the general population, functional and scientific aspects rather than artistic creativity in both gardens and parks. In addition, both the general public and experts found that parks are more complex than gardens. The garden was centered on plant material, and the park was recognized as a center where the sculptural facilities were centered, or the plant material and the sculptural facilities were properly balanced. To the experts the view of the gardens was positive. Expert groups emphasized the aesthetics of the garden, and the parks were more practical, and the general population showed similar perceptions of utility and aesthetics when comparing gardens and parks. In addition, the utility of gardens in the general publics is more emphasized than the aesthetics of the park. Regarding the executive system the park was recognized as the public sector, and the difference was larger in the expert group. As for the management system, both experts and the general public perceive the management of the park or the garden to be carried out by the supporting organization, and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diversification of the management subject. It is found that there is a certain difference in recognition with the mixture of concepts, and there is still a big difference in legal system and perception.

A Comparative Study on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Parents, and Human Resources Directors in Industrial Institutions about Admission into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Career after Graduating from Specialized High Schools (특성화고 진학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의 인식 비교 연구)

  • Lee, Byung-Wook;Ahn, Jae-Yeong;Lee, Chan-Joo;Lee, Sang-Hyun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8 no.2
    • /
    • pp.48-67
    • /
    • 2013
  • This study tried to suggest implications about operation direc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s (SHS) by researching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MSS), school parents (SP), human resources directors in industrial institutions (HRDII) who will be the main users of SHS education, about entering SHS and career after graduating from SHS. Seniors of middle school, SP and HRDII in Asan, Chungnam were the subject of this survey research. The summary of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MSS and SP usually hoped to enter general high schools rather than vocational education schools such as SHS, meister high schools, and MSS considered school records and SP considered aptitude and talent for the factors to choose high school. Second, MSS, SP, and HRDII recognized purposes of SHS as improvement of talent and aptitude, and getting a job. As for positive images of SHS, they recognized it as applying talent and aptitude to life early, getting good jobs easily, fast independence after graduation, and learning excellent technologies, and as for negative images of SHS, they recognized it as social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 students with bad school records enter them, disadvantages about promotion and wages, and being unfavorable for entering universities. They also recognized education of SHS as being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basic and executive ability and key competency, development of creative human resources, and improvement of right personality and courteous manners. Third, many MSS and SP showed intention to enter SHS if it is established in Asan. They wished to enter SHS because they would like to apply their aptitude and talent to life early, learn excellent skill, and hope for early employment, on the other hand, they did not wish to enter SHS because it was not suited for their aptitude and talent, awareness about SHS is low, it is unfavorable to enter universities, and there were social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 They also similarly hoped for getting jobs and entering universities after graduating from SHS. And the reason they wanted to get a job was usually because they want to be successful by advancing into society early, or because it is still hard to get a job even after graduate from the university, on the other hand, the reason they want to enter university is because is usually in-depth education about major and social discrimination about level of education. The ability to perform duties forms the greatest part of the employment standard that MSS, SP, and HRDII aware. MSS and SP usually hoped for industrial, home economics and housework and commercial majors in SHS, and considered aptitude and talent, the promising future, and being favorable for employment for choosing major. The reason HRDII hire SHS student was to develop student into talent of industrial institution, ability of student, and need for manpower with high school graduation level, and there were also partial answer that they can hire SHS student if they have ability to perform duties. The proposals about operation direction of SHS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are as follow: SHS should diversify major and curriculum to meet various requirements of student and parents, establish SHS admission system based on career guidance, and improve student's ability to perform duties by establishing work-based learning. The Government should organize work-to-school policy to enable practical career development of students from SHS, and promote relevant policy to reinforcing SHS education rather than quantitative evaluation such as employment rate, and cooperative support from each government departments is required to make manpower with skill related to SHS to get proper evaluation and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