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창의성 평가

검색결과 480건 처리시간 0.026초

과학 창의성 향상을 위한 가족활동(FAISC)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An Application Effect of Family Activity for Improving Scientific Creativity (FAISC))

  • 지경준;박종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13-220
    • /
    • 2014
  • 이전 연구(Jee & Park, 2013)에서, 일반 가정에서 가족활동을 통해 과학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자료를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12 가족을 두 구룹으로 나누어 각각 6개의 과학 창의성 프로그램으로 제공하여 주당 한 개 프로그램씩 6주간 실시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참가자들로부터 다양한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에 이어서, 가정에서의 가족활동을 통해서 과학창의성이 향상되는지를 정량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였고, 가정에서의 창의성 지도 가능성에 대한 학부모의 의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전 및 사후조사에서 사용할 각각 3개 문항으로 구성된 과학 창의성 조사 도구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이 도구에는 Park(2011)이 정의한 다양한 과학 창의성 요소들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학부모 의견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설문지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실시 결과, 학부모들은 기본적인 방법만 습득하면 누구나 과학 창의성 활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효과적인 프로그램만 있다면 가정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는 인식으로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창의성 평가를 통해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효과의 크기도 매우 크게 창의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앞으로 과학 창의성 활동을 가정 내에서 뿐 아니라, 캠프나 여가활동 중 또는 과학관 등에서 가족형 프로그램으로 확대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Leikin의 수학적 창의성 측정 방법에 대한 고찰 (A study about the Leikin's method of measuring mathematical creativity)

  • 하수현;이광호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3-10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Leikin(2009)의 모델을 적용하여 수학적 창의성을 분석함으로써 Leikin의 모델이 갖는 한계점을 찾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수학적 창의성 측정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정 개방형 문제'와 '결과 개방형 문제'의 두 가지로 나누어 초등 수준에 적합한 개방형 문제를 마련한 후, 초등 5학년 영재 학생과의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Leikin의 모델이 갖는 몇 가지 한계점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한 학생의 동일한 풀이도 상이한 평가 순서에 따라 수학적 창의성 점수가 다르게 나올 가능성이 있었다. 둘째, 학생이 제시한 방법의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독창성이나 융통성보다 유창성이 전체 창의성 점수에 미치는 영향이 컸다. 셋째, Leikin의 모델을 통해서는 아이디어의 유용성과 정교성을 평가하기가 어려웠다. 넷째, Leikin의 모델은 과제 의존적이며 채점자마다 점수가 다르게 부여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보편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보완이 필요했다.

  • PDF

로봇이 새로운 창의성 학습도구로서의 가능성 탐색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a Robot as a New Learning Tool for Creativity)

  • 문외식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59-264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해 기존의 컴퓨터를 대신하여 로봇을 이용한 새로운 학습방법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현장 교사들이 로봇교육에 대한 성향을 조사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교육과정과 교재를 개발하였다. 로봇교육을 통한 창의성 구성요소를 확인하고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초등학생 6학년을 대상으로 방과 후 학습시간에 학습시킨 후 결과산출물을 만들고 이를 평가하였다. 결과로서 초등학교에서 로봇이 창의적인 학습도구로 성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게 되었다.

  • PDF

다양한 해결법이 있는 문제를 활용한 수학적 창의성 측정 방안 탐색 (A Study on the Measurement in Mathematical Creativity Using Multiple Solution Tasks)

  • 이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1호
    • /
    • pp.1-1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 문제를 다양한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와 이에 대한 채점방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을 측정함으로써 수학적 창의성을 측정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 5학년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활용하여 검사를 실시하여 수학적 창의성을 측정하였다. 수학적 창의성 측정을 위하여 창의성의 하위 요소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을 바탕으로 '새롭고, 가치 있는' 수학적 산출물을 평가할 수 있는 채점방법을 구축하여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적 창의성 점수는 학생 간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문항별로도 수학적 창의성 점수에서 차이가 나타나, 수학 학습 내용에 따라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 분석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의 채점방법에 따르면, 유창성이 높을수록 수학적 창의성이 높았다. 그렇지만 '새롭고, 가치 있는' 수학적 창의성의 특성을 부각시키는 채점방법에 의해 유창성과 융통성이 증가할수록 답의 희소성이 낮아져 상대적으로 독창성 점수를 얻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답의 희소성과 수학적인 측면에서 답의 가치를 동시에 고려하는 독창성 판단의 준거를 만들 필요가 대두되었다.

  • PDF

계층의사결정법(AHP)을 활용한 학교 무용교육의 평가지표 개발 (The Weights Analysis of Evaluation Areas and Items for the school Dance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AHP)

  • 이지영;김은혜;김지영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21-52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무용교육의 교수평가를 위한 영역과 항목을 도출하고, 우선순위별 가중치를 도출하여 평가를 위한 프로토타입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델파이조사와 AHP분석을 실시하였다. 학교무용교육의 평가지표는 주체성, 창의성, 다양성, 관계성의 4개 영역과 총 16개의 항목이 도출되었으며, 영역을 포괄하는 모든 항목의 복합가중치에서는 전반적으로 주체성과 창의성을 중요하게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학교문화예술교육 정책에 의해 최근 변화된 학교무용 교수환경에서 종래의 기법중심 무용수업과는 전혀 다른 학교무용의 교수전략을 요구하고 있으며, 실제적인 교수전략과 특성이 반영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 PDF

제품특성 추출을 통한 감성디자인 적용 방법 (MP3 제품을 중심으로) (Regarding a Sensitivity Design Application Method from Product Feature Extraction (Focused on MP3 Player))

  • 권종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26-133
    • /
    • 2009
  • 본 연구는 제품에 있어서 감성제품의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소비자들이 생각하는 감성디자인 제품에 대해 어떠한 요소가 창의적 사고와 관련성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디자인 창의성 속성은 2007년 김은주(Kim Eun-Ju)의 디자인 창의성 평가도구 개발에서 밝힌 형태, 기능, 크기가 다양한 MP3를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MP3는 차별성, 호감성, 유모성, 편리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감성제품에 대한 디자인 창의성 항목의 공통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위의 2가지 실험 내용을 종합해보면 감성디자인은 디자인 창의성 평가 항목 중 독창성의 흥미성 항목과 실용성의 기능성 항목과 관련이 높은 것을 밝혔다. 따라서 향후에는 MP3 이외에 다른 제품의 디자인 창의성 항목간의 공통적 특성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만화 입시 실기의 문제점과 대안 (Problems and Solutions for Admission to Cartoon Studies)

  • 정규하;이헌우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2호
    • /
    • pp.1-16
    • /
    • 2011
  • 한국의 입시에 관한 첨예한 문제제기는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 만화 관련 학과에서도 예외가 없다. 창의성 부재와 패턴화, 각 학교별 자율적 실기고사 유형에 따른 문제점, 평가의 문제점이 지적되는데, 이에 대한 대안으로 실기시간의 확충, 창의성 평가를 위한 별도의 실기도입, 그리고 창의성 평가를 공교육이 장기간에 걸쳐 전담해 주는 방식 등이 거론된다. 따라서 가장 중요한 전제는 대학은 학생들에게 대학에서 가르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설정이 우선되어야 하며, 무엇을 가르칠 것이기 때문에 어떠한 능력을 가진 학생이 선발되도록 입시의 문제가 출제 되어야 한다. 진학 후에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예상과 다르게 나타날 경우 평가의 기준을 다시 살펴 볼 수 있어야 한다. 이처럼 대학에 많은 것이 요구 되는 것은 학생선발의 주체가 대학이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갖추어야할 능력을 요구하는 것도 대학이고 이를 평가하는 것도 대학이기 때문이며, 이러한 선발과정을 거쳐 좋은 인재를 확보하고 교육을 통해 성장시켜야만 본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 PDF

정부출연 연구기관 연구개발팀의 창의성 제고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부서장과 구성원 관점의 비교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of R&D Team in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 Comparative Study on the Viewpoints of Leaders and Members)

  • 노풍두;한인수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992-1020
    • /
    • 2018
  • 본 연구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개발팀 창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체계적인 실증연구를 통해 규명하려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집단창의성에 대한 기존연구에 기초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팀의 특성, 팀 효능 감의 팀 창의성에 대한 영향관계를 규명하고, 둘째, 팀 특성과 팀 창의성간에 있어 팀 효능 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다. 실증연구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102개 연구개발팀을 대상으로 하였다. 팀 창의성 측정에 있어서는 부서장에 의한 평가와 구성원 자체 평가를 병행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이는 평가의 정확성을 높임과 동시에 두 주체의 관점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서이다. 분석결과 팀 특성 중 응집성이 팀 창의성과 정적 관련성이 있었고, 팀 효능감은 팀 다양성, 팀 자율성과 팀 창의성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여 논의 하였다.

자율적 실험과 관리를 통한 공대 교육의 창의성 향상 방안

  • 김배연
    • 세라미스트
    • /
    • 제19권4호
    • /
    • pp.5-1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자율적인 실험과 관리를 통하여 학생들의 창의성을 높이는 방안을 위하여 실험에 대한 내용과 순서 등의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스스로 자료 조사와 실험 방식을 정하도록 하는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 목적은 피크노미터를 이용한 분체의 밀도측정 실험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고, 그러기 위하여 실험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찾아내고 개선책을 제시하여 편차가 적은 실험값을 얻도록 하여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조별로 자료조사와 토론을 통하여 실험을 진행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스스로 찾도록 하는 과정이 학생들의 집중도, 창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었고, 매 학기 중간과 기말에 설문 조사를 통하여 조사한 결과, 많은 학생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었다.

창의성요소와 감성디자인의 평가방법 관계에 대한 연구 (Evaluation Method for the Creativity Elements and Emotional design)

  • 이성필;홍정표
    • 감성과학
    • /
    • 제13권1호
    • /
    • pp.259-268
    • /
    • 2010
  • 현대사회를 감성사회라고 말한다. 감성사회에서 감성(感性)디자인은 상품의 가치를 높여 부가가치를 높여준다. 많은 연구자들이 감성디자인에 대하여 주장을 하고 있지만 감성제품과 일반 제품의 관계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판단기준이 무엇인지 명확하게 밝히거나 무엇이 감성제품인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연구된 사례가 많지 않다. 따라서 감성디자인에서, 사용자에게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디자인요소가 무엇이며, 감성디자인의 분류와 판단 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첫 번째로 선행 연구된 디자인 창의성 평가 요소와 감성디자인의 관계, 소비자에게 선호되는 감성디자인은 어떤 창의성평가요소와의 디자인요소가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지를 제안하고, 두 번째로, 감성디자인유형별로 중요하게 표현되는 이미지와 창의성평가요소와의 관계는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들에게 제품을 보여주고 감성디자인이라고 생각하는 제품을 선정하게하고, 선정된 제품을 디자인유형별로 나누어 창의성평가요소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선정된 제품에서 느끼고 있는 디자인이미지를 알아보고 이미지와 창의성평가요소와의 관계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감성디자인은 시대의 변화, 환경, 사용자에 따라 중요한 창의성평가요소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호하는 디자인은 어떤 이미지를 갖는 디자인이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