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프로그램 지원

Search Result 22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지방자치단체의 창업시설 관리개선 방안 사례연구

  • Yu, Byeong-Jun;Lee, Sang-M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91-96
    • /
    • 2019
  • 창업지원시설은 창업의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에서 시설과 공간, 교육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것으로 경영, 기술분야 등에 대한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장을 의미한다.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이러한 시설을 관련 법령에 따라 꾸준히 개설중이며, A시도 또한 2005년부터 관련 시설을 개설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A시의 창업지원시설의 문제점을 구조적 문제와 관리상의 문제로 구분하여 조사하고,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각각 제시하였다. 구조적 문제로는 시설의 기능 중복 등이 부족하였으며 관리상 문제로는 외부 민간의 투자 연계와 담당 매니저들의 전문성 등이 한계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해결을 위하여 A시 창업지원시설의 구조적인 재구조화와 관리상 문제에 대한 해결을 제시하였다.

  • PDF

우리나라 대학생의 창업인식 조사를 통한 창업교육 고도화 방안

  • Song, U-Yong;Gwon, Hye-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8a
    • /
    • pp.69-8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의 도전적 창업문화 정착, 대학생의 창업역량 강화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창업 확대에 필요한 창업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 창업의 국가경제적 의의와 함께 대학생의 진로 대안으로서 주목받고 있지만 우리나라 대학생의 창업인식은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대학생의 창업아이템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만큼의 창의성이 뒷받침된 기술기반 창업과는 거리가 먼 경우가 많다. 최근 정부 및 대학에서 창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지원정책과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창업문화 확산을 통한 창업도전의 저변 확대, 시장과 산업 트랜드를 바꿀만큼의 시장 전환적이며, 창조적 파괴가 동반된 창업을 활성화하는 데에는 부족함이 많다. 이에 본 연구는 H대학교 신입생 1,0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대학생 창업인식을 분석하고 대학의 창업교육 고도화를 위한 유의한 사실을 발견하였다. 실태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창업교육 고도화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첫째, 생애주기적 진로대안으로서 창업의 의의 인식, 둘째, 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기초한 맞춤형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운영, 셋째, 창업 전문성을 갖추면서 동시에 교육자로서의 역량을 갖춘 대학 내 외부 전문가들을 네트워킹하여 이론-실무의 우수한 창업 교육자 풀 구성 넷째, 효과적 창업교육 전략 및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을 위한 구체적 대안으로 창업교육 목적의 명확화, 교육목적에 부합하는 실천적 교육 콘텐츠 개발 및 국내외 우수 창업교육 콘텐츠의 적극적 활용,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강화를 위하여 교육학적으로 효과적인 방법의 모색 등을 제시하였다.

  • PDF

창업도약기업의 제품개선을 위한 훈련프로그램 효과성 측정을 위한 현업적용도 연구

  • Kim, Myeong-Suk;Yang, Yeong-Seo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173-176
    • /
    • 2018
  • 창업도약기업의 제품개선 훈련프로그램은 초기기업이 자신이 보유한 기술역량 중심으로 제품 및 솔루션 개발 후, 시장(고객)에 출시했지만 잘 안 팔릴 결과이고, 초기기업들이 지속적인 사업성장(성공사업)을 하게하기 위해 매력적인 목표고객이나 시장이 원하는 목소리를 반영하고, 이에 부합하는 자사의 핵심기술역량을 파악 및 확보하게 하여 경쟁자와는 차별적인 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역량과 플랫폼 제공이 필요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운영된 제품개발/개선 훈련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참여자의 특성과 훈련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른 훈련프로그램의 전반적 만족도를 통해 현업적용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설문조사 대상은 2017년 11월에 창업도약패키지 후속지원사업인 제품개선 아카데미 참여자중 203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창업도약기업의 매출신장을 위해 학습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대학생들의 개인특성과 창업의지의 관계 속에서 창업관련지식, 창업교육, 창업효능감의 매개효과 연구

  • Jeong, Yu-Seon;Jeong, Hwa-Y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1a
    • /
    • pp.41-43
    • /
    • 2017
  • 본 연구는 창업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교육기관에서 대학생들에게 올바른 창업교육의 방향성과 올바른 창업교육을 시행함으로써 학생들의 창업의지를 높여주고 청년창업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개인적 특성 중 성취욕구, 통제위치, 위험감수성향에 대해 창업관련 지식과 창업교육이 창업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고, 연구모형은 개인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창업관련지식, 창업교육, 창업효능감을 매개변수로 창업의지를 종속변수로 도표화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대상은 충청권 4년제 국립 대학교 중 대학창업지원 사업을 시행하는 2개 대학과 대학창업지원 사업을 준비하는 본인이 근무 중인 4년제 국립 대학교 총 3곳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312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통계프로그램 IBM SPSS Statistics 22를 활용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고 실증 분석한 연구결과를 통해 시사점과 향후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lications of Korea Through the Policy Analysis of AI Start-up Companies in Major Countries (주요국 AI 창업기업 정책 분석을 통한 국내 시사점 연구)

  • Kim, Dong Jin;Lee, Seong Yeob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9 no.2
    • /
    • pp.215-235
    • /
    • 2024
  •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is recognized as a key technology that will determine future national competitiveness, competition for AI technology and industry promotion policies in major countries is intensifying. This study aims to present implications for domestic policy making by analyzing the policies of major countries on the start-up of AI companies, which are the basis of the AI industry ecosystem. The top four countries and the EU for the number of new investment attraction companies in the 2023 AI Index announced by the HAI Research Institute at Stanford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were selected, The United States enacted the National AI Initiative Act (NAIIA) in 2021. Through this law, The US Government is promoting continued leadership in the United States in AI R&D, developing reliable AI systems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building an AI system ecosystem across society, and strengthening DB management and access to AI policies conducted by all federal agencies. In the 14th Five-Year (2021-2025) Plan and 2035 Long-term Goals held in 2021, China has specified AI as the first of the seven strategic high-tech technologies, and is developing policies aimed at becoming the No. 1 AI global powerhouse by 2030. The UK is investing in innovative R&D companies through the 'Future Fund Breakthrough' in 2021, and is expanding related investments by preparing national strategies to leap forward as AI leaders, such as the implementation plan of the national AI strategy in 2022. Israel is supporting technology investment in start-up companies centered on the Innovation Agency, and the Innovation Agency is leading mid- to long-term investments of 2 to 15 years and regulatory reforms for new technologies. The EU is strengthening its digital innovation hub network and creating the InvestEU (European Strategic Investment Fund) and AI investment fund to support the use of AI by SME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analyzing the policies of major foreign countries in making AI company start-up policies and providing a basis for Korea's strategy search.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the limitations of the countries to be analyzed and the failure to attempt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olicy environments of the countries under the same conditions.

  • PDF

A Study on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ffecting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Korean Professional Soldiers Waiting for Retirem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Support Programs (전역예정 직업군인의 내적·외적요인이 창업의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지원프로그램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Kim, Yong-Shik;Ha, Kyu-S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5
    • /
    • pp.2078-208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ffecting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korean professional soldiers who are supposed to retire less than one year. Another main focus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support programs for entrepreneurial intentions. In thi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361 officers and non-commission officers who are scheduled to retire from the military within 5 months to one year after at least 10 years of military servi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using the regression analysis method. In this study, we found that internal factors did not positively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s, however, external factors positively affected entrepreneurial intentions. It was also found that entrepreneurial support programs played important role as moderating variables between social perceptions toward entrepreneurs and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of research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Improvement Plans of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분석을 통한 창업생태계 개선방안 도출)

  • Kim, Su-Jin;Seo, Kyongran;Nam, Jung-Mi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7 no.4
    • /
    • pp.101-114
    • /
    • 2022
  • Recently, various studies on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have been conducted.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is composed of various elements such as entrepreneurs, governments, and infrastructure, and these factors interact to contribute to economic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for startups us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method. Based on this, the importance and current level of the components of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were identified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importance ranking was in the order of startup support program(4.43), startup funding (4.39), market accessibility(4.30). The ranking of performance was startup support program(3.81), ease of starting a business(3.76), support for startup support institutions(3.66), and startup funding(3.66). All elements of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showed higher importance than performance. This means that the components of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in Korea are recognized as important, but do not play a significant role in terms of performance for startups. In addition, the factors with the highest improvement in the importance-performance matrix were 「safety nets for startup failure」, 「culture of acceptance of failure」, 「ease of market entry」, 「ease of startup survival」, and 「ease of exit」. This study suggested improvement measures such as establishing a social safety net, improving awareness of startup failure culture, matching successful startups, strengthening scale-up support by growth stage, easing regulations in new business fields, and diversifying investment recovery strategies.

An Analysis of IPA for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Start-up Support System: Focusing on the Case of the D University (대학 창업지원제도 개선방안 도출을 위한 IPA분석: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Nam Jung-Min;You, Hyun-Kyung;Kim, Yun-Hee;Kang, Eun-Jeong;Lee, Hyun-Seok;Jang, Kyoung-Hwa;Kim, Su-Ji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7 no.2
    • /
    • pp.53-64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university start-up support system focusing on D university students to grasp the perception of the start-up support system provided the university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s who are real users. Through this, a plan for qualitative growth and advancement of the university start-up system was derived using the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importance of all elements of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and start-up support system is higher than the performance, which means that the start-up education and support programs currently implemented by universities are recognized as important, but do not play a big role in terms of performance for students. In addition, the highest priority factors for improvement in the importance-performance matrix were funding and investment support, start-up space and facilities support, management advisory, patent and intellectual property support, and entrepreneurship field practice. Therefore, This study can be used as objective data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universities should focus on and establish a start-up support system from a long-term perspective, and to build and operate a start-up support system that reflects the needs of students.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만족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김기완;김종성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97-100
    • /
    • 2023
  • 스타트업은 우리 경제의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스타트업이 탄생해 일부는 스케일업(scale-up)하여 유니콘 기업으로 발전하는 반면 일부는 데스밸리(Death Valley)를 넘지 못하고 실패한다. 스타트업이 창업 이후 성공적인 사업화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공공과 민간부문에서 다양한 노력을 펼쳐 나가고 있으며, 창업자 보육에 필요한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액셀러레이터가 스타트업 육성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액셀러레이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것에 비례하여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도 최근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많은 연구에서 액셀러레이팅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가 검증되고 있다.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의 운용 주체와 내용이 다양하여 프로그램 효과 분석도 다각적인 시각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기업성과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 참여자의 특성에 기인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스타트업 CEO의 특성에 초점을 맞춘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독립변수로, 기업성과인 재무적성과와 비재무적성과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자기효능감, 낙관주의, 희망, 회복탄력성인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CEO의 긍정심리자본 정도에 따라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의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실증적 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중소기업 지원 정책금융기관인 신용보증기금과 중소기업은행의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인 스타트업 네스트(Start-up NEST)와 IBK창공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스타트업 CEO를 대상으로 하였다.

  • PDF

Success Factors of UCSD CONNECT as Business Incubator (UCSD CONNECT의 기업보육 성공요인)

  • Chun, Se-Hak;Byun, Yong-Hwa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1
    • /
    • pp.135-14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ough journal review, to introduce and analyze the success factor and programs of CONNECT which have made key contributions in the construction of San diego Bio-cluster and thereby show directions business incubators in Korea should try to follow. CONNECT is a most popular bench-marking case over the world for bio-venture incubation. In this paper, core success factors and incubating programs of CONNECT are analyzed in detailed way for local govenments and incubating institutions to develop enterprise promotion policy. CONNECT is famous for its tailored services to meet the varying needs of entrepreneurs at all stages of their business life cycles and growth. CONNECT is a pioneer which provide mainly software services by using network while it provide hardware supports like space at minimun level. CONNECT has provided early stage corporations with diverse software services on which business incubators in Korea should have focus Since its inception, CONNECT has assisted more than 800 technology companies. Leadership of policy makers, network and software services have been key success factors of UCSD CONN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