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초기기업

Search Result 23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초기 투자성과와 연계된 창업기업의 내부 결정요인 분석

  • Gu, In-Hyeok;Kim, Yong-Deok;Jo, Jae-M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11a
    • /
    • pp.195-199
    • /
    • 2022
  • 본 연구는 스타트업 투자성과와 연계된 창업가 역량, 재무정보 등 정량데이터를 기반으로 스타트업 투자자들의 투자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주요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 초기 종업원 수가 많고, 최고경영자의 지분비율이 높을수록 투자승인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재무적 특성에서는 기업의 매출액 규모가 작을수록 투자승인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타트업의 경우, 기업의 단기성과보다는 투자 결정에 있어 미래가치 혹은 다른 정성적인 요인이 더 고려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셋째, 창업가 특성에서는 CEO 교육수준(학력)이 높을수록 투자승인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즉, 창업자의 학력은 성공적인 투자 여부에 핵심적인 변수이고 이것은 선행연구의 결과와 다르지 않았다. 또한, 학력과 투자유치의 연관성은 창업 3년 미만 스타트업에서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 투자정보공개, 관련 데이터 확보의 어려움으로 스타트업 투자에 관한 정량적 실증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못한 점을 고려한다면, 본 연구는 설문조사 방식을 뛰어넘어 국내 초기 창업기업만을 대상으로 성공적인 투자유치와 연계된 스타트업의 평가요인을 정량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 PDF

정부출자금 지원이 개별 벤처캐피탈(VC)의 창업초기단계 투자에 미치는 영향

  • Lee, Jong-Hun;Jeong, Tae-Hye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48-50
    • /
    • 2016
  • 본 연구는 벤처캐피탈에 대한 정부의 간접출자가 창업초기단계 기업에 대한 투자를 장려하는지에 대해 논한다. 벤처캐피탈의 의사결정이 합리적 투자자의 관점을 취한다고 가정하고 정부의 자금투여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원리를 불확실성 완화효과, 정책유도 효과, 투자금의 규모의 경제효과, 정보비대칭성 완화효과, 자본비용 완화효과로 분해하여 이론적 고찰을 한다. 이론적 논의를 종합하여, 본 논문은 다음의 주장을 한다. 첫 째, 정부출자금의 규모가 벤처캐피탈의 창업초기단계 기업에 대한 투자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질 것이다. 둘 째, 창업초기단계에 대한 투자지침을 명시한 출자금을 유치한 벤처캐피탈의 창업초기단계 투자가 그러한 투자지침을 갖지 않는 출자금을 유치한 벤처캐피탈에 비해 클 것이다. 셋 째, 정부출자금의 창업초기단계 기업의 투자에 대한 규모효과는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감소하여 역U의 형태를 보일 것이다.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3년 사이 투자활동을 벌인 한국의 105개 벤처캐피탈사의 출자금 구성과 투자 내역자료를 활용하여 상기 주장의 유효성을 실증 조사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포함한 다양한 통계적 검정의 결과 세 가지 주장을 모두 지지하는 일관된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는 벤처캐피탈의 투자행태 및 정책개입의 효과와 메커니즘에 대한 새로운 설명을 제시한다는 이론적 의의와 이에 대한 실증근거의 제시를 통해 벤처기업 및 벤처캐피탈 정책의 효과와 방향성에 대한 재검토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실무적 의의를 갖는다.

  • PDF

A Study on Success Factors for Entrepreneurs in IT Ventures (IT 창업 기업의 창업 성공 요인에 대한 연구)

  • Shin, Yu-Sub;Choi, Myeong-Gi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7
    • /
    • pp.2371-2385
    • /
    • 2010
  • What are the success factors of IT venture entrepreneur that through initial phase and enter to the growth phase ? Both the duration of jobless growth and the economic recession are worsening employment market. Entrepreneurship is be proposed to a method for creating jobs and reducing the economic gap. Research on Entrepreneurship and the support of government policy has already been operated for a long time ago. Research on growth and duration of the entrepreneur in initial phase, compared with growth phase are insignificant in quantity or quality. Therefore, this study researches essential factors about growth and duration of the entrepreneur in the initial phase through cases related them. entrepreneur of this subject are classified the hardware development group and the software development group associated with manufacturing characteristic funded existence. There is a research on evaluation factors about selection and result evaluation of selecting Entrepreneur. And this can be investigated by studying to Entrepreneur's growth and duration in initial phase. There are affecting factors about growth and duration of first step. And they are divided by internal, external, synthetic, and characteristic factors of growth phas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be used to develop pre-established educational program, consulting guidelines and establish support policy.

벤처창업 초기투자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Choe, Yeong-Geun;Jeon, Seong-Min;Lee, Seung-Y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4a
    • /
    • pp.181-184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에 벤처 창업 자금이 많이 제공되나 실제로 스타트업이 투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초기투자의 딜레마 문제를 연구하였다. 기술기반 스타트업은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규 시장을 형성하면서 일자리와 고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국민경제에서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주요 선진국에 비해 국내에서는 초기 스타트업이 기술이전 후 창업으로 연계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특히 최근에 국내 벤처창업 생태계에 정부 자금의 공급이 넘쳐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초기 단계 기업들은 자금 투자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다수가 자기자본으로 시작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창업벤처 및 육성 지원책을 고찰하고, 국내 벤처캐피털 투자현황을 분석하여, 초기 단계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 활성화를 위해 투자 방식의 개선, 투자 주체의 확대, 그리고 투자 유형의 다변화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벤처생태계의 초기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에 필요한 조사와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ntrepreneurial Competency Model in Early-and Late-Stage Technology-Based Ventures (초기 및 후기 기술창업기업 창업가의 역량 모델에 관한 연구)

  • Lee, Hye Young;Kim, Jin So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3 no.4
    • /
    • pp.99-11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ntegrated entrepreneurial competency models that reflect critical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that entrepreneurs should have at different stages, thereby enhancing the success rate of ventures.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the hypotheses about the positive effects of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on business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competency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and business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chnological functional competency of entrepreneurial teams, the resource utilization and business planning competency of entrepreneurs in the early stage of business development were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both non-financial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The opportunity recognition competency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In addition, it is analyzed that learning competency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competencies(technological functional, resource utilization)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competency between business planning competency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Second, leadership and resource acquisition competency of entrepreneurs in the late stage of ventures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both non-financial and technological performance. The strategic competency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It was also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competency between strategic competency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was significant. Finally, the results show that both non-financial and technical performance of NTBVs a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financial performance.

창업가 특성과 창업코칭 활동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의식전환을 매개로

  • Jeon, Eun-Ji;Yang, Yeong-Seok;Kim, Myeong-Su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159-162
    • /
    • 2018
  • 대다수의 창업 기업들이 창업 초기 단계에 만족할 만한 창업성과를 이루지 못하고 좌절하는 경우가 있기에 창업 기업의 창업 준비단계 및 초기 단계가 매우 중요하다. 이처럼 대부분의 초기 창업가들은 경험의 부족으로 인하여 창업성과를 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창업 멘토링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두어 코치와 피코치(창업가) 간의 협력관계를 통하여 창업코칭 활동으로 창업가의 의식전환을 매개로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창업가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창업코칭 활동이 창업성과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창업코칭 활동 연구 확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 PDF

'Lean Startup' : The Way to Reduce the Failure Rate of Startups ('린 스타트업' : 창업 초기기업의 실패 최소화 전략)

  • Cho, Sungju;Lee, Sang-Myung;Park, Byung-Ji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9 no.4
    • /
    • pp.41-53
    • /
    • 2014
  • There has been lots of discussions and new policies to encourage people to start new businesses. However, they key issue such as how to raise the success rate of new start-ups still needs to be resolved. Many believe that the success of policies and discussions for promoting entrepreneurship in Korea highly depends on how to lower the risks with which early stage start-ups encounter. In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an emerging approaches in entrepreneurship, 'lean start-up', which can work as an effective method with which early stage entrepreneurs can minimize challenges they face. Even though lean start-up is a widely accepted concept among practitioners and recognized as a useful tool for entrepreneurship and education, but has not got deserved attention from the academic world. This paper offers basic framework and key principles of lean start-ups, furthermore, shows Korean cases of step-by-step application methods of its concepts. It also suggest key issues in adopting lean start-up strategy. This study has implications and contributions for entrepreneurs, educators and researchers through providing comprehensive perspectives on process of the lean start-up strategy.

  • PDF

소셜벤처 창업 초기에 플랫폼 전략 채택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점프!의 사례를 중심으로-

  • Park, Jae-Hong;Hwang, Geum-J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22-22
    • /
    • 2017
  • 소셜벤처는 기존의 일반적인 벤처기업과 달리 기술, 경영 혁신 등의 방법으로 경영 활동을 수행하는 기업 형태에 사회적 가치를 추구해야 하는 기업 형태를 결합한 조직이다. 소셜벤처에게는 창업 초기의 전략 수립과 이에 따른 비즈니스 모델 설정이 일반 벤처보다 더 어려울 수밖에 없는데 이는 소셜벤처들이 경제적 가치 추구와 함께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해야 하는 소셜벤처만의 이중적인 사업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중적인 사업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새로운 또는 효과적인 사업 전략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관련 그룹들을 플랫폼에 모아 네트워크 효과를 창출하고 새로운 기업생태계를 구축하는 플랫폼 전략(Platform Strategy)이 주목된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소셜벤처중에 점프!라는 기업의 사례를 주목하게 되는데 이 회사는 2011년 5월에 창업한 이래 현재까지 지난 7년동안 사업의 내용과 규모를 확장하면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어 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성장의 배경에는 타 소셜벤처가 시도하지 않았던 플랫폼 전략을 시도하여, 다양한 참여자들을 유인하고, 이들이 새로운 혁신과 성장을 리드하였다는 것이 큰 작용을 했다는 사실이 존재한다. 본 논문을 통해 소개되는 소셜벤처 점프!의 창업과 성장 사례를 통해서 소셜벤처에게 창업 초기부터 플랫폼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지속 가능한 성장에 유의미한 효과를 발생시키는지를 알아보고 기업생태계를 넘어 사회전체적인 생태계를 통한 사회적 대공진화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 PDF

엔젤투자자의 위험 회피 성향이 투자 행동 및 관심에 미치는영향

  • 조수연;임한규;이우진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11a
    • /
    • pp.85-89
    • /
    • 2023
  • 최근 급변하는 세계 경제 환경에서 창업기업은 혁신, 고용 및 경제 활력의 핵심 동력으로 등장했다. 그러나 초기 창업 기업이 성장하는 여정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며, 이 과정에서 엔젤투자자의 역할이 필수적이다. 초기 창업 시장의 촉매제 역할을 하는 엔젤투자자는 필요한 자본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경영 노하우 및 네트워크를 통해 창업기업이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러나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신생 기업 중 엔젤 투자의 혜택을 받는 기업은 1.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창업기업의 잠재력과 지원 사이에는 분명한 공백이 존재한다. 이 연구는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을 위해 창업 생태계의 중요한 요소인 엔젤투자자의 위험회피 성향을 이해함으로써 이들의 투자 행동, 의사결정 프로세스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위험회피가 엔젤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엔젤투자가 활성화 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위험회피 성향이 엔젤투자에 대한 관심도와 실제 투자 활동 간의 관계를 추정해보고자 한다. 위험회피 성향이 엔젤투자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엔젤투자자의 행동과 관심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포함하여 진행한다. 연구 표본은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일반 성인과 엔젤투자자로 설문조사를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 연구는 위험회피 성향이 엔젤투자 결정에 어떻게 반영되는지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하고, 엔젤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및 전략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 PDF

창업가의 주관적 경력성공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Kim, Mi-Jeong;Lee,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1a
    • /
    • pp.19-2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창업가의 역량을 주관적 경력성공과 기업가정신으로 설정하여 창업기업의 성과와의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최근 늘어나는 실업율과 정부의 창업지원 정책의 핵심대상군인 청년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일반적으로 청년창업이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시장이나 사업에 대한 경험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청년들이 실무적인 지원 및 실패에 대한 안전장치 없이 창업을 시작한다는데 있다. 하지만 창업교육을 통해 간접경험을 높이고 청년들이 가지고 있는 장점인 새로운 시각과 유연한 사고방식을 충분히 활용한다면, 실패에 대한 확률을 줄이고 혁신기업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은 더 높을 수 있다 하겠다. 최근 몇 년간 정부는 대학생을 포함한 청년층에게 창업 초기자금을 지원하여 청년창업의 활성화에 많은 노력을 해왔지만, 이러한 지원들은 대부분 창업을 시작하는 초기단계에 집중이 되어있다. 창업은 그 성공률이 3~4% 남짓으로 쉽지 않은 일이지만, 그래도 이러한 초기단계의 지원들은 청년들이 창업시장에 많은 참여를 할 수 있는 동인이 되고 있다. 또한, 청년들이 시장에서 자신의 아이디어를 실험하고 사업화하며 혁신을 이루어가는 창업의 과정은 훗날 그들에게 훌륭한 경험과 경력이 될 것이다. 경험을 통한 자신의 경력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는 개인의 삶과 업무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 청년들의 이러한 경험들은 우리사회에 지속으로 긍정적인 가능성을 만들어 줄 것이다. 본 연구는 창업가의 주관적 경력성공과 기업가정신이 창업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기 위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창업기업들이 성장을 위해서 개인이 가지고 있는 경력과 경험에 대한 활용을 높여야 하는 근거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근거 도출을 위해 창업가의 경력에 대한 중요성과 업무능력과의 관계에서 영향을 주는 요인을 가설로 설정하였고 이에 대한 검증을 통하여 주관적 경력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 목적은 첫째, 창업가의 주관적 경력성공과 기업가정신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하여 실증 분석하여 학문적 체계를 마련하고, 둘째, 창업가의 주관적 경력성공과 기업가정신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요인을 통계적 방법을 통해 찾아내어 창업지원정책의 평가시스템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