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지원프로그램

Search Result 223,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ship and Government Support Program on the Entrepreneurship of Youth Merchants in Traditional Markets : Mediating Effects of Start-up Preparation and Collaboration with Merchants (전통시장 청년몰 청년상인의 기업가정신 및 정부지원 프로그램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창업준비성, 상인과의 협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Kim, Jaehyun;Nam, Jungmi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5 no.5
    • /
    • pp.221-23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relationship of major variables derived based on prior research on factors affecting the start-up performance of youth mall young merchants in traditional markets,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The factors affecting the start-up performance of the youth mall in traditional markets were divided into government support programs and entrepreneurship, and the cooperation between the start-up preparation and merchants was established as variables that mediated the influence between the start-up performance and entrepreneurship performance. The analysis showed that entrepreneurshi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tart-up readiness, while government-supported programs,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readi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tart-up performance. In addi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ed effects of the research model, it was verified that the indirect effects of entrepreneurship on the performance of start-up by mediating the preparation of start-ups were significant. Through this study, the government support program should be support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merchants, not of the current consistent support, and means that youth merchants should be thoroughly verified in the recruitment, selection, and promotion stages, and young merchants with high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readiness should be selected.

대학의 창업교육체계 구축이 창업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Kim, Byeong-Guk;Kim, Chang-W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39-39
    • /
    • 2017
  • 정부는 대학발 창업에 대한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그동안 산재되어 있는 창업지원기능을 대학중심으로 전환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가 정신을 확산하고 창업성과와 연계하기 위한 대학의 창업교육과정 및 창업지원체계 구축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분석을 시도한다. K대학은 1998년 지역 내에서 가장 먼저 창업보육센터로 지정을 받았고 이후 2011년 창업선도대학, 2012년 LINC사업, 2013년 사관학교식 창업선도대학 및 2014년 글로벌창업대학원 지원사업 선정 등 각종 정부지원사업을 통해 창업인프라를 구축하여 왔다, K대학은 학부생,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창업수준 4단계, 기술분야별 교과과정 체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아이디어 도출부터 기업설립까지 창업 과정을 실질적으로 경험해 볼 수 있는 창업동아리와 이를 지원하는 비교과 프로그램과 창업친화형학사제도가 갖추어져 있다. 또한 창업 활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대학 내에 산재한 창업지원기관을 통합하고 본부 조직화하였다. K대학은 이를 통해 창업교과 수강학생 수 및 창업동아리 수에서 2배 수준의 증가와 창업자 수는 2013년에 비해 7배의 성장을 이루었다. K대학의 창업교육과 창업지원체계 및 창업성과를 종단적으로 분석하여 대학에서의 창업시스템이 단계별로 구축될 필요성과 대학 내 구성원의 창업에 대한 인식전환과 성과도출까지 적응기간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ole of the College to Foster Student Entrepreneurship Contents - Focused on the case of Y College of Dept. Fashion Indestry (학생 창업콘텐츠 육성을 위한 전문대학교의 역할 - Y전문대학교 패션산업과 사례를 중심으로)

  • Lee, Ji-Yeon;Kim, Jang-Hye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3
    • /
    • pp.697-70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 many start-up support programs provided by a college can actually help students start a business, and to discuss what role colleges should have as facilitators of student entrepreneurship. To this e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seven students who wished to start a business by utilizing start-up education and support programs provided by College 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articipants first mentioned parallel and administrative inefficiency in entrepreneurship and the entrepreneurship programs. Second, the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colleges in fostering start-up content are systematic planning and guidance for start-up programs operated by the college, concise administrative procedures, mentoring in various start-up items, and securing a test market. It can be said that the concept of a common office in which students can work together is necessary.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help to establish a start-up support plan by suggesting what role colleges should play in relation to entrepreneurship, but its limitation is that its scope includes only one specific major.

국내 창업교육센터 대학별 차이점과 성공 운영 요인에 관한 연구

  • Kim, Seong-Il;Lee,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123-125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의 창업교육센터(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여 선행 조사DB와 비교 분석하였다. 창업교육센터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대학별 정량적 정성적 지표를 측정하여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의 구분하고 두 집단의 차이점과 성공운영 요인을 분석하였다. 창업교육센터의 일반 현황과 특성, 교직원(교수자수, 교원창업자수), 교과목(과목, 수강인 원수), 학내외 프로그램(창업동아리, 창업경진대회, 창업캠프), 재정운영(예산, 전담인력) 등의 계량 지표는 대학정보공시(대학 알리미)와 중앙일보 대학평가 DB를 기초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운영상의 문제점, 센터의 성과측정 항목 등 정성지표는 창업교육센터장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또한, 국내 창업교육센터의 표본특성을 살펴본 후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의 차이를 규명하여 상위그룹이 보유하고 있는 인적 물적 역량과 프로그램의 분석하여 창업교육센터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부의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2012년~2106년)"에서 창업교육을 총괄 지원하기 위해 2012년 대학에 설치된 전담조직인 61개 창업교육센터의 성과를 분석하고 대학평가에서 상위 순위에 있는 대학 그룹들의 차이점을 도출하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2017년에 새롭게 지정된 LINC+ 사업 ('17년~) 창업교육 분야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창업교육센터 운영에 대한 구조적 설문지를 개발하여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 결과는 창업교육센터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대학교직원 연구자 공무원 학생 및 창업교육센터를 포함한 창업지원 기관의 이해 관계자에게 향후의 발전을 위한 자료로써 의미가 있을 것이다.

  • PDF

An Analysis Of Entrepreneurship Programs at U.S. College and Universities: Focusing on Implications for Entrepreneurship Ecosystem of Korean Universities (미국 주요대학들의 창업 프로그램 분석: 한국 대학의 창업생태계 구축의 시사점 연구)

  • Lee, Tae Hyun;Kim, Hui Taek;Kim, Yoon Kyou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0 no.1
    • /
    • pp.175-185
    • /
    • 2015
  • This article focuses on an analysi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at U.S. college and universities in order to determine distinctive features of those programs. To this end, we delved into the entrepreneurship programs including Martin Trust Center for MIT, Harvard University VIP program, Polsky Center of Chicago University and Stanford University program. By analyzing major roles, curriculum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s, three types of distinctive features emerged. The first feature is dynamic education-focused programs, which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for applying what they have learned through startup competitions. The second is local-based programs, which take the lead in local startups by focusing on the local industry. The third is the programs with support and encouragement for startups. Based on the three types of features, we suggested critical factors for successful entrepreneurship education.

  • PDF

창업실패관련 개인평가와 사업실패로 인한 손실경험이 재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Ha-Gyeong;Kim, Jong-Tae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1a
    • /
    • pp.63-69
    • /
    • 2017
  • 2015년 기업생멸 행정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최근 5년 동안('2010~2014년) 연평균 창업은 77만개, 폐업은 69만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5년 한해에만 개인사업자로 106만8313명이 창업을 하고 73만9420명이 폐업을 했다. 이는 하루 평균 3000명이 창업을 하고 2000명이 문을 닫는 셈이다. 실패를 경험한 기업인들은 여러 가지 심리적,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고 연구 보고되고 있다. 이같은 결과는 사업실패를 경험한 기업인들에 대한 케어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지난 2010년부터 정부가 실패기업인들에 대한 재기지원사업에 나서고는 있으나 재창업지원제도의 효과성에 대해서는 보장하기 어려운 상태다. 일각에서는 재창업지원이 양적인면에서는 활성화됐으나 질적으로는 아직 미흡하다고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사업실패를 경험한 기업인들이 겪게되는 심리적 특성과 재기를 하고자 할 때 방해요소로 작용하는 감정요인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따라서 선행연구를 통해 사업실패를 경험한 기업인들의 감정메카니즘을 규명한 모델(건강신념 모델:Health Belief Model)을 적용한 창업실패관련 개인평가와 사업실패경험(재무적 손실, 비재무적 손실)이 재창업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감정요인인 창업실패관련 개인평가는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지각된 장애로 구성했다. 또 창업실패관련 개인평가와 재창업의도 사이, 사업실패경험과 재창업의도 사이에 재창업지원정책, 창업자기효능감이 각각 조절작용을 하는지 유의미한 관계성을 알아보고자한다. 연구 대상은 정부 재창업지원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중소기업진흥공단, 서울산업진흥원, 재도전지원센터등 기관의 재창업지원을 받은 기업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이들이 재창업지원서비스를 받기 전과 후에 대한 측정을 통해 실증분석을 하려고 한다.이 연구가 설정한 가설이 맞을 경우, 시사점으로는 정부의 재창업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검증이 될 것이다. 또 창업실패관련 감정메카니즘 규명으로 사업실패 기업인들의 재기를 도울 수 있는 재창업지원정책의 고도화가 가능해 질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여성창업자의 창업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부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Ji, Sang-Cheol;Hwang, Bo-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127-130
    • /
    • 2018
  • 국내에서는 장기 경기침체로 인해 여성들이 창업시장에 도전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더 나아가 여성창업자들을 위한 민관중심의 창업지원 프로그램이 창업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시행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여성창업자들이 창업을 통해 성과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는데, 개인적인 역량이나 업무적인 역량외에 여성만의 가지고 있는 특징을 독립변수로 선택하여 여성기업의 창업성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여기에 창업기업들에게 정부가 지원하는 정책적인 요인도 조절효과로 추가하여 여성창업자의 창업성과를 조사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총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설문에 참여하여 답한 내용중 일부가 누락되었거나 부정확한 표기를 한 설문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총 212명의 여성창업자들을 대상으로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설문을 통해 결과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여성창업자 개인의 특성에 따라 창업성과에 (+)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창업자의 업무적 특성인 독창성, 아이디어, 자원분배역량, 지도역량, 네트워크 구축, 인맥확보등이 여성창업자의 창업성과에 모두 정 (+)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창업자만의 특성인 경력단절 유무와 결혼유무에 대해서는 회귀분석을 통한 나타난 결과는 창업성과와 무관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절효과인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은 여성의 창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효과가 여성창업자의 다른 독립변수를 능가할 만한 효과로 나타나지는 않아서 정부의 여성창업자에 대한 정책지원이 좀 더 보강되고 확장되어야만 창업의 성과가 더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 PDF

경력단절여성의 개인 특성과 창의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Hwang, Seon-Ju;Jeong, Hwa-Yeong;Kim, Myeong-Su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61-61
    • /
    • 2017
  •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창업의지를 고취시키기 위해 필요한 변수를 분석하고, 성공적인 창업으로의 연결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재구성 및 향후 정책이나 사업을 기획함에 있어 이론적 기반을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작성 되었다. 여자의 삶을 살면서 겪게 되는 출산 및 양육은 경력단절을 만드는 주된 이유이며, 이는 개인의 문제 뿐 아니라 저 출산 이라는 또 다른 사회적 문제를 야기 시킨다. 이런 사회적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현재 정부는 여성기업의 활동과 여성의 창업을 지원하기 위해 2009년 12월 여성기업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여성기업 활동 촉진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등 여성 창업 촉진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들이 실제 경력단절여성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선행연구를 통해 알아보고, 경력단절여성의 창업의지를 고취시키기 위해 필요한 변수를 분석하여 실증 분석을 통해 관련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경력단절여성의 특성을 파악하여 경력단절 전 보다는 창업에 필요한 소통이 단절되었을 것으로 판단하여 외부의 영향력이 아닌 내부의 개인특성을 중점으로 변수들을 추출하였다는 선행연구와의 차이점이 있고, 일반 예비창업자 혹은 교육학에서 변수로 작용했던 창의성을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는 차이점이 있고, 창업 이라는 교육 커리큘럼에 여성을 대표하는 "감성"을 더해 "여성창업"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이 만들어 져야 하고, 경력단절여성들이 창업활동을 활발히 할 수 있도록, 일 가정 양립을 위한 제도적인 지원제도가 더욱 많아져 경력단절 여성창업률을 높이려는 노력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Effect of Startup Support Policy on Entrepreneurship: Focusing on TIPS Support Projects by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창업지원정책이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 중소벤처기업부 팁스(TIPS)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Kim, Mijo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7 no.3
    • /
    • pp.1-17
    • /
    • 2022
  • This study studied the effect of the TIPS support project of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on the entrepreneurship of TIPS start-ups. The Tips start-up company, which i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selected for the TIPS support project, participated in all commercialization funds, incubation facilities, and capacity building programs, and was selected as a company that received private investment.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about eight weeks from January 14, 2022 to March 11, 2022. For this study, the TIPS support project was subdivided into four categories: commercialization funds, incubation facilities, capacity building programs, and private investment attraction, and entrepreneurship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innovation, challenge spirit, leadership, and risk-taking. As a result of the in-depth interview, the influence of the TIPS support project on entrepreneurship factors was in the order of challenge spirit, innovation, risk-taking, and leadership.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commercialization funds influenced innovation and risk-taking, incubation facilities had a challenge spirit and risk-taking, competency-building programs had a challenge spirit and leadership, and attracting private investment had an influence on innovation and challenge spiri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 TIPS support project, a private investment-led technology start-up support program, was introduced in 2013 and as of the end of March 2022, and a report was prepared focusing on visible performance such as private investment performance and employment rate. However, through this study, by analyzing whether the TIPS support project contributed to the cultivation of entrepreneurship for TIPS start-ups, it was found that it had a positive influence not only on quantitative growth but also on qualitative grow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