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창업지원서비스

검색결과 165건 처리시간 0.025초

프랜차이즈 가맹점주의 개인특성 및 기업가 정신과 경영성과 인식과의 관계분석 연구

  • 김선희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13-729
    • /
    • 2017
  • 프랜차이즈 산업은 전문 창업시스템을 구축한 가맹본부가 사업 초기부터 가맹점의 영업활동을 지원하고 사업 노하우(know-how) 및 경영 기술을 지원 해줌으로서 창업 활동을 용이하게 도와주고 있다. 프랜차이즈 가맹점 창업의 장점은 브랜드 인지도를 활용한 영업활동으로 창업초기부터 일정한 수익을 보장 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어 소상공인의 관심이 매우 높다. 본 연구에서는 프랜차이즈 지원서비스인 가맹본부의 상품공급 수준, 고객관리 지원, 슈퍼바이저지원, 교육훈련 지원, 마케팅지원이 가맹점주의 경영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함으로 써, 가맹본부와 가맹점간의 서로 상생할 수 있는 지원서비스에 대한 전략적인 방법과 기업가정신과 개인 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 PDF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CEO의 기업가정신 및 시장지향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업기업의 지원서비스 활용정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Impacts of Entrepreneurship and Market Orientation of Business Incubator CEO's on business performance: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utilization level of BI Supporting Services)

  • 김성일;이우진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5호
    • /
    • pp.1-13
    • /
    • 2016
  • 창업은 국가경제 활성화와 기술 산업화를 용이하게 하고,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높여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창업보육 시스템은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창업 초기기업의 성장을 위해 물리적 및 비물리적 서비스를 제공하며 초기기업들의 성장을 위해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CEO의 기업가정신 및 시장지향성이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창업보육센터의 지원서비스가 경영성과에 어떠한 조절효과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의 검증을 위해 국내 BI협회에 등록이 되어있고 서울에 위치하고 있는 9개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 320부를 배포하여 127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지를 제외한 117부를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CEO의 기업가정신 하위변수인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중 진취성이 경영성과의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장 지향성의 하위변수인 고객지향성, 경쟁자 지향성, 협력지향성 중 경쟁자 지향성이 경영성과의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물리적 지원서비스 활용정도는 진취성과 재무적 성과간의 조절작용을 하고, 진취성과 비재무적 성과에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시장지향성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비물리적 지원서비스 활용정도가 협력지향성과 재무적 성과간의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취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는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CEO에게 사무지원, 마케팅 지원, 입주기업 간의 네트워크 구축, 교육, 법률, 회계, 세무 등 비물리적 지원서비스를 제공해준다면 고용증가, 종업원의 업무 수행능력, 종업원의 만족도 등 비재무적성과가 더욱 향상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협력의 문화를 가진 기업이 사무지원, 마케팅 지원, 입주기업 간의 네트워크 구축, 교육, 법률, 회계, 세무 등 비물리적 지원서비스를 활용한다면, 기업의 매출 증대, 순이익 증가, 고객의 충성도 및 시장점유율이 더욱 향상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겠다. 기존의 창업보육센터 관련 연구들은 주로 창업보육 매니저의 역량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입주기업의 지원서비스와 기업의 성과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는데 본 연구를 통해 향후 BI 입주기업의 성장과 자생력을 높일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하리라 기대한다.

  • PDF

무점포 창업자 지원을 위한 비대면 기반의 지능형 빅데이터 융합 서비스 설계 (Design of Intelligent Big data Convergence Service to Support Non-store Founders based on Non-face-to-face)

  • 구현모;홍지연;강철수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1-8
    • /
    • 2023
  • 최근 장기적인 경기 침체로 인해 창업비용의 부담이 적은 무점포 창업에 예비창업자들이 집중되면서 무점포 및 통신판매업자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자금이 부족한 청년 실업자나 가정주부 외에도 '투잡'을 희망하는 직장인들이 많이 뛰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특정 네트워크, 사업자 및 서비스 종류에 종속되는 공급자 중심의 서비스 플랫폼에서 탈피하여 공유와 참여를 통해 도·소매 무점포 창업자의 사업 지원과 수익 창출에 기여하는 판촉물 산업의 B2B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업 통합 지원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안정적인 운영관리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오케스트레이션 및 서비스 관리 기술, 엔터프라이즈 비즈니스 파트너 관리 기술을 적용한 업무 통합 운영 지원 시스템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중장년 기술창업가의 창업 준비 유형 및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ech Start-up Preparation of Middle-Aged Entrepreneurs)

  • 홍성표;김민희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1호
    • /
    • pp.125-140
    • /
    • 2023
  • 체계적인 창업 준비는 실패 가능성을 낮추고 시장성 있는 비즈니스 모델 수립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중장년 창업가에게 필수적이지만, 중장년의 창업준비를 위한 정책과 서비스는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최근 중장년의 창업과 관련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으나 창업준비는 대학생이나 예비창업가를 중심으로 연구되어, 실제 창업을 한 중장년 창업가의 다양한 창업준비 행태를 심층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중장년 창업가의 창업준비 유형을 도출하고, 창업준비 유형에 따른 창업성과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업력 7년 미만 창업기업의 중장년 기술창업가 324명의 설문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중장년 기술창업가들의 창업준비는 보통 수준으로 창업 준비 기간의 충분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창업교육을 통한 준비 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중장년 기술창업가들의 창업 준비 유형은 '전반적 부족형', '창업교육 소홀형', '포괄적 준비형'의 3개 집단으로 나타났다. 창업만족도, 창업역량, 실패 두려움, 창업서비스 접근성, 중장년 특화 지원 필요성에 대한 집단 별 차이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 부족형에 비해 창업교육 소홀형과 포괄적 준비형의 창업만족도, 창업역량, 창업서비스 접근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패두려움의 경우 포괄적 준비형이 전반적 부족형과 창업교육 소홀형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장년 창업 서비스 접근성은 전반적 부족형이 타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고, 중장년 특화 창업지원의 필요성은 모든 유형에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장년의 체계적인 창업준비 지원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은 첫째, 중장년층의 창업준비 수준을 향상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사업 확대 및 중장년 창업가의 창업준비 수준에 따른 유형별 지원 제공, 둘째, 중장년 창업지원 서비스에 대한 홍보와 접근성 강화, 셋째, 청년 창업가와 다른 중장년의 특성을 반영한 중장년 창업가 특화 교육 제공, 넷째, 창업교육을 포함한 창업준비의 여러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중장년 창업지원 제공 등으로 제시하였다.

  • PDF

서비스의 질적수준 및 도움정도가 기업의 특성에 따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창업보육센터 지원서비스를 중심으로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Quality Level of Service and Assistance degree on Satisfaction consequent on Corporate Characteristics : With focus on Start-up Business Incubator Center's Support Service)

  • 이도연;하규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3858-3869
    • /
    • 2015
  • 산업사회에 있어 시대의 화두는 창업인바 창업의 활성화는 새로운 직업을 창출함으로써 고용극대화와 경제전반에 걸친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그 유인책중 하나가 창업보육시스템이고 그 중심에 창업보육센터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보육센터 지원서비스의 질적 수준 도움정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창업보육센터의 효율적 운영방향과 정책방향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 하나의 논의의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개발하고 총500부의 유효 표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창업보육센터가 입주기업이나 창업 준비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중 질적 수준과 도움정도는 센터 및 지원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매니저의 역량과 관련기술특성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연구를 통한 정부지원중심 스타트업 멘토링서비스 제안 -공공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중심으로- (A case-study suggests government-supported startup mentoring service -Focused on public service design methodology-)

  • 이윤주;김선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63-71
    • /
    • 2019
  • 본 연구는 정부지원중심 스타트업으로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정부의 공공정책서비스 개선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에 설립한 청년창업자의 스타트업 사례를 통해 예비창업자가 겪는 어려움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정부지원 중심 스타트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예비창업자가 효용성을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정책대상수요자 중심의 스타트업을 성공할 수 있도록 멘토링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정부지원중심 스타트업을 준비하는 예비창업자를 위한 공공정책서비스 개발에 공공서비스디자인의 프로세스와 방법론을 채택 및 적용하는 것이 유효함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정부가 공공정책서비스를 개발 및 개선하고자 할 때 고려할 수 있는 하나의 접근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에너지기술연구원과 타 국가출연연구원 창업보육센터의 입주업체 특성 및 창업보육 성과 비교 (Comparison of BI Firms′ Characteristics and BI Performance Between EVIC and Other BIs.)

  • 권철홍;오대균;정양헌;최수일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2002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43-249
    • /
    • 2002
  • 창업보육센터 (이하 BI)는 기술과 사업성은 있으나 정보 및 경영자원이 부족하고 경영관리 능력이 미흡하여 사업 진행에 어려움을 겪는 신설창업자나 예비창업자에게 시설 및 장비지원과 함께 제품개발기술지원은 물론 경영, 회계, 재무, 홍보, 법률분야 등의 다양한 보육서비스를 제공하여 창업자의 성공가능성을 제고시키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사업장을 가리킨다.(중략)

  • PDF

산업클러스터 기술융합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인 지식재산서비스 지원 방안 연구

  • 소병우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0년도 통합학술대회
    • /
    • pp.21-43
    • /
    • 2010
  • 2030년대는 BT시장이 활짝 열리는 시대로 고도화된 IT기술, 데이터 해석기술, 집적회로 개발기술, 생화학기술 등 모든 영역의 기술이 필요할 것이며, 앞으로의 기술개발은 융합을 전제로 하여 IT와 BT의 융합이 관건이 될 것으로 기술개발의 시너지를 내기 위해서는 관련 산업과 대학이 물리적으로 적정한 위치에 임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에는 2009년 말 현재 819개의 산업클러스터가 만들어졌으며,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집적화 된 산업단지에 여러 가지 지원시설, 지원제도 등을 제공하고 있으나 기술융합을 위한 지식재산서비스에 관한 지원제도는 미미하거나 거의 없는 실정에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산업단지의 현재 기능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산업클러스터 내의 기업들이 서로 유기적인 협력을 통하여 융합기술 개발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며, 특히 한국산업단지공단에 꼭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지식재산 관련 지원제도(지식재산지원본부)의 기능과 조직구성에 대한 개념과 산업클러스터 내의 기업에게 지식재산전략 수립을 지원할 수 있는 Flow를 제안하여 산업클러스터의 지식재산서비스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대학 창업교육 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tartup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 김상화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183-19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창업교육 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대학에서 다양한 창업교육이 운영되고 있지만 창업의도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의도를 높이기 위한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창업 교육의 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대구.경북 소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298부에 대한 통계 분석을 SPSS 22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에 미치는 다중회귀분석결과 유형성, 응답성, 확신성, 공감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신뢰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교육만족은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최근 우리나라 창업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창업교육, 창업지원정책, 사업화 지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생겨나고 있다. 대학의 창업 교육서비스품질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데 교육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서비스품질 역량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