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창업지식습득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19초

창업지식습득이 창업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창업자 가족배경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Knowledge Acquisi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via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Family Entrepreneurship Background)

  • 이주연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4호
    • /
    • pp.219-232
    • /
    • 2022
  • 창업의도에 관한 실증연구는 지난 수년간 다양한 관점에서 진행되어왔다. 최근에는 COVID-19 팬데믹의 여파로 전 세계적으로 경기가 침체되면서 실업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창업이 고용 창출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수많은 선행 변수들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창업자 개인의 특성이라 볼 수 있는 창업 자기효능감과 환경적 특성인 창업자 가족배경에 초첨을 맞추어 이 변수들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스크리닝 질문을 통하여 창업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Prolific에서 300명의 글로벌 응답자에 대한 온라인 조사로 진행되었다.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는 국내 연구에서 다수 확인된 바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샘플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의 일반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지식습득은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창업자기효능감은 창업지식습득과 창업의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셋째, 창업자 가족배경은 이 관계를 조절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창업지식습득 수준이 낮을 때에는 창업자 가족배경의 낮고 높음에 상관없이 창업의도가 낮은 반면, 창업지식습득수준이 높을 때에는 창업자 가족배경이 낮을 때에 비하여 창업자 가족배경이 높은 경우에 창업의도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 준비 과정에서 창업교육이 창업의도를 향상하는데 필요한 조건이며, 성공적인 창업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창업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창업지식습득 수준을 높일수록 창업자기효능감이 높아지고 궁극적으로 창업의도 또한 고양시킬 수 있다. 셋째, 가족 중에 창업 경험이 있는 경우 창업 심화 과정을 이수하도록 하여 창업자기효능감을 증진시켜 창업을 더욱 촉진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대학생들의 창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창업 활동, 창업 교육 등 창업 관련 프로그램 활성화가 중요하다. 따라서 교육기관은 학생들이 창업지식습득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함으로써 창업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하여 창업의도를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수준의 창업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해야 한다. 또한 가족 중에 창업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위한 창업지원 정책이나 심화 교육 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학생들의 개인특성, 창업교육, 창업관련지식 및 창업의지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Undergraduat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Startup Education, Startup-Relevant Knowledge and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 정유선;정화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6호
    • /
    • pp.75-87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개인특성인 성취욕구 및 위험감수성향, 창업교육 및 창업관련지식, 그리고 창업의지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대학생들이 창업의지를 제고하는데 창업교육을 통해 창업관련지식을 습득하도록 하는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결과에서 대학생들의 개인특성인 성취욕구가 높을수록 창업교육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강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위험감수성향을 지닌 학생들은 창업교육을 통하지 않고 창업관련지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위험감수성향과 창업교육과의 구조관계와 성취욕구와 창업관련지식과의 구조관계는 직접적인 영향관계는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창업교육은 창업관련지식에로의 관계는 긍정적인 효과로 학생들이 창업교육을 받으면 받을수록 창업관련지식이 향상됨을 알 수 있어 창업의지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창업교육을 통한 창업관련지식의 습득에 체계화를 이룩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창업교육은 그 자체로서도 창업의지를 향상시켜 학생들로 하여금 창업을 촉진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음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또한 창업교육을 통한 창업관련지식의 습득이 창업의지를 높이는데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따라서 개인특성인 성취욕구와 위험감수성향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지만 매개변수인 창업교육과 창업관련지식을 실행하고 체득케 함으로서 창업의 의지와 기회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 교육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f Factors Affect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 김용태;최명길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70-17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 참가자들의 학습동기와 창업의지, 교육 만족도, 자기 유능감이 창업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문헌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설정된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서울시와 인천시가 주관하는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 참가자의 학습참여 동기는 교육만족도와 자기유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 참가자의 창업의지는 교육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참가자의 교육 만족도는 자기유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학습자의 만족도와 자기유능감은 교육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지방자치단체의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 참가자의 학습 참여 동기와 창업의지가 높을수록 창업에 대한 다양한 지식과 기술 습득을 의미하는 자기 유능감과 만족도가 높아지며, 아울러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의 교육성과 또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단기 창업교육프로그램이,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는 정규교육기관의 창업교육과는 달리, 짧은 기간 내에 효과적인 창업교육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육 참가자들의 학습동기 및 창업의지 등 개인적 특성을 사전에 충분히 파악하여 적합한 대상자를 선발하여야 하며, 교육내용에 대한 만족도 제고를 통해 예비 창업자들이 스스로 다양한 창업관련 지식과 기술 등에 관한 자기 유능감을 향상시키는 데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이다.

  • PDF

긍정심리자본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정신교육 만족도를 중심으로

  • 고유영;김종성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1-35
    • /
    • 2023
  • 기업가정신은 기업가정신교육을 통해 개발할 수 있으며 창업의 성공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창업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청년 기업가정신 교육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창업을 위한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창업에 대한 높은 목표와 열정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창업 교육에 대한 연구에서는 이러한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 어렵고 창업의지와 이를 촉진하기 위한 기업가정신교육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긍정심리자본과 창업의지의 관계를 검증하고, 나아가 기업가정신 교육 만족도가 긍정심리자본과 창업의지 간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한 여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총 113명의 표본 집단을 수집하였고, SPSS 28.0을 활용해 측정 항목의 타당성 및 가설 검증을 실시하였다.

  • PDF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to the Career Matur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 이혜진;황인호;김진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698-709
    • /
    • 2016
  • 청소년기는 자신의 적성을 찾고 진로에 대해 고민하고 발전시키는 시기이다. 청소년 창업교육은 창업지식의 습득을 통한 창업의도를 고양하는 것과 함께 진로 성숙을 추구하게 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청소년을 둘러싼 주위의 환경이 본인의 지식 함양 및 심리 상태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창업교육에 있어 교육 프로그램과 환경이 교육분위기와 창업지식의 매개를 통해 청소년의 바람직한 진로 결정을 위한 마인드 함양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다. 연구 가설 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실시하였으며, 인천시 창조창업여행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216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불성실한 답변이 포함된 설문지 30부를 제외한 186부를 SPSS 18.0과 Amos 18.0를 사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교육서비스품질과 교육환경품질이 교육분위기를 결정하고, 창업지식을 매개로 하여 진로성숙도와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정책적 측면에서 창업교육의 방향성을 수립하고 실천적 측면에서 창업교육의 성과 달성을 위한 선행 연구로서 활용할 수 있다.

현장실습경험이 대학생의 진로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혜영;김보영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1-175
    • /
    • 2020
  • 최근 대학의 진로지도는 재학생들에게 산업 현장에서의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학교에서 배운 전공지식을 기업현장에 적용하여 전공과 관련된 실무경험을 축적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대학에서의 현장실습은 더욱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를 통해 학생들이 습득하는 산업현장에 관한 경험, 정보와 아이디어가 진로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켜 졸업 후 고용획득 뿐만 아니라 창업의 동기로 작용하기도 하는지 확인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진로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켜 이에 따른 행동을 이끌어 내기 위한 동기적 측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능동적이고 계획적으로 진로를 선택해 나가는 자기주도적 경력태도와 기업가정신에 따라 현장실습경험이 고용가능성과 창업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예상되는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현장실습 경험은 대학생이 인식한 고용가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창업의도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것이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경력태도는 현장실습 경험에 따른 고용가능성과 창업의도 사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은 현장실습 경험에 따른 고용가능성과 창업의도 사이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PDF

하이테크산업에서 선두이점의 원천에 관한 연구: 지식경영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Sources of Pioneering Advantage in High-tech Industries: The Mediating Role of Knowledge Management Competence)

  • 조연진;박경도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4호
    • /
    • pp.113-131
    • /
    • 2015
  • 본 연구는 지식경영역량의 신제품 개발 과정에서의 역할을 설명하고, 지식습득역량에서 지식적용역량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통해 선두이점과 신제품품질의 우월성, 그리고 신제품 성과 간에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지식기반 연구는 지식의 정의, 지식의 유형 구분, 지식과 정보 간의 차이 등에 대한 연구로 국한되어왔다. 본 연구는 기업의 신제품 지식경영활동 중 발생하는 지식습득과 지식적용역량을 전략적 변수로서 간주하여, 지식경영역량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를 조사하였다. 지식기반이론과 source-position-performance(SPP)구조를 바탕으로, 가치창출에 원천으로서 지식의 유형은 지식경영역량의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러한 지식경영역량은 포지션상의 우위를 가져와 신제품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국내 하이테크 산업에 속하는 기업들 중 신제품 프로젝트에 참여한 제품 개발팀의 과장급 이상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7개의 가설 중 신제품 지식의 복잡성과 지식적용역량의 관계(H1b)를 제외한 모든 가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공헌은 SPP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지식의 유형과 포지션상 우위를 연결하는 매개변수로서 지식경영역량을 소개하였고, 실증 분석을 통해 신제품 혁신 이론에 지식경영역량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였다는 것이다. 또한 신제품 개발 성과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신제품 개발 팀장들의 역할 즉, 팀 구성원들의 개별 지식 접근능력을 기르고, 그것을 적용하기 위한 능력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는 점은 실무적으로 의의가 있다.

  • PDF

한국인과 중국인의 공동창업기업 성장의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Growth intention of Korean and Chinese Co-Founding Startup Companies)

  • 김아현;문준환;이재범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3호
    • /
    • pp.145-158
    • /
    • 2020
  • 사회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개인이 모여 구성되기 때문에 그 집합 또한 서로 다른 특징을 갖는다. 더욱이 글로벌화와 타 국가의 언어습득이 활성화되면서 다른 국가로 유학을 가는 빈도수가 증가하면서 새로운 교류가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그 중 창업을 하고자하는 경우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탐색적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 한국인과 중국인이 구성된 공동창업기업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인터뷰를 통하여 보다 심도 높은 내용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인터뷰 중에 지속적으로 반복하거나 강조한 단어 등을 주요 키워드로 삼았으며 추가적인 질문을 통해서 타 키워드들을 획득했으며, 결과적으로 국가가 상이한 경우의 공동창업에서 자기수용, 문화적 거리, 기업가정신, 지식이질성, 성장의도가 매우 큰 키워드임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자기수용, 문화적 거리, 기업가정신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성장의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다른 국적을 가진 경우의 공동창업의 경우 다른 지식을 가짐으로 인해 더 넓은 의사결정안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이 차이가 너무 상이할 경우 오히려 단점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지식이질성은 각 관계들에 있어서 역 U자의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명제를 설정하였다.

융복합시대 청소년기의 다양한 경제 경험이 경제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the Impact of Various Economic Experience in Adolescence on Formation of Economic View in an age of convergence)

  • 임상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509-515
    • /
    • 2015
  • 본 연구는 융복합시대 청소년기의 다양한 경제관련 경험이 경제관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2015년 9월 1일부터 11일까지 충남 아산시 거주자와 온라인 홈페이지 방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116부를 분석하였다. 경제 관심도가 청소년기 경제 경험과 경제관 형성 간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파악하고, 경제지식 습득경로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청소년기의 다양한 경제 경험이 경제 이해도(${\beta}=.485$), 합리적 소비태도(.458) 및 창업의지(.293)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경제 관심도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또한 인구학적 특성과 경제지식 습득경로에 따른 경제관의 집단별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기의 다양한 경제경험이 경제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체험형 청소년 경제교육이 경제관 형성에 효과적임을 밝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기술사업화를 위한 연구개발센터의 역할 : 개발도상국의 사례 및 시사점 (The Role of R&D Center fo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 The Case and Implication to The Developing Country)

  • 김종진;최종인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4호
    • /
    • pp.27-39
    • /
    • 2014
  • 기술사업화를 위한 연구개발 센터 조직은 크게 세 가지 단계로 구분된다. 첫째는 산업계의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을 개발하는 것이며, 둘째는 선진국을 따라잡기 위해 수입된 기술을 창조적 모방을 통해 개발하는 것이다. 셋째 단계는 선진화된 지식창조 역량을 습득하는 것이다. 따라서 센터의 조직은 대학과 정부의 발전전략과 잘 연계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개발도상국에게 연구센터의 개발을 통해 경제개발과 관련된 관리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사례연구로 든 카자흐스탄의 경우 산업계 문제해결 단계인 첫 번째 단계에서 센터는 기술과 인적자원 측면에서 인프라구조를 구축한다. 두 번째 단계는 지식 역량을 구축하는 것으로 중앙 아시아에서 주요 산업 연구개발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셋째 단계에서는 센터가 선진화된 지식을 구축하여 세계수준의 지식센터를 만드는 것이다. 이같은 점에서 연구개발과 사업화 센터의 진화는 센터의 서비스 형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