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창업연구

Search Result 2,81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노마드적 기업가정신: 글로벌 인바운드 창업이주의 관점에서

  • Choe, Hwa-Jun;Kim, Tae-Yong;Lee, Jeong-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04a
    • /
    • pp.205-210
    • /
    • 2022
  • 오늘날 많은 선진국들이 창업국가를 표방하고 있다. 실제로 많은 연구들은 창업 생태계의 역동성이 국가 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에 각국 정부들은 스타트업을 새로운 미래 성장 동력으로 인식하고, 능력 있는 창업가와 스타트업을 자국으로 유치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본 연구는 창업자들의 글로벌 창업이주(Startup migration)현상과 지역적 창업 생태계의 등장에 주목하여, 그들의 이주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창업 생태계 관련 선행연구에 따르면 창업자들은 개인적 동기 혹은 가용 자원이 풍부한 환경을 찾아서 국경을 넘는다. 창업이주는 국내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을 의미하는 아웃바운드(Outbound)와 해외 스타트업의 국내 창업 허브에 유치하는 인바운드(Inbound)가 있는데, 본 연구는 비교적 선행연구가 적은 인바운드 창업이주(Inbound startup migration)를 중심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선행연구 기반의 질문지 작성, 설문 조사의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글로벌 창업 생태계를 비교 분석 및 평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글로벌 창업 이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낼 것이다. 이후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앞에서 발견한 요인들을 인바운드 창업이주 관점에서 재정리하고 각 요인별로 질문을 추가하여, 설문지를 구성할 것이다. 설문지 작성의 목적은 인바운드 창업이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작성된 설문은 글로벌 창업이주 형태로 국내에 정착한 100여명의 해외국적 창업자들에게 진행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인바운드 창업이주의 핵심 요인들을 찾아내어 이론화하고 이를 실증할 설문도구를 만들어서, 이를 우리나라 인바운드 스타트업들을 대상으로 검증하여 각각의 상대적 중요도를 찾아내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찾아낸 영향, 요인, 프레임워크는 세계 각국의 창업생태계를 비교하는 후속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고 실증된 결과는 정책 입안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창업지원 매니저의 역량 특성이 조직몰입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매니저의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 Gang, Hye-Jeong;Yang, Yeong-Seok;Kim, Myeong-Su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11a
    • /
    • pp.155-160
    • /
    • 2021
  •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중소벤처기업부를 중심으로 다양한 창업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있고, 매년 창업지원 사업이 증가하고 있다. 창업지원 사업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예비창업자 또는 창업기업의 성공적인 사업화를 지원하고 성공률 제고를 위해 자금·교육·투자·네트워크 등을 지원하는 일이다. 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담 조직과 전담 인력이 필요하다. 현재까지는 창업보육센터와 창업보육 매니저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창업지원단의 역할과 창업지원 매니저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창업지원 매니저의 역량 특성이 조직몰입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창업지원 사업의 규모 확대와 역할변화에 따르는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요구하는 창업지원 매니저의 역량들을 도출해보고, 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전공만족도에 따른 창업교육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An, Tae-Uk;Park, Jae-Hw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205-20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창업교육센터 중심으로 대학생들의 도전정신과 기업가정신을 함양하기 위한 창업교육을 확대하고 있는 시점에 창업교육특성이 창업의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영향관계를 확인하고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했던 전공만족도에 따른 창업 교육특성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고,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본 연구는 기존자료와 선행연구에 대한 관련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창업교육특성과 창업의지, 전공만족도를 조절효과로 8개의 가설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군산대학교 창업교육을 수강한 21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하였고, 회기분석 모형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s of Local Start Up Education on Start Up Motivation and Start Up Competency of Education Participants (로컬창업교육이 교육참여자들의 창업동기 및 창업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Won-hee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353-354
    • /
    • 2023
  • 본 연구는 부산지역 청년 창업교육의 활성화와 예비 청년 로컬창업자의 맞춤형 창업역량개발을 위해 부산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현장 실무중심 창업교육이 지역 대학생들의 창업동기와 창업역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실증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동기의 구성요인을 경제적동기와 자아실현동기로 구분하였으며 창업역량은 로컬창업에 필요한 실무역량, 로컬 브랜드개발역량, 재무분석역량이 창업교육 수료 후 어떠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실증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K대학교 창업관련 교과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 PDF

창업자의 다중지능 영역별 발달 특성이 창업 행동 및 창업 분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Lee, Seon-Hui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31-34
    • /
    • 2018
  • 다중지능은 하워드 가드너가 제시한 개념으로, 지능이 단일한 지적 능력을 나타내는 구조(construct)이라기 보다는 다차원적인 복수의 하위 능력들로 구성된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Gardner는 다중지능의 구성을 음악지능이나 신체운동지능, 논리수학지능, 언어지능, 공간지능, 인간친화지능, 자기성찰지능 그리고 자연친화지능 등과 같은 상호독립적 능력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각 개인은 각 능력 영역에서 다른 발달 수준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창업자의 다중지능의 영역별 발달 특성이 창업 실행 행동, 창업 분야, 창업 성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통해 예비 창업자들이 본인의 적성과 재능에 적합한 분야에서의 창업 가능성을 탐색하도록 돕는 지도자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하고, 향후 창업가 육성 프로그램의 구성 개선안을 마련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8년 중소기업진흥공단 청년창업사관학교에 입교한 만 39세 이하의 청년창업자 200인을 대상으로 다중지능검사와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창업 특성에 대해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Pearson 상관계수 및 다변량분산분석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할 예정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가설은 다음의 3가지이다. 가설 1. 창업자의 다중지능 영역별 발달 수준과 창업 실행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2. 창업자의 다중지능 영역별 발달 수준에 따라 창업자가 선택한 창업 분야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창업자의 다중지능 영역별 발달 수준에 따라 창업자의 창업 성과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PDF

시니어의 경험, 자금조달역량, 마케팅역량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Jang, Yeong-Mi;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161-166
    • /
    • 2018
  • 고령사회 진입과 재취업환경의 어려움 속에서 개인의 경제적 문제 등을 해결하고자 대안으로 시니어창업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창업 이후 생존율은 매우 낮은 상황이다. 본 연구는 시니어의 경험, 자금조달역량, 마케팅역량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로서, 창업역량인 경험, 자금조달역량, 마케팅역량과 창업의지의 관계 및 창업역량과 창업의지간 사회적지지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로써 최근 증가하고 있는 시니어창업에 대해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시니어 중 잠재적창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433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역량이 높을수록, 즉 개인의 경험, 자금조달역량, 마케팅역량이 높을수록 창업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창업역량인 경험, 자금조달역량, 마케팅역량과 창업의지 간 사회적지지 조절효과는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성공적인 시니어창업을 위해서는 창업역량을 강화하여 창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하고, 창업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그에 따른 창업교육이 더욱 광범위하게 필요하다는 것이다.

  • PDF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Gang, Seong-Il;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11a
    • /
    • pp.39-44
    • /
    • 2020
  • 본 연구는 농촌융복합산업에 관심이 있는 예비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인들의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의도 발현에 대한 영향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농촌융복합산업 예비창업자들이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이라는 의사결정을 하는데 미치는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영향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농촌융복합산업 창업도 창업의 한 형태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라는 관점에서 논의를 전개하였으며, 이를 위해 창업연구 분야에서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에 사용되는 연구분석틀을 응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잠재적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자들인 예비농업인들의 창업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관련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예비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자들이 현재의 환경 하에서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을 고려할 때 창업의도에 미치는 요인들로서 개인적요인과 외부적요인으로 귀농지역적 요인, 정책적요인을 선정하였다. 이후 선행연구 및 정책적 자료들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적인 개념을 정립하고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선택된 연구의 변수들인 내적 개인특성, 외부 환경요인, 정책적요인,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의도들 간의 관계를 실증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의미 있는 이론적 및 정책적 시사점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인 농촌융복합산업 예비창업자 개인적 요인과 외부적인 지역적요인, 정책요인을 변수로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표본의 일반적 특성과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의도와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할 것이다. 연령, 현재 회사에서 맡고 있는 업무분야, 기업규모, 성별, 학력, 농촌융복합산업 유형, 근무경력 등 인구통계적 특성이 개인의 농업·농촌 관심도와 농촌융복합산업 창업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집단간 비교분석을 통해 알아볼 것이다.

  • PDF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Start-Up Using Text Mining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창업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Han, Sung-Soo;Yang, Dong-Wo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2 no.5
    • /
    • pp.1-1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the start-up research in Korea. To accomplish this, meta-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ext mining methodology by dividing the entrepreneur-related master's and doctoral theses registered in RISS into the first term of entrepreneurship research by 2009 and the second term of entrepreneurship research from 2010.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from the three different analysis that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government policy and support are the subject of continuous research topics in the whole period and that the researches on small business start-ups have been studied continuously and conducted more in the second half. In addition, empirical analysis is strengthened in the latter stage of entrepreneurial research. The TF-IDF analysis reveals that many researches on veterans have been carried out in the field of entrepreneurship research, and in the latter period, it was found that many studies related to the elderly were conducted with cultural contents and aging society. In addition, research on brand-related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and research on venture-related research,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 entrepreneurship motivation and start-up strategy have been conducted a lot and female entrepreneurship was also studied. In the latter period, we have emphasized entrepreneurial achievements and found that research on start-ups such as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start-up investment, and social enterprise diversified. This study is meaningful to apply the method which is becoming a recent issue such as text mining and topic analysis to the meta-analysis related to start-up. Future research will need to be undertaken on a variety of more detailed topics related to entrepreneurship.

  • PDF

해커톤 기반 창업교육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효과: 기업가정신, 창의성, 창업준비의 매개효과 검증

  • Kim, Su-Jin;Kim, Jong-S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149-152
    • /
    • 2019
  • 청년 실업률이 9%대를 넘나들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으며, 그 핵심에는 '벤처창업 활성화정책'이 있다. 이를 뒷받침 하듯이 각 대학에서는 창업론,벤처창업론 등 창업관련한 기초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며, 특히 창업지원단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창업아이디어를 독려하기 위해 아이디어톤, 해커톤, 경진대회 등 다양한 창업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각 대학마다 이렇게 다양한 창업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효과성 검증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공백을 채우고자 해커톤 창업교육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증해 보는데 있다. 각기 다른 분야의 팀원들이 팀을 이루어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창의적인 방법으로 해결해 나가는 창업교육방식인 '해커톤 창업교육'이 기업가 정신, 창의성, 창업준비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창업의지를 높인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 PDF

국내 창업교육센터 대학별 차이점과 성공 운영 요인에 관한 연구

  • Kim, Seong-Il;Lee,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123-125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의 창업교육센터(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여 선행 조사DB와 비교 분석하였다. 창업교육센터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대학별 정량적 정성적 지표를 측정하여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의 구분하고 두 집단의 차이점과 성공운영 요인을 분석하였다. 창업교육센터의 일반 현황과 특성, 교직원(교수자수, 교원창업자수), 교과목(과목, 수강인 원수), 학내외 프로그램(창업동아리, 창업경진대회, 창업캠프), 재정운영(예산, 전담인력) 등의 계량 지표는 대학정보공시(대학 알리미)와 중앙일보 대학평가 DB를 기초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운영상의 문제점, 센터의 성과측정 항목 등 정성지표는 창업교육센터장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또한, 국내 창업교육센터의 표본특성을 살펴본 후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의 차이를 규명하여 상위그룹이 보유하고 있는 인적 물적 역량과 프로그램의 분석하여 창업교육센터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부의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2012년~2106년)"에서 창업교육을 총괄 지원하기 위해 2012년 대학에 설치된 전담조직인 61개 창업교육센터의 성과를 분석하고 대학평가에서 상위 순위에 있는 대학 그룹들의 차이점을 도출하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2017년에 새롭게 지정된 LINC+ 사업 ('17년~) 창업교육 분야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창업교육센터 운영에 대한 구조적 설문지를 개발하여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 결과는 창업교육센터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대학교직원 연구자 공무원 학생 및 창업교육센터를 포함한 창업지원 기관의 이해 관계자에게 향후의 발전을 위한 자료로써 의미가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