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창업멘토링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초

대학생의 창업교육 만족도와 창업지원제도인식, 창업멘토링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효능감을 조절효과로

  • 유영철;이원일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3-5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직·간접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창업교육, 창업지원제도, 창업멘토링의 매개를 통하여 창업의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대학생의 창업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 창업교육 만족도, 창업지원제도인식, 창업멘토링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서 창업효능감에 따라 창업의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채택한 변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창업교육 만족도, 창업지원제도인식, 창업멘토링을 독립변수로 지정하였고, 둘째, 창업의지를 종속변수로 지정하였으며, 셋째, 대학 창업교육 만족도, 창업지원제도인식, 창업멘토링과 창업의지 사이에서 창업효능감을 조절변수로 지정하였다. 넷째, 창업지원제도인식은 정부창업지원정책과 대학창업지원사업으로 창업멘토링은 멘토링 기능(문제해결 기능, 네트워킹 기능, 의사소통 기능, 동기부여 기능)과 멘토 신뢰(인지적 신뢰, 정서적 신뢰)로 구분하였다.

  • PDF

창업가역량이 창업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업멘토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곽병욱;양영석;김명숙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1-116
    • /
    • 2023
  • 중소벤창업기업 중 대다수가 처음 창업을 도전하기 때문에 생존도 어렵고 경영성과를 만드는데 더 큰 어려움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정부는 이의 해결 대안으로 창업가의 본원적인 역량을 보완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창업 멘토링 강화에 지원정책의 초점을 두고 있는데, 이의 효과 창출이 중대한 시대적 과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업멘토링의 조절효과로 창업가역량이 창업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창업기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방향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첫째, 창업가역량, 창업멘토링, 창업성과와 경영성과에 대한 고찰, 둘째, 창업가역량에 따른 창업 및 경영성과의 영향관계 연구, 셋째, 창업멘토링의 창업가역량과 기업성과에 대한 조절효과 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가의 개인적, 사회적, 전문적역량은 창업기업의 창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창업기업의 창업성과는 기업의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창업멘토링은 창업가역량과 창업성과와의 관계에서 정(+)의 조절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 기존 선행연구 대비 다음과 같은 기여를 하고 있다. 첫째, 국내외 정책자료와 선행연구를 통해 창업가 자체에 초점을 둔 본원적인 창업가의 역량에 대하여 재정의하고, 둘째, 창업멘토링을 창업행동모델의 구성 요소로 설정하여 연구하였으며, 셋째, 선행연구들에서 창업기업의 성과를 경영성과에 국한되어 평가했던 것을 창업기업의 초기창업 성과와 기업의 전반적인 경영의 성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결과의 정책적 시사점은 첫째, 창업기업의 성과향상을 위한 창업지원사업의 실효성 있는 정책방향을 결정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고, 둘째, 창업멘토링 효과의 유의성을 입증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 PDF

창업 인재 양성을 위한 미국 SCORE 제도의 한국적 적용과 신 멘토 제도 연구

  • 유병준;전성민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3-16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해외의 대표적 성공적 멘토링 제도인 미국의 SCORE 제도를 벤치마킹하고, 한국의 멘토링 제도를 조사하여 한국의 실정에 맞고 인재 양성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멘토링 제도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1. 훌륭한 멘토의 조건, 2. 성공적인 운영 방식, 3. 적절한 멘토링 운영 기관 형태, 4. 사회적 기업 창업 멘토링과 일반 영리 기업 창업 멘토링의 비교 및 발전 방향 등을 알아본다. 멘토링 제도의 연구를 통해 제안된 새로운 멘토링 방안과 구조를 토대로 기존의 멘토링 실시 기관의 운영체제, 방안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새로운 멘토링 기관의 운영체제와 운영 방안을 국가 정책과 관련 기관들에 제시하는 의의가 있다. 특히 한국의 정부 중심 멘토링 제도 및 기관과 비교해서, 미국의 SCORE 제도가 민간 주도적 성격과 함께 대학교 중심으로 SCORE Center를 운영하고 기술 창업을 주도하는 것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한국 멘토링 거버넌스의 새로운 방향을 정책적으로도 제시한다.

  • PDF

창업멘토링 기능이 창업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적 기민성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Mentoring Function on Management Performance of Start-up Companies: Focusing on Entrepreneurial Alertness)

  • 이정하;이동명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5호
    • /
    • pp.45-61
    • /
    • 2023
  • 정부의 창업지원 정책으로 창업률은 높아지고 있으나 기업의 지속적인 생존률 및 성장률은 창업률에 비해 현격이 낮은 것이 사실이다. 스타트업의 생존률과 성장률을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창업멘토링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며 창원지원사업에 선정된 기업들은 스타트업이 회사를 운영함에 있어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어 창업멘토의 멘토링을 통해 스타트업의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창업멘토링 기회가 많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창업기업의 경영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창업멘토링과 창업기업의 기업가적 기민성에 대한 요인이 어떠한 영향 관계에 있는지를 규명하기위해 정부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창업멘토링을 받은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창업멘토링이 기업가적 기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기업가적 기민성은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요인별로 실증 분석하였다. 더불어 정부지원사업에 있어서 초기기업과 도약기업의 기준이 되는 창업 3년미만 기업과 3년이상 기업으로 나누어 각 그룹별로 멘토링 기능과 기업가적 기민성 간 업력에 따른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멘토링 문제해결 기능이 기업가적 기민성 평가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멘토링의 동기부여 기능이 기업가적 기민성의 모든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간 업력에 따라 멘토링 기능이 기업가적 기민성에 조절효과가 일부에서 나타났다.

  • PDF

초기창업자 멘토링: 어떻게 창업의도로 연결되는가? (Mentoring Nascent Entrepreneurs: What Leads to Intention?)

  • 이일한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2호
    • /
    • pp.47-52
    • /
    • 2013
  • 대학과 대학원 학생의 창업역량과 창업장애물의 인식은 멘토링의 발전에 중요성을 가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부분의 사업을 시작하는 창업의도에 대해 기여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창업능력과 창업장애물이 창업경험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며, 다음으로 창업경험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며, 마지막으로 창업경험과 창업의도간의 관계에 창업멘토링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우리는 139개의 샘플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창업역량은 창업경험의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업장애물은 창업경험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으며, 창업경험은 창업의도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창업경험과 창업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창업멘토링 조절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향후에는 창업멘토링의 영향력을 세분화할 필요성이 제기되며, 본 연구에서는 창업멘토링의 측정문항을 외국 문헌의 자료를 인용하여 사용하였기에 우리나라 실정에 약간은 맞지 않다는 한계점이 있다.

  • PDF

혁신취업·창업을 위한 스마트멘토링 플랫폼 활용

  • 홍창영;차상현;노창균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7-169
    • /
    • 2021
  • 친환경 스마트 선박 핵심인력 양성 및 사업화 기술개발의 취업·창업 산학연결 플랫폼, 민간 전문가가 직접 멘토로 참여하도록 유도한다. 멘티는 취업하고자 하는 분야의 전문가를 매칭 또는 선택을 통한, 효과적인 멘토링 실현하고 이해관계 자간의 멘토링을 통해서, 취업과 창업으로 바로 연결될 수 있도록 활성화 시킨다. 멘토·멘티간의 멘토링 지식 빅데이터 수집을 통한, AI 스마트 멘토링 제공하고 멘토와 멘토의 맞춤/화상/AI 멘토링, 멘토링 성과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 PDF

창업 멘토링 기능이 창업의지와 멘토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오퍼스 창업교육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Mentoring on Entrepreneurial Will and Mentoring Satisfaction: Focusing on Opus Entrepreneurship Education)

  • 김기홍;이창영 ;조지형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3호
    • /
    • pp.211-226
    • /
    • 2023
  •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접어들면서 그 동안 움츠렸던 경제활동들이 다시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 디지털 전환의 기회에 따른 기술창업이 증가되는 추세이지만 창업 교육 콘텐츠는 기술적인 변화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술창업의 수요 증가로 변화와 발전이 요구되는 창업교육 콘텐츠 중에서 창업 멘토링의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창업 멘토링은 예비창업자와 초기창업자들의 창업 성공을 위해 전문 역량을 보유한 멘토가 멘티들의 수준에 맞게 맞춤형으로 성취 동기, 경영 기술,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는 행동으로 이미 대부분의 창업교육 프로그램에 구성요소로 포함되어 있다. 이를 위해 멘토링 기능 중 멘티의 창업지식과 자기 효능감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창업의지와 멘토링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한 후 교육생의 창업 여부를 예비 창업가와 초기 창업가로 분류,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ICCE 창업스쿨 및 오퍼스 창업스쿨에서 창업 멘토링 교육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를 요약해보자면 첫 번째, 창업 멘토링 기능 중 창업지식과 자기 효능감은 창업의지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 창업 멘토링 기능 중 창업지식과 자기 효능감은 멘토링 만족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 번째, 창업 여부는 창업지식과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없다고 분석되었다. 네 번째, 창업 여부는 멘토링 만족도에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없다고 분석되었다. 다섯 번째, 창업 여부가 자기 효능감과 창업의지 사이에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분석 결과를 통해 본 시사점은 첫 번째로 창업교육에서 멘토링기능은 초기 창업가와 예비 창업가 모두에게 창업의지와 만족도에 유의미한 성과를 내는 것으로 분석되어 앞으로도 모든 창업교육에서 멘토링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로 창업 여부와 멘토링기능 및 효과는 대체로 별다른 관련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멘토링을 통한 자기 효능감 향상을 통한 창업의지는 창업 여부와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멘토들이 멘토링을 진행할 때 멘티의 창업 여부를 확인하고 맞춤형 멘토링을 하는 것이 더 큰 자기 효능감과 창업의지를 갖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나타났다. 현재 국내에서 진행되는 많은 창업교육들은 편의성 등을 이유로 초기 창업가와 예비 창업가를 동시에 교육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결과를 통해 소규모로 진행되는 창업 멘토링에서라도 멘티의 창업 여부와 같은 세부적인 분류를 통해 맞춤형 멘토링을 진행하는 것이 멘티의 성공적인 창업과 높은 만족도를 위한 방법이 될 수 있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청년 창업 멘토링이 기업가정신과 초기 기업의 창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심층 인터뷰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Youth Startup Mentoring on Entrepreneurship and Early Startup Business Performances -Centered on In-depth and Focus Group Interviews-)

  • 안혜진;이승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560-575
    • /
    • 2020
  •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창업 멘토링이 (예비) 창업자의 기업가 정신과 초기 기업의 창업 성과에 미치는 실질적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참여자들의 숨겨진 의도를 분석하기 위해 문헌연구법, 심층 인터뷰,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연속적으로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링에 대한 기대가 높았던 참여자일수록 부정적인 평가를 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멘토링을 기대 이하라고 말한 경우도 다수였다. 둘째, 창업 멘토링은 기업가정신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으며 그중에서도 창조·혁신 분야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드러난다. 셋째, 창업 멘토링은 창업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기관이 멘토-멘티 사이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필요가 있다. 넷째, 대다수의 참여자가 창업 멘토링에 대해 낮은 만족도를 표하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창업 지원 기관의 의도와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와 향후 창업 멘토링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창업자역량과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멘토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김영태;허철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5-59
    • /
    • 2020
  • 정부는 고용 없는 성장이 이어지는 현재의 경제구조에서 국가 경제의 활력을 위한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기업 활동에 새로운 혁신을 도입하여 국가 경제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으로 창업을 활성화하는 정책개발과 지원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많은 국가들이 창업을 촉진하여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정부 차원에서 창업 지원정책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창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창업을 기회로 인식하거나 지지하는 문화가 성숙하는 개인의 창업에 대한 인식 개선과 더불어 창업의지 함양 등이 필요하다. 이들 요인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개인적 특성, 심리적 특성, 기업가정신, 창업 교육, 멘토링, 창업지원 프로그램 등의 요인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이들 개별적인 요인들과 창업 의지와의 관계를 잘 확인하기 위해서 자기효능감, 위험감수성, 실패부담감, 환경적 요인 등을 확인하는 연구가 다수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창업자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창업지원정책과 창업가 역량을 중심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또한 창업지원정책과 창업가 역량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멘토링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PDF

참여동기와 창업멘토링이 창업교육만족도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학생 창업유망팀 300(U-300)'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n Experienti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 김용태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2호
    • /
    • pp.267-277
    • /
    • 2020
  • 최근 대학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창업친화적 학사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해 정규 창업교과 및 비교과 활동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적용시켜 나가고 있다. 아울러 정부에서도'학생 창업유망팀 300(U-300)'과 같은 다양한 체험형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전국 대학의 창업 동아리를 대상으로 창업멘토링 등 전문적인 창업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멘토링 등을 중심으로 한 체험형 창업프로그램 참가자를 대상으로 참여동기, 창업멘토링 기능, 멘토 역량이 창업교육만족도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창업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육 참여동기와 멘토역량은 창업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참여동기와 멘토링 기능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현재 양적으로 확대되어지고 있는 대학 내 창업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 체험적 교수방법의 확대와 창업멘토링 등 창업교육의 질적 효과 창출에 대한 다양한 제고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으며, 향후 창업멘토링을 수행하는 창업멘토의 전문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