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참돔

Search Result 15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ultiplex PCR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of Pagrus major and Sciaenops ocellatus (참돔과 홍민어 판별을 위한 Multiplex PCR 검사법의 개발과 검증)

  • Choi, Iseul;Shin, Jiyoung;Yang, Ji-young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5 no.6
    • /
    • pp.561-566
    • /
    • 2020
  • Nowadays, with increase of seafood consumption, there have been increasing reports of defective seafood products. There have been incidents of red drum (Sciaenops ocellatus) being sold as red seabream (Pagrus major). In this study, we sought to develop and validate species-specific PCRs to differentiate between P. major and S. ocellatus to prevent the sale of S. ocellatus as P. major. Primers for P. major were designed to bind 12s rRNA and those for S. ocellatus were designed to bind 16s rRNA. Multiplex PCR showed a 468 bp amplicon for P. major and a 181 bp amplicon for S. ocellatus. The limit of detection of P. major and S. ocellatus was present at 1 ng each. The developed primers were validated with 19 P. major samples of food items purchased through the internet. Using this monitoring method,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tested species were in agreement. Hence, the developed multiplex PCR method is considered reliable to authenticate P. major and S. ocellatus.

Heavy Meta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 Effect of Red Sea Bream (Pagrus major): Comparative Studies in Domestic and Imported Red Sea Bream (Pagrus major) (국내산 및 수입산 참돔의 중금속 함량 및 항산화 활성과 세포독성 효과 비교)

  • Hwang, Seong Yeon;Bae, Jin Han;Lim, Sun-Young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5 no.4
    • /
    • pp.450-455
    • /
    • 2015
  • This study compared the heavy metal contents and the effects of extracts from domestic and imported red sea bream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human cancer cell lines.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using the fluorescently sensitive dye, 2’-7’ dichlorofluorescein-diacetate (DCFH-DA),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against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and HT-29 human colon cancer cell lines, which was determined by the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Domestic red sea bream had a higher mercury content when compared to imported red sea bream,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ad content. Treatments with acetone/methylene chloride (A+M) and methanol (MeOH) extracts from domestic and imported red sea bream dose-dependently decreased the H2O2 induced ROS production, compared to the control. The cell viability showed that treatments with the A+M and MeOH extracts had cytotoxicity in the growth of AGS and HT-29 cancer cells. In the case of AGS, the extracts from the domestic red sea bream were higher in inhibiting cancer cell growth, compared to imported red sea bream.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heavy metal contents of domestic and imported red sea bream were below the limit of the Food Code of Korea. The results of the biological activities indicate that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imported red sea bream was more effective, while the extracts from the domestic red sea bream were stronger in cytotoxic activity.

Comparison of Muscle Color, Taste and Nutrition Components Between Red Seabreams Cultured by Feeding and Starving (급이 및 비급이 참돔의 색, 맛 및 영양성분 비교)

  • Shin, Gil-Man;Ahn, You-Seong;Shin, Dong-Myung;Kim, Hye-Suk;Kim, Hyung-Jun;Yoon, Min-Seok;Heu, Min-Soo;Kim, Jin-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7 no.9
    • /
    • pp.1142-1147
    • /
    • 2008
  • For the effective use of cultured red seabream, the muscle color, taste and nutrition components between red seabreams cultured by feeding and starving were compared.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red seabream muscle cultured by starving (RCS) was 72.7% moisture, 21.1% protein, 3.7% lipid and 1.4% crude ash. In comparison to red seabream muscle cultured by feeding (RCF), moisture and crude lipid of RCS were each 3% higher and 3% lower. No difference was, however, found in the other proximate compositions. The Hunter color value of RCS was 37.52 for L value, -1.47 for a value, 0.71 for b value and 59.33 for ${\Delta}E$ value, which was slightly higher in the L value than that of red seabream muscle cultured feeding (RCF); however,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other Hunter color values. TCA soluble-N content of RCS was 403.8 mg/100 g,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RCF (314.7 mg/100 g). In taste values, the major free amino acids of both RCS and RCF were glutamic acid, alanine, lysine and histidin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RCS was 21.2 g/100 g,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RCF. The mineral content of RCS was slightly higher in potassium than that of RCF, while lower in magnesium. According to the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RCS was superior in taste and texture to RCF, while similar in color and flavor.

Comparison of Muscle Texture between Red Seabreams Cultured by Feeding and Starving (급이 및 비급이 참돔의 조직감 비교)

  • Shin, Gil-Man;Ahn, You-Seong;Shin, Dong-Myung;Lee, Jae-Hyung;Kim, Hyung-Jun;Yoon, Min-Seok;Heu, Min-Soo;Kim, Jin-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7 no.9
    • /
    • pp.1148-1153
    • /
    • 2008
  • For the effective use of red seabream, the texture between red seabream muscles cultured by feeding and starving were compared. Moisture and crude lipid contents of red seabream muscle cultured by starving (RCS) were 72.7% and 3.7%, respectively, which was 3% higher in the moisture compared to that of red seabream muscle cultured by feeding (RCF), while 3% lower in the crude lipid. The hardness of RCS was $0.93\;kg/cm^2$, which was higher than that ($0.47\;kg/cm^2$) of RCF. No differences in total collagen content, acetic acid-solublized collagen content, its thermal denaturation temperature and SDS-PAGE patterns between RCS and RCF were found.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difference in muscle texture between RCS and RCF was probably due to the difference of lipid content.

물리.화학적 방법에 의한 참돔(Pagrus major)의 품질판정에 관한 연구

  • 김태진;배진한;심길보;여해경;정호진;조영제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55-156
    • /
    • 2003
  • 우리나라는 해방 후 어려웠던 경제난국에서 벗어나 산업발전기에 접어들면서 수산물보다는 식탁에서 육류의 섭취가 상대적으로 많이 증가되었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와서는 외식산업의 현저한 발달과 더불어 즉석편리식품이나 육류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비만, 동맥경화 및 영양의 과잉공급에 따른 각종 성인병이 만연하고 있는 실정이단, 이러한 시점에 수산물이 가지고 있는 건강기능성이나 생리효과가 식품관련 연구자들에 의해 밝혀지면서 생선회가 건강지향성과 기호성이라는 측면에서 두 가지 조건 모두를 만족시키는 식품으로 자리잡아 외식산업의 한 축을 이루어 생선회의 소비는 급증하고 있으나, 자연산 활어는 남획에 따른 자원고갈 및 어장축소 등 여러 가지 이유로 현재 유통되고 있는 생선회의 90% 이상은 양식산 활어이며, 양식 활어의 생산량 또한 1980년대 후반에 비하여 10배 이상 증가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가까운 중국이나 일본 등지에서 생선회로 먹기 위하여 많은 량의 활어가 수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생산된 활어는 활어시장에서 활어의 품질에 관계없이 중량을 기준으로 거래되고 있어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활어 품질판정 기술의 개발은 우리나라 양식업의 대외경쟁력을 갖추게 할 뿐만 아니라 어민소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활어의 유통 질서를 갖추기 위해서 양식활어 근육의 품질을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판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육질의 판정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사육수조에서 운동여부와 운동횟수에 의한 양식 활어의 품질을 비교 검토하였다. 운동사육구(2회/1일, 0.5m/s)와 비운동사육구의 초기수분함량은 각각 73.44±0.87%, 72.88±0.25%의 함량이였다. 운동사육시간이 길어질수록 운동사육구에서는 수분함량이 운동5일째에는 73.56±0.22%였으며, 운동 20일에는 75.88±0.94%로 초기수분함량보다는 3%정도 증가하였다. 반면, 비운동사육구에서는 큰 변화를 나타내고 있지 않았다(p<0.05). 운동과 비운동시킨 참돔의 지질 함량의 변화는 운동시킨 참돔은 운동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로 인하여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r=-0.35), 비운동사육구에서는 절식으로 인하여 지질함량이 감소하였다(r=-0.38). 파괴강도와 가장 밀접한 영향을 가지는 콜라겐은 운동과 비운동 모두 사육기간동안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초기의 파괴강도값은 1.45±0.02kg(운동사육구), 1.36±0.18kg(비운동사육구)이였으며 사육기간동안 운동사육구는 파괴강도값이 증가한 반면, 비운동수조에서는 참돔의 파괴강도는 사육기간동안 큰 유의차가 없었다. 각 성분간의 상관도를 살펴보면, 수분함량과 파괴강도는 상관성을 가졌으며, 지질함량과 파괴강도도 같은 경향은 나타내었다. 운동기간동안의 파괴강도와 콜라겐 사이에는 상관성의 거의 없었다. 이는 운동기간에 따른 파괴강도의 증가가 콜라겐의 함량의 증가보다는 지질함량의 감소와 수분함량의 증가와 같은 성분과의 상관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다음으로는, 운동횟수에 의한 영향으로써 운동시간을 1일 6시간으로 설정하여, 운동횟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오전, 오후에 각 3시간씩 운동시키는 방법과 오전부터 6시간동안 운동시키는 두 방법을 이용하여 품질을 비교하였다. 각 조건에 따라 운동시킨 참돔의 수분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2회(오전 3시간, 오후 3시간)에 나누어서 운동시키기 위한 육의 수분함량은 73.37±2.02%를 나타냈으며, 1회(6시간 운동)운동시키기 위한 육은 71.74±1.66%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운동조건에서 양식된 참돔은 사육초기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사육 5일 이후에는 수분함량이 증가하여 15일에는 76.40±0.14, 75.62±0.98%의 수분함량을 2회와 1회 운동시킨 참돔의 육에서 각각 나타났다. 운동횟수에 따른 지질함량은 2회 운동시킨 참돔은 5.83±2.08, 1회 운동시킨 참돔은 6.72±1.84%을 나타났으며, 사육기간이 증가할수록 함량은 감소하였다. 하루 1회운동시킨 참돔은 지질 함량의 감소율이 2회 운동시킨 참돔보다는 작았지만, 1회 운동시킨 참돔과 마찬가지로 운동기간동안 지질은 감소하였다. 운동횟수와 상관없이 운동기간동안 콜라겐의 함량은 큰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파괴강도값은 운동횟수가 많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운동시킨 참돔은 운동횟수에 상관없이 지질 함량이 감소할수록 파괴강도값이 증가하였으며, 운동횟수가 하루 2회인 참돔에서는 지질함량과 파괴강도값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p<0.05, r=0.866(2회/1일). 운동기간과 파괴강도의 값, 운동기간과 수분함량, 운동기간과 지질함량간의 상관성은 운동횟수에 상관없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콜라겐함량은 운동기간과 상관관계 없이 상관성이 낮았다. 그러므로, 본 실험의 목적인 양식산 활어의 품질판정을 하기 위한 요인으로 동일 어종에는 콜라겐보다는 파괴강도, 수분함량 및 지질함량과의 관계를 상관성을 가지므로, 양식 활어의 품질판정 요인으로 선정하였다.

  • PDF

Quality Evaluation of Red Seabream, Pagrus major by Physicochemical Method (물리 화학적 방법에 의한 참돔, Pagrus major의 품질판정)

  • 김태진;배진한;여해경;심길보;정호진;조영제
    • Journal of Aquaculture
    • /
    • v.17 no.3
    • /
    • pp.173-179
    • /
    • 2004
  • The quality of cultured fish was evaluated in this study by using physicochemical method. The speed of a current was taken a decision 0.5 m/s by a preliminary experiment. No-exercise trained group was not much significantly changed moisture content, lipid content, collagen content and breaking strength during cultured time (P>0.05). But moisture content of exercise trained group was 72.05$\pm$1.45% at the first time and increased to 3% after 20 days. Lipid content was initially 5.36$\pm$0.90% and reduced to 46% during the cultured time. The breaking strength increased during cultured time, on the contrary collagen content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Relation between each elements during the cultured time, moisture content and lipid conten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reaking strength (P<0.05, r=0.60 and P<0.05, 0.56). But relation between breaking strength and collagen content was not clear (P>0.05, r=0.16). These results were suggested that the increase of breaking strength after exercise was affected by lipid content not collagen content.

Feeding Habits of Red Sea Bream, Pagrus major in the Coastal Waters off Busan, Korea (부산 주변 해역에서 출현하는 참돔(Pagrus major)의 식성)

  • Huh, Sung-Hoi;Kim, Ha Won;Baeck, Gun Wook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18 no.3
    • /
    • pp.216-222
    • /
    • 2006
  • Feeding habits of Pagrus major collected in the coastal waters off Busan from January to December 2004 were studied. P. major ranged form 8.5 to 44.6 cm in standard length. P. major was a carnivore which consumed mainly hermit crabs, amphipods, crabs, shrimps, polychaetes, echinoderms, and fishes. Its diets included small quantities of gastropods, bivalves, stomatopods, cephalopods, cnidarians, and isopods. It showed ontogenetic changes in feeding habits. Small individuals (8~15 cm SL) preyed mainly on shrimps. However, individuals from 15 cm to 25 cm SL preyed mainly on hermit crabs and polychaetes. Individuals over 25 cm SL preyed mainly on fishes and echinoderms.

양식돌돔 폐사를 유발하는 이리도바이러스의 특성

  • 도정완;박미선;손상규;최동림;방종득;이주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434-435
    • /
    • 2000
  • 참돔 이리도바이러스 질병(red seabream iridovirus disease ; RSIVD)은 1990년 일본 시코쿠지역의 참돔 양식장에서 처음 발병된 후, 매년 발병지역이 확산되고 발병 어종이 다양해지고 있다. 참돔에서 분리된 RSIV는 icosahedral cytoplasmic deoxyribovirus로서 크기가 200∼240nm이며 형태학적 특징에 의해 iridoviridae로. 분류하고 있지만, 어류를 숙주로 하는 iridovirus과 중에서 lymphocystis virus속인 flounder virus(LCDV-1) 및 lymphocystis disease virus(LCDV-2)와 goldfish virus 1-lke virus속인 goldfish virus 1(GFV-1) 및 goldfish virus 2(GFV-2)와는 전혀 다른 바이러스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RAPD marker를 이용한 참돔 집단의 유전적 특성 분석

  • 장요순;노충환;홍경표;명정구;김종만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34-34
    • /
    • 2003
  • 한국산 선발계통 및 일본산 양식계통과 이들 두 계통간 잡종 참돔 집단의 유전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RAP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marker를 탐색하였다. 10개의 염기로 이루어진 200개의 random primer 분석을 통하여 polymorphic pattern을 나타내는 23개의 random primer를 선발하였으며, 각 primer의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이들 중 OPA-11 primer는 크기가 각각 600 bp, 650 bp 및 750 bp 인 3개의 DNA 단편에 의하여 4개의 genotype을 나타냈으며, 각 genotype의 빈도는 집단간차이를 보였고, 한국산 선발계통 집단에서는 4개의 genotype이 모두 발견되는 반면, 일본산 양식계통 및 일본산 양식계통을 포함한 교배집단에서는 특정 genotype만 발견되었다. OPA-11 primer 유래의 polymorphic DNA 단편을 cloning하고 염기서열을 결정하였으며, SCAR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primer를 제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참돔집단의 유전적 특성 파악 및 집단 구별에 RAPD marker를 활용하였으며, 참돔 육종시 형질 및 기능관련 DNA marker 탐색에 적용하기 위하여, 이후의 연구에서는 SCAR과 RFLP 분석에 RAPD marker를 이용하여 100% 정확도를 갖는 RFLP maker를 찾고, MAS (Marker-Assisted Selection)에 적용하고자 한다.

  • PDF

Demand Analysis of the Home Ubiquitous Network Services Using Conjoint Method (컨조인트 분석방법을 이용한 홈 유비퀴터스 네트워크 서비스의 수요 분석)

  • 이종수;안지운;이정동;신혜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1-114
    • /
    • 2003
  • 홈 유비퀴터스 네트워크란 PC, 휴대 전화, 디지털TV, 냉장고, 에어컨,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게임기 등 가정 내의 정보기기들 사이에 통합된 네트워크를 형성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가능케 한 요인은 기술적 측면에서 가전기기의 디지털화 및 초고속망의 보급, 수요측면에서 가전기기를 통한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요구, 공급측면으로 포화된 정보통신기기 시장에서 새로운 수요창출이 필요한 환경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재 정보통신산업은 지금까지 구축된 정보통신 인프라를 바탕으로 새롭게 등장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분야에 주목하고 있다. 홈 네트워크는 정보통신기술을 가전기기에 융합시킴으로써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정보통신산업은 물론, 기존의 백색가전 산업까지 포괄하여 관련 산업의 전후방 효과가 매우 크다. 본 연구에서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련한 핵심 속성을 분석하고, 핵심 속성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를 분석하는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홈 네트워크 시장이 본격적으로 형성되지 않아 현시선호(revealed preference) 자료의 구득이 불가능하므로, 소비자에게 향후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 특성을 지닌 가상적인 제품 조합을 제시하고, 이에 대해 소비자가 실제 시장에서와 같은 구매행위를 가정하도록 한 후, 각 제품 조합에 대한 선호 순위를 매기게 함으로써 소비자의 진술선호(stated preference)를 측정하는 컨조인트(conjoint)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홈 네트워크 서비스의 각 속성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구조를 파악하고 지불의 사액(Willingness To Pay, WTP)을 분석하도록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여 향후 전개될 홈 네트워크 서비스 및 관련시장의 발전 방향을 전망해 보고 이에 따른 기업이나 정부차원의 대응전략을 파악하고자 한다.육구에서는 큰 변화를 나타내고 있지 않았다(p<0.05). 운동과 비운동시킨 참돔의 지질 함량의 변화는 운동시킨 참돔은 운동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로 인하여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r=-0.35), 비운동사육구에서는 절식으로 인하여 지질함량이 감소하였다(r=-0.38). 파괴강도와 가장 밀접한 영향을 가지는 콜라겐은 운동과 비운동 모두 사육기간동안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초기의 파괴강도값은 1.45±0.02kg(운동사육구), 1.36±0.18kg(비운동사육구)이였으며 사육기간동안 운동사육구는 파괴강도값이 증가한 반면, 비운동수조에서는 참돔의 파괴강도는 사육기간동안 큰 유의차가 없었다. 각 성분간의 상관도를 살펴보면, 수분함량과 파괴강도는 상관성을 가졌으며, 지질함량과 파괴강도도 같은 경향은 나타내었다. 운동기간동안의 파괴강도와 콜라겐 사이에는 상관성의 거의 없었다. 이는 운동기간에 따른 파괴강도의 증가가 콜라겐의 함량의 증가보다는 지질함량의 감소와 수분함량의 증가와 같은 성분과의 상관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다음으로는, 운동횟수에 의한 영향으로써 운동시간을 1일 6시간으로 설정하여, 운동횟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오전, 오후에 각 3시간씩 운동시키는 방법과 오전부터 6시간동안 운동시키는 두 방법을 이용하여 품질을 비교하였다. 각 조건에 따라 운동시킨 참돔의 수분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2회(오전 3시간, 오후 3시간)에 나누어서 운동시키기 위한 육의 수분함량은 73.37±2.02%를 나타냈으며, 1회(6시간 운동)운동시키기 위한 육은 71.74±1.66%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운동조건에서 양식된 참돔은 사육초기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사육 5일 이후에는 수분함량이 증가하여 15일에는 76.40±0.14, 75.62±0.98%의 수분함량을 2회와 1회 운동시킨 참돔의 육에서 각각 나타났다. 운동횟수에 따른 지질함량은 2회 운동시킨 참돔은 5.83±2.08, 1회 운동시킨 참돔은 6.7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