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참나무시들음병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237초

참나무시들음병을 매개하는 광릉긴나무좀(딱정벌레목: 긴나무좀과)에 대하여 (Platypus koryoensis (Murayama) (Platypodidae: Coleoptera), the Vector of Oak Wilt Disease)

  • 홍기정;권영대;박상욱;류동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13-117
    • /
    • 2006
  • 2004년에 우리나라에 처음 발생이 확인된 참나무시들음병을 매개하는 광릉긴나무좀(Platypus koryoensis (Murayama))과 일본에서 참나무시들음병을 매개하는 Platypus quercivorus (Murayama) 성충의 형태적 특징을 도해와 함께 비교하였고, 동북아지역의 참나무시들음병과 관련된 매개충에 대하여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언하였다.

참나무 시들음병 발생지역의 임분구조에 관한 연구 (Stand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Oak Wilt Infected Forest, Korea)

  • 엄태원;천정화;김경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20-232
    • /
    • 2009
  • 참나무시들음병 발생지역의 임분구조 특성 파악을 통한 피해해석을 목적으로, 전라남도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7개도 18개 참나무시들음병 발생지역을 대상으로 식생조사를 실시하였고(Group A), 아울러 참나무시들음병의 매개충인 광릉긴나무좀(Platypus koryoensis)에 의한 피해 모니터링을 목적으로 설치된 경기도와 강원도 내 5개 고정조사지에도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Group B). 그 결과 전국 18개 지역(Group A) 가운데 17개 지역에서 참나무속(Quercus spp.) 수종들의 우점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참나무시들음병 피해 모니터링을 목적으로 설치한 5개 고정조사지(Group B)에서는 참나무시들음병 피해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가운데 하나인 천공률(Relative Density of Entrance Holes)과 조사지 내 참나무속 수종들의 상대밀도 간에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R^2=0.89$, p<0.05)가 인정되어, 임분구조상 참나무속 수종의 우점도는 참나무 시들음병의 발생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참나무시들음병의 지형공간 및 흉고직경에 따른 피해분석 (Damage Analysis of Oak Wilt According to Geographic Space and Diameter at Breast Height)

  • 강정석;신창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3호
    • /
    • pp.362-369
    • /
    • 2017
  • 본 연구는 참나무시들음병 발생지역의 지형적, 공간적 발생분포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피해 예상지에 대한 적극적인 방제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참나무시들음병 피해는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3개 지역에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발생된 피해목을 모두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나무시들음병은 능선에 가까울수록 많은 수의 피해목이 발생되었으며, 보다 효과적인 방제를 위하여 능선을 기준으로 0~40 m까지 중점관리지역으로 선정하여 집중적인 방제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경사에 따른 피해상황이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므로 피해발생을 경사도로 예측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경급별로는 지역마다 본수비율이 가장 높은 평균 경급에서 피해목의 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참나무시들음병 피해목을 이용한 표고 톱밥재배에 대한 연구 (Study on Sawdust Bag Cultivation of Shiitake (Lentinula edodes), using Oak Wilt-Diseased Logs)

  • 김세훈;서수영;장영선;유림;서상태;가강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00-30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참나무시들음병 피해목을 이용해서 표고 톱밥재배 가능성을 알아보고 생산된 표고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았다. 총 3개 균주와 4가지 톱밥재료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생산량 검정 결과 고사목을 이용하여 재배한 모든 균주는 건전목과 통계적으로 비슷한 생산량을 나타냈으며 산마루2호를 제외하고 훈증목과 고사진행목을 이용하였을 때 건전목보다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처리구에서 수확한 표고의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는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 FRAP, reducing power에서 훈증목이 다른 배지재료에 비해서 항산화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참나무시들음병 피해목의 이용 증진을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참나무시들음병 피해목을 이용한 표고 톱밥재배 가능성과 생산된 표고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참나무시들음병 피해목을 활용한 톱밥재배 관련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참나무류에 시들음병을 일으키는 Raffaelea quercus-mongolicae와 R. quercivora의 유전적 특성 (Genotypic Characterization of Oak Wilt Pathogen Raffaelea quercus-mongolicae and R. quercivora Strains)

  • 서상태;김경희;이상현;권용남;신창훈;김혜정;이상용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219-223
    • /
    • 2010
  • 최근 신갈나무를 중심으로한 참나무과 나무에 시들음병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에서 분리한 38개의 시들음병 균주(Raffaelea quercus-mongolicae, R. quercivora)에 대해 $\beta$-tubulin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과 RAPD 분석을 이용해 유전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beta$-tubulin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한 cluster 분석결과 시들음병 균주들은 4개의 그룹으로 나뉘었으며, cluster 2와 4에는 1균주를 제외하고 모두 일본균주가 속해 있었다. RAPD 분석결과 시들음병 균주들은 3개의 그룹으로 나뉘었으며, 한국균주와 일본균주는 쉽게 구별되었다. $\beta$-tubulin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과 RAPD 분석결과 한국균주와 일본균주는 상당히 다른 유전적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훈증방제 처리한 참나무시들음병 감염목의 사상균 조사 (Investigation of Fungi in Pesticide Fumigated Oak Wilt-Diseased Logs)

  • 서동연;손승렬;김성환;서상태;김경희;고한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88-291
    • /
    • 2012
  • 한국에서 발병하는 참나무시들음병은 암브로시아 곤충인 Platypus koryoensis.에 의해 전반되는 Raffaelea quercus-mongolicae 균류에 의해 발생한다. 이 병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참나무시들음병 감염목을 벌채 후 비닐막을 씌워 훈증하고 벌채장소에 3년 이상 방치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훈증처리된 감염목에 존재하는 균류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천안 태조산 지역 두 곳에서 훈증처리된 감염목을 채집하고 진균을 분리하여 99개 균주를 얻었다. 분리 균주를 형태적 특성과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 유전자와 ITS rDNA region 염기서열에 의거한 분자적 방법으로 동정한 결과 Hypocrea, Trichoderma, Penicillium 속에 속하는 종들이 확인되었다. 이중 Trichoderma 속에 속하는 종이 주요 균류이었다. 조사결과 병원균인 R. quercus-mongolicae와 매개충인 P. koryoensis는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훈증 처리한 참나무시들음병 감염목이 3년 이상 되면 더 이상의 피해를 유발할 위험요소가 없다는 과학적 증거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