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착용성 평가

Search Result 25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Measurement of Clothing Pressure of Skinny Jeans and Subjective Sensation (스키니 진의 의복압 측정과 주관적 감각평가)

  • Lee, Ji-Yeon;Na, Ye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05a
    • /
    • pp.161-162
    • /
    • 2009
  • 최근 국내에서 유행하기 시작한 스키니 진(skinny jean)은 혈액순환 장애, 하복부 장기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하여 소화불량, 변비 또는 생리불순 등 여성 건강을 위협하는 의복 종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의복의 쾌적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인 의복압 검사와 스키니 진의 주관적인 착용감 검사 통하여 의복의 기능적인 면에서 인체의 건강에 적합한지 분석하고자 함이다. 사이즈 코리아를 참고하여 선정한 20대 여성의 평균 사이즈에 해당하는, 인지도 높은 3개 브랜드의 청바지를 시료로 사용하여 4명의 피험자에게 착용하게 한 후, 동작을 변화시키며 변화하는 의복압을 측정하고 주관적 감각 평가를 실시하였다. 첫째, 의복압 측정결과, 엉덩이 최대 돌출 부위가 자세와 상관없이 의복압이 가장 높게 나왔고 무릎 부위 Standing 자세에서 sitting down on the floor 자세로 변할수록 의복압이 높게 나왔다. 둘째, 주관적 감각에 대한 평가 결과는 모든 자세에서 허리벨트 부위가 가장 압박감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압과 주관적 감각의 관계분석에 있어서 스키니 진의 대부분의 부위에서 의복압이 높을수록 압박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퇴부 부위는 의복압이 낮은데도 불구하고 압박감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lus-size여성 체형을 위한 재킷원형 개발 및 면 분할에 따른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

  • 정동림;김애린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3.05a
    • /
    • pp.34-34
    • /
    • 2003
  • 본 연구는 체형의 특성이 현저히 나타나는 40~50대의 Plus-size 여성을 대상으로 체형의 특징이 고려된 치수체계에 대해 맞음새가 우수한 재킷을 개발하고, 이 원형을 토대로 하여 체형의 단점을 보완할 시각적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Plus-size에 해당하는 여성을 선정하여 수트(suit)를 제작한 후 착의 평가하여 Plus-size에 적합한 수트를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lus-size 여성의 착용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착용실태 조사는 판매자의 측면의 심층면접과 소비자 측면의 착장조사로 구분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착용실태조사 결과, Plus-size 여성은 의복구매시 맞음새와 편안함을 중시하고 상완부와 어깨의 두께, 가슴둘레와 복부의 비만등의 체형단점을 갖게 되므로 판매자측에서는 의복제도 시에 등품, 앞품, 상완부, 복부의 여유분을 고려하고 있었다. 시각적 효과로는 세미피트 스타일의 프린세스 라인과 허리선+20, 30cm의 재킷길이, 그리고 테일러드 칼라, 스테인 칼라, 라운드 네크라인이 판매자과 소비자의 양측면에서 선호되고 있었다. 2. Plus-size 여성의 체형에 맞음새가 우수한 재킷원형을 개발하기 위해 Plus-size 여성복의 재킷 원형 중 4종의 기존원형을 선정하고, 착의 피험자 3인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착의실험을 통해 연구 원형을 개발하고 평가단을 구성해 객관적인 평가 33문항에 대한 외관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1) 가슴둘레 여유분을 8~9cm, 허리둘레 여유분을 6~7cm, 엉덩이둘레 여유분을 6~8cm로 적용하여 맞음새를 향상시켜 날씬해 보이는 효과를 높였다. 2) 진동깊이 계산식은 (B/10+10.5)+2cm 적용하고, 진동두께 계산식은 (B/8-1.5)+2cm를 적용함으로써 진동깊이와 진동두께의 편차가 작아짐으로 인해 소매부위와 진동부위의 맞음새를 향상시켰다. 3) 가슴둘레의 증가에 따라 등길이에 앞길이 치수를 증가시키는 계산식을 설정하여 앞가슴둘레의 맞음새를 향상시켰다. 4) Plus-size여성의 경우 허리부분의 신체적합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이드 판넬(side panel)의 재킷원형으로 하였다. 앞 허리와 배 부분의 지방 침착이 크므로 앞 허리둘레 다아트 폭과 앞판 사이드 판넬(side panel) 솔기 다아트 폭을 작게 설정하고, 뒤판 사이드 판넬 솔기 폭을 크게 설정하였다. 5) 어깨끝점 사이길이는 다른 부위의 체지방 침착과 같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지 않으므로 표준체형에 비해 좁게 설정하였다.

  • PDF

The Immediate Effects of Abdominal Pressure Belt on Pulmonary Function, Balance and Gait Ability in Stroke Patients (뇌졸중 환자에게 복부압박벨트 적용이 폐 기능, 균형 및 보행 능력에 미치는 즉각적인 영향)

  • Lim, Gyu-Ri;Go, Hyeon-Jeong;Kang, Ji-Hyun;Oh, Da-Wun;Park, Shin-Ju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0 no.2
    • /
    • pp.176-18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abdominal pressure belt has an immediate effect on pulmonary function, balance and gait ability for stroke patients. Twenty subjects measured pulmonary function and the COP, BBS, TUG, 10m walk test, and FGA prior to belt wearing. Immediately all subjects were post-tested after wearing abdominal pressure belt of elastic components. Except for forced vital capacity (FVC) and forced experimental volume in the 1 second (FEV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belt wearing.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pplication of abdominal pressure belt enhanced balance and gait ability. However, improving pulmonary function requires several efforts, such as changing the pressure level, posture.

Gaze Interaction Using Half Blink Selection and The Wearable AR System (반 깜박임 선택을 이용한 응시 상호작용과 착용형 AR 시스템)

  • Park, Hyung-Min;Lee, Jae-Young;Lee, Seok-Han;Choi, Jong-So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6 no.5
    • /
    • pp.91-100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wearable augmented reality system using gaze interaction. Gaze interaction has been considered to be the potential of easy, natural and fast way of interaction and becomes a suitable way in optical see-through HMD based wearable AR. Our system recognizes user's gaze point, half blink motion and displays the information of object seen by user to HMD. Half blink selection technique avoids the Midas touch problem and represents user's intention correctly. We've developed a AR annotation system and estimated the usability of gaze interaction. The accuracy and robustness of our technique is verifi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Investigation of wearing behaviors and consumer's needs for summer golf wear (하절용 골프웨어의 착용실태 및 소비자 요구도)

  • Kim, Jeong-Hwa;Lee, Sun-Young;Lee, Jung-Soo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0 no.2
    • /
    • pp.177-186
    • /
    • 200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consumer's needs for golf wear and to suggest a direction of product development and planning, based on the analysis of golfer's needs. The subjects used for the research were 150 male and female golfers who were in golf practice fields.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OVA, t-test and Duncan test.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rs; Dimensions of consumer's needs for golf wear were extracted from factor analysis as following properties; fashion/design property, textile property, hygiene property, body-shaped property. The most important consumer's need for golf wear was "wearing comfort" and second one was "moisture absorbency" Respondents evaluated that wearing comfort, stretchability, tactile, size of golf wear were very important but price, pilling, shrinkage or color-fading after laundry of golf wear were relatively less important. The evaluation of consumer's needs for golf wear according to demographic informa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The female golfers were found to consider that fiber characteristics, easy-to-laundry, wrinkle resistance, stretchability, sewing quality were relatively more important, when compared with the male golfers.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evaluation of consumer's needs for golf wear on fiber characteristics, stretchability, brand name between age groups.

  • PDF

Evaluation of Vision-Specific Quality of Life between Spectacles and Contact Lens Wearers (안경과 콘택트렌즈착용자의 삶의 질 평가)

  • Kang, Sue Ah;Kim, Jung Hee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2 no.3
    • /
    • pp.111-115
    • /
    • 200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vision-related quality of life and modes of refractive error correction. We administered NEI-VFQ (National Eye Institute Visual Function Questionnaire) to 137 subjects in two modes of refractive error correction: spectacles and contact lens wearers. The NEL-VFQ was developed to assess vision-related quality of life with respect to 1) visual symptoms 2) social function as well as difficulty with tasks and symptoms 3) economic issues and health concerns 4) psychological well-being. The NEL-VFQ was translated from English into Korean. Methods: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8.0. Student's T-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of the subscale (${\alpha}=0.05$). Result: The Peripheral Vision subscale score ($mean{\pm}SD$) was $52.2{\pm}32.7$ for the spectacle wearers, $88.6{\pm}18.1$ for contact lens wearers; the spectacle wearers' Peripheral Vision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act lens wearers (p=0.0001).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detected in Color Vision (p=0.001), General Vision (p=0.01) and Health Perception (p=0.01). Conclusion: Contact lens wearers and spectacle wearers were mostly high vision-related quality of life except General Vision and Health Perception. Especially, contact lens wearers were higher vision-related quality of life than spectacle wearers. Further studies on developing of good quality of contact lens will be needed to improve quality of life in ametropia.

  • PDF

The Effect on Image Perception of Male Wearer with Chromatic-Achromatic Colors and Area-Radio of Stripe Necktie (스트라이프 넥타이의 유채-무채 배색과 면적비가 남성복 착용자의 이미지 지각에 미치는 영향)

  • Sung, Nam-Suk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1 no.3
    • /
    • pp.325-338
    • /
    • 2008
  • This study aims to characterize the effect of different combinations of chromatic-achromatic colors and area-ratio of stripe necktie, and gender on the image of male wearer. The experimental materials developed for this study are a set of stimuli and response scales. The stimuli consist of 84 color pictures manipulated with every combination of 12 different colors and 7 different area-ratio. The 7-point scale designed for visual evaluation of image formation included 26 bipolar adjectives. The subjects were 2016 undergraduate students in Gyeongnam, Seoul, Busan, and Daegu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analyses of images of male wearer in terms of combinations of chromatic-achromatic colors and area-ratio of oblique stripe necktie reveal that the concerned factors are of five characteristic dimensions of youth-activity, ability, attractiveness, appeal, and warmness.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hat individual images of male wearer are affected by observer's gender as well as combinations of chromatic-achromatic colors and area-ratio of stripe neckties and that those images vary with every combination of each factor. The study results are highly expected to be used as useful sources in developing necktie designs.

  • PDF

A Study on Wearable Augmented Reality-Based Experiential Content: Focusing on AR Stone Tower Content (착용형 증강현실 기반 체험형 콘텐츠 연구: AR 돌탑 콘텐츠를 중심으로)

  • Inyoung Choi;Hieyong Jeong;Choonsung Shin
    • Smart Media Journal
    • /
    • v.13 no.4
    • /
    • pp.114-123
    • /
    • 2024
  • This paper proposes AR stone tower content, an experiential content based on wearable augmented reality (AR). Although wearable augmented reality is gaining attention, the acceptance of the technology is still focused on specialized applications such as industrial sites. On the other hand, the proposed AR stone tower content is based on the material of 'stone tower' so that general users can relate to it and easily participate in it, and it is organized to utilize space in a moving environment and find and stack stones based on natural hand gestures. The proposed AR stone tower content was implemented in the HoloLens 2 environment and evaluated by general users through a pilot exhibition in a small art museum. The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content averaged 3.85, and the content appropriateness for the stone tower material was very high at 4.15. In particular, users were highly satisfied with content comprehension and sound, but somewhat less satisfied with object recognition, body adaptation, and object control. The above user evaluations confirm the resonance and positive response to the material, but also highlight the difficulties of the average user in experiencing and interacting with the wearable AR environment.

Falling Accidents Analysis in Construction Sites by Using Topic Modeling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건설현장 추락재해 분석)

  • Ryu, Hangu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7
    • /
    • pp.175-182
    • /
    • 2019
  • We classify topics on fall incidents occurring in construction sites using topic modeling amo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nd analyze the causes of the accidents according to each topic. In order to apply topic modeling based on latent dirichlet allocation, text data was preprocessed and evaluated with Perplexity scor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model. The most common falling accidents happened to the daily workers belonging to small construction site. Most of the causes were not operated properly due to lack of safety equipment, inadequacy of arrangement and wearing, and low performance of safety equipment. In order to prevent and reduce the falling accidents, it is important to educate the daily workers of small construction site, arrange the workplace, and check the wearing of personal safety equipment and device.

사용성 평가 비디오 정보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 김병욱;이건표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8.04a
    • /
    • pp.81-86
    • /
    • 1998
  • 제품의 사용성 평가에 주로 이용되고 있는 방법의 하나인 비디오 프로토콜 분석(Video Protocol)은 정 보의 질과 양적 측면에서 다른 방법에 비하여 우위에 있다고볼 수 있다. 그러나 비디오 프로토콜 분석 은 많은 물적, 시간적 비용의 투자가 필요한 방법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컴퓨터의 정보 관리 기능을 활용한다면 충분히 해결될 수 있는 것들이다. 이에 '사용자 중심 디자인을 위한 컴퓨터 지원 시스템 개발' 의 일환으로 사용자중심 디자인 프로세스의 마지막 단계인 개발된 제품의 사용성 평가에 활용될 수 있는 컴퓨터 지원시스템으로써 컴퓨터를 활용한 비디오 정보 분석방법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용성 평가 비디오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컴퓨터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사용자 의 기초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사용성평가에 이용되는 제품의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사용성의 다양한 측면 정보를 비디오정보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정보와 제품정보, 사용자 기초정보를 연관지어 분석하는 단계, 그리고 마지막으로 분석된 정보로부터 디자인개선의 컨셉을 도출하는 단계 등에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통합적인 사용성 평가 컴퓨터에서 제어가 쉽게 이루어 지도록 하고, 이를 화면에 재생시키면서 관찰자가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에 분석하고 기록할 수 있는 모든 지원 도구들을 포함하여, 이러한 기록이 자동적으로 분석정보로 활용되어 다양한 측면에서 제품의 사용성평가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분석정보를 도표화하고 분석과 정보검출, 정보생성 단계들 간의 피드백이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분석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니즈 데이터베이스가 확충되면 각 사용상황하의 사용성 문제 해결안뿐만 아니라 서로 관련이 있는 사용상황간의 연계 연구를 통해 좀 더 광범위한 개념의 제품 개발도 가능해 질 수 있을 것이다.와 만족도와의 관계 및 이상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체에 대한 이상형은 시대의 여러 여건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의복 착용자가 의복을 통해서 표현하고자 하는 이상형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 이상형에 대한 설문지 조사와 신체측정을 통하여 신체 크기에대한 만족도를 객관적인 척도로 고찰하고, 이상형과 실제 체형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도한, 1992년도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시대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이상형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한 의복원형 제작 및 의복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의복의 맞음새가 좋을뿐만 아니라 의복착용자들 에게 심리적 만족을 줄 수 있는 의복 제작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적입지로 분석되었다.등 다양한 모형들을 고려해 본 뒤, 적절한 모형을 적용할 것이다. 가로망 설계 모형에서 신호제어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가로망에 대한 통행 배정과정에서 고려되는 통행시간을 링크통행시간과 교차로 지체시간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교차로에서의 신호제어에 대응하는 통행배정 모형을 도입하여 고려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Global Solution Approach와 Iterative Approach를 비교, 검토한 뒤 모형에 보다 알맞은 방법을 선택한다. 차량의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