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차 영상

Search Result 2,85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VLSI Architecture of Digital Image Scaler Combining Linear Interpolation and Cubic Convolution Interpolation (선형 보간법과 3차회선 보간법을 결합한 디지털 영상 스케일러의 VLSI 구조)

  • Moon, Hae Min;Pan, Sung Bum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1 no.3
    • /
    • pp.112-118
    • /
    • 2014
  • As higher quality of image is required for digital image scaling, longer processing time is required. Therefore the technology that can make higher quality image quickly is needed. We propose the double linear-cubic convolution interpolation which creates the high quality image with low complexity and hardware resources. The proposed interpolation methods which are made up of four one-dimensional linear interpolations and one one-dimensional cubic convolution perform linear-cubic convolution interpolation in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When compared in aspects of peak signal-to-noise ratio(PSNR), performance time and amount of hardware resources, the proposed interpolation provided better PSNR, low complexity and less hardware resources than bicubic convolution interpolation.

차세대 영상매체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 강창언
    • Product Safety
    • /
    • s.53
    • /
    • pp.24-27
    • /
    • 1997
  •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Digital Video Disk)는 영상분야에서 VCR을 대체하고, 기록매체 분야에서는 CD롬을 훨씬 앞설 디지털 멀티미디어 제품으로 오디오와 컴퓨터용 데이터 등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선명한 영상과 깨끗한 음질을 즐길 수 있어 굳이 영화관을 찾지 않아도 영화를 감상할 수 있을뿐 아니라 정보화시대에 부응하는 각종 정보서비스를 쉽게 제공받는 새로운 차세대 상품으로 꼽힌다.

  • PDF

Multi-Level Image Retrieval Technique for Feature-Based Image Retrieval System (특징기반 영상 검색 시스템을 위한 다단계 영상 검색 기법)

  • 김봉기;신창둔;오해석
    • Th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Database
    • /
    • v.5 no.1
    • /
    • pp.85-96
    • /
    • 1998
  • 최근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영상을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정보화 사회의 중요한 핵심 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내용기반 영상 데이터 검색을 위한 영상 특징 추출 방법으로 색상 정보와 모양 정보를 고려하는 다단계 영상 검색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2단계로 이루어진다. 1단계에서는 색상 정보를 위해서 Striker 등이 제시한 색상 분포 특성을 이용한 색인 방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확장하여 지역 색상 분포 특성을 고려한 색인 방법을 사용하여 1차로 영상을 대 분류한다.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대 분류된 집단 영상들에 대하여 2차로 모양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질의한 영상과 유사한 영상을 최종적으로 검색한다. 모양 정보를 위해서는 기존 불변 모멘트의 문제점인 많은 연산량과, Jain 등이 제시한 방향 히스토그램 인터섹션 방법에서 제기된 회전에 민감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물체의 윤곽선에 해당하는 화소들만을 대상으로 연산을 수행하는 향상된 불변 모멘트(Improved Moment Invariants: IMI)를 이용한다. 실험 영상으로 300개의 상표 영상을 사용하여 기존 방법들과의 비교 실험을 통해 향상된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A Multiple Object Detection and Tracking Using Automatic Deformable Model (자동 변형 모델을 이용한 다중 물체 검출 및 추적)

  • 우장명;김성동;최기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290-293
    • /
    • 2003
  • 다중 물체 추적은 움직이는 물체를 추출하고 검출된 정보와 물체 정보를 이용하여 움직임 궤도률 추적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확한 움직임 추적이 수행되려면 효율적인 물체의 추출이 선행 되어 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영상 분할 알고리즘은 다양한 증류의 영상에 대한 물체의 수학적 모델이 찌대로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물체를 정확하게 분리해 내기 어렵다. 그러나 물체의 추출에 주로 처리 속도가 빠른 배경영상을 이용한 차(difference) 영상 기법과 반 자동 영상분할인 Snake Model이 갖는 Active Contour 알고리즘과 같이 물체 추출 과정에서 물체의 정의니 semantic 정보를 부여 한다면 개선된 영상 분할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차 영상 기법과 semantic 정보를 가진 영상분할 알고리즘은 동영상에서 움직임 물체의 VOP(Video Object Plane)를 생성하는 매우 현실적인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상위 레벨Semantic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 변형 Snake Model를 이용한 영상분할 방법을 이용하여 영상을 추출한다. 추출된 물체는 윤곽선(곡선) 정보와 함께 에지 성분의 기울기에서 얻은 특징 점을 이용하여 물체를 추적해 나간다.

  • PDF

Multi-Level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Technique Using Feature Information (특징 정보를 이용한 다단계 내용기반 영상 검색 기법)

  • 김봉기;오해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1998.09a
    • /
    • pp.395-405
    • /
    • 1998
  • 최근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영상을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정보화 사회의 중요한 핵심 기술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내용기반 영상 데이터 검색을 위한 영상 특징 추출 방법으로 색상 정보와 모양 정보를 고려하는 다단계 영상 검색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1단계에서는 색상 정보론 얻기 위해서는 Striker 등이 제시한 색상 분포 특성을 이용한 색인 방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확장해서 지역 색상 분포 특성을 고려한 색인 방법을 사용하여 1차로 영상을 대분류한다.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대분류된 집단 영상들에 대하여 2차로 모양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질의한 영상과 유사한 영상을 최종적으로 검색한다. 모양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기존 불변 모멘트의 문제점인 많은 연산량과, Jain 등이 제시한 방향 히스토그램 인터섹션 방법에서 제기된 회전에 민감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물체의 윤곽선에 해당하는 화소들만을 대상으로 연산을 수행하는 향상된 불변 모멘트(Improved Moment Invariants : IMI)를 이용한다. 실험 영상으로 300개의 자동차 영상을 사용하여 기존 방법들과의 비교 실험을 통해 향상된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An Efficient Face Recognition Using First Moment of Image and Basis Images (영상의 1차 모멘트와 기저영상을 이용한 효율적인 얼굴인식)

  • Cho Yong-Hyun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3B no.1 s.104
    • /
    • pp.7-14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an efficient face recognition method using both first moment of image and basis images. First moment which is a method for finding centroid of image, is applied to exclude the needless backgrounds in the face recognitions by shifting to the centroid of face image. Basis images which are the face features, are respectively extract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and fixed-point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FP-ICA). This is to improve the recognition performance by excluding the redundancy considering to second- and higher-order statistics of face image. The proposed methods has been applied to the problem for recognizing the 48 face images(12 persons*4 scenes) of 64*64 pixels. The 3 distances such as city-block, Euclidean, negative angle are used as measures when match the probe images to the nearest gallery imag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s has a superior recognition performances(speed, rate) than conventional PCA and FP-ICA without preprocessing, the proposed FP-ICA has also better performance than the proposed PCA. The city-block has been relatively achieved more an accurate similarity than Euclidean or negative angle.

Face Recognition Using First Moment of Image and Eigenvectors (영상의 1차 모멘트와 고유벡터를 이용한 얼굴인식)

  • Cho Yong-Hyu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9 no.1
    • /
    • pp.33-40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an efficient face recognition method using both first moment of image and eigenvector. First moment is a method for finding centroid of image, which is applied to exclude the needless backgrounds in the face recognitions by shitting to the centroid of face image. Eigenvector which are the basis images as face features, is extract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This is to improve the recognition performance by excluding the redundancy considering to second-order statistics of face image. The proposed methods has been applied to the problem for recognizing the 60 face images(15 persons *4 scenes) of 320*243 pixels. The 3 distances such as city-block, Euclidean, negative angle are used as measures when match the probe images to the nearest gallery images. In case of the 45 face imag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recognition rate of the proposed methods is about 1.6 times and its the classification is about 5.6 times higher than conventional PCA without preprocessing. The city-block has been relatively achieved more an accurate classification than Euclidean or negative angle.

  • PDF

Evaluation of Machine Learning Methods to Reduce Stripe Artifacts in the Phase Contrast Image due to Line-Integration Process (선적분에 의한 위상차 영상의 줄무늬 아티팩트 감소를 위한 기계학습법에 대한 평가)

  • Kim, Myungkeun;Oh, Ohsung;Lee, Seho;Lee, Seung W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4 no.7
    • /
    • pp.937-946
    • /
    • 2020
  • The grating interferometer provides the differential phase contrast image of an phase object due to refraction of the wavefront by the object, and it needs to be converted to the phase contrast image. The line-integration process to obtain the phase contrast image from a differential phase contrast image accumulates noise and generate stripe artifacts. The stripe artifacts have noise and distortion increases to the integration direction in the line-integrated phase contrast image. In this study, we have configured and compared several machine learning methods to reduce the artifacts. The machine learning methods have been applied to simulated numerical phantoms as well as experimental data from the X-ray and neutron grating interferometer for comparison. As a result, the combination of the wavelet preprocessing and machine learning method (WCNN) has shown to be the most effective.

An Ambient Light Control System using The Image Difference between Video Frames (인접한 동영상 프레임의 차영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주변 조명효과의 제어)

  • Shin, Su-Chul;Han, Soon-Hu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9 no.3
    • /
    • pp.7-16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mbient light control method based on the difference of image frames in video. The proposed method is composed of three steps. 1) The first step is to extract a dominant color of a current frame. 2) The second step is to compute the amount of change and the representative color in the changed region using the difference image. 3) The third step is to make a new representative color. The difference image is created from two images transformed into the YUV color space. The summed color difference of each pixel is used for the amount of change. The new representative color is created by synthesizing the current color and the changed color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change. We compare the variations of the light effect according to time with and without the proposed method for the same video. The result shows that the new method generates more dynamic light effects.

Estimation of spatial distribution of snow depth using Sentinel-1 SAR satellite image (Sentinel-1 SAR 위성영상을 이용한 적설 공간분포의 추정)

  • Park, Heeseong;Chung, G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43-443
    • /
    • 2022
  • 적설은 자주는 아니지만 가끔 비교적 넓은 범위에 피해를 발생시킨다. 적설에 의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피해를 유발하는 적설심을 미리 파악해 둘 필요가 있다. 하지만 관측하고 있는 적설심은 특정 관측지점으로 한정되어 피해를 유발하는 한계적설심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관측지점의 적설을 보간하여 공간적으로 확대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매우 적은 자료를 가지고 넓은 영역을 통계적으로 추정해야하는 한계로 인해 피해 유발 한계적설심의 구명에 더 혼란을 주기도 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넓은 영역을 관측하는 위성영상을 활용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합성개구레이더(Synthetic Aperture Radar; SAR)를 이용한 InSAR(Interferometric Synthetic Aperture Radar) 기법은 이를 위해 적절한 방법일 수 있다. 영상의 간섭계는 두 개의 다른 시기에 측정된 합성개구레이더 영상의 위상차를 이용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다른 조건들이 일치할 때 지형의 변화를 추적할 때 사용되곤 한다. 그런데 만약 두 시기 사이에 특별한 지형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요인이 없고 단지 적설만이 존재한다면 두 영상의 위상차는 적설의 효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적설이 전파의 전달경로를 다르게 만들어 위상차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때 발생하는 위상차는 적설심과 적설의 굴절률에 의해 다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적설 전후에 수집된 인공위성 합성개구레이더 자료의 위상차를 분석한 간섭영상을 이용해 적설심의 공간분포를 추정하여 비교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적설에 대한 투과가 가능한 C밴드 레이더를 사용하는 Sentinel-1의 영상을 사용하였다. 적설심의 공간분포는 실제 피해발생지역의 적설심을 보다 정확하게 추정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이것은 실제 피해유발적설심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