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차수막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velopment of Reuseable Water Membrane for Temporary Reservoir Volume Increasing and Water Blocking (재이용이 가능한 저수지 증고 및 하천용 가물막이 개발)

  • Kim, Phil Shik;Kwon, Hyung Joong;Lee, Jae Hyouk;Choim, Bum Jun;Park, Hyun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60-560
    • /
    • 2015
  • 우리나라 연평균 수자원 총량은 1,297억톤이고 이용가능한 수자원량은 58%(753억톤)이며, 이 중 바다로 유실되는 32%(420톤)를 제외하고 연간 26%(333억톤)을 이용하고 있다. 용도별로 보면 생활용수 75억톤, 공업용수 21억톤, 농업용수 159억톤 및 유지용수 78억톤 등으로 사용되며 농업용수가 약 48%로 가장 많은 양이 차지하고 있다. 농업용수는 국내 수자원 소비량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으나, 주기적인 가뭄에 따른 용수 부족이 매년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저수지 준설, 둑 높이기, 다단계 양수장 건설 등을 통한 저수량 확보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준설 및 둑 높이기시 막대한 사업비와 양수장 조성 공간 부족 등으로 농업용수 확보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수자원 개발 및 친수공간 조성을 목적으로 매년 1,000여건의 하천공사가 실시되고 있으며, 하천공사로 인해 가물막이의 설치 및 해체가 계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하천공사시 가물막이 설치를 위해 중장비의 출입 반드시 필요하나 중장비 출입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공사기간 지연 및 경제성 등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휴대용 차수막의 구조개선을 통해 (1) 저수지 증고 및 하천 가물막이에 적합한 설계 및 설치 방법을 개발하고, (2) 수압 및 부유물질에 안전하도록 강도를 개선하였으며, (3) 내구성, 경제성, 유지관리성이 개선된 재이용이 가능한 휴대용 차수막을 개발하였다. 휴대용 차수막 개발로 인해 저수지 증고 및 하천 가물막이 뿐만 아니라 방재 및 레크레이션용도 등 다목적 활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수자원 분야에 다수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매립지 근처에서 산성오염물로 인한 토양오염의 지연에 대한 수치적 연구

  • Yoon, Do-Yeong;Han, Chun;Kim, Min-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9.10a
    • /
    • pp.61-64
    • /
    • 1999
  • 산성침출수에 의한 광산폐기물 매립지 근처의 지하 환경의 오염 및 대처 방안의 효과를 수치적으로 예측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하토양에서 Darcy 법칙을 사용한 침출수의 흐름과 이산-분산에 의한 오염물질의 이동현상을 예측하기 위하여 Galerkin 유한요소법을 활용하였다. 토양오염의 지연을 위하여 석회석 차수막을 연직형과 수평형을 도입하여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수평차수막에서의 수착이 오염물질의 이동을 지연시키는데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연직차수막은 지하수의 우회유동으로 인한 오염물질의 확산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전반적으로 침출수의 흐름은 광산매립지 제방 근처에서 강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차수막의 효과적인 설치방안이 고안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A Numerical Study on the Transport of Soluble Contaminants in Porous Grounds (다공성 지하에서 수용성 오염물의 이동에 관한 수치적 연구)

  • 윤도영;김민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8.06a
    • /
    • pp.33-37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지하에서 침출수에 지하 환경의 오염 및 대처 방안의 효과를 수치적으로 예측하였다. 연구대상으고 매립지 지하에서의 침출수의 흐름은 Darcy 법칙을 사용하여 해석하였고, 오염물질의 이동은 이산-분산 모델에 수착의 효과를 고려하여 해석하였다. 침출수의 흐름 및 오염물질의 이동 방정식을 2차원 계를 대상으로 하여 Galerkin유한 요소법을 사용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침출수의 흐름은 매립지 제방 근처에서 강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직 차수막은 오염물질의 이동을 막는데 별 도움을 주지 못하나, 수착은 오염물질의 이동을 지연시키는데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 PDF

Assessment of Transmissivity of Blended Geotextiles for Drainage (배수용 혼합 지오텍스타일의 수평투수성 평가)

  • 전한용;목문성;주용수;유중조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428-431
    • /
    • 2001
  • 토목합성재료(Geosynthetics) 중 배수용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기능상 유체의 흐름을 수평방향으로 유도하는 재료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저장된 유체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필터기능을 가지는 1,000g/㎡ 미만의 지오텍스타일(geotextiles)과 수평방향의 유도로를 확보한 지오네트(geonets)를 결합시킨 지오네트 복합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수용 토목합성재료는 쓰레기 매립장의 건설 시 침출수의 외부유출을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차수막인 지오멤브레인(geomembranes)을 매립된 쓰레기 하중 및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Waterproofing Performance of Waterproofing Methods for PHC-W Earth Retaining Wall Based on Pressure Chamber Test (PHC-W 흙막이 공법의 차수방안에 관한 차수성능확인을 위한 모형 압력 수조 실험 연구)

  • Choi, Yongkyu;Johannes, Jeanette Odelia;Yun, Daehee;Kim, Chae min;Jeon, Byeong Han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3 no.12
    • /
    • pp.115-125
    • /
    • 2017
  • PHC-W earth retaining wall could be constructed continuously. Various retaining wall methods such as C.I.P. etc. method require separate waterproof method. However, the PHC-W retaining wall method prevents leakage of groundwater by inserting a waterproofing material at connection part between 2 PHC piles.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study on 3 waterproofing method for PHC-W retaining wall was conducted at the model pressure chamber. In the method using textile with 1-liquid type and 2-liquid type urethane, rapid leak occurred at the pressure of 120 kPa and 140 kPa or more. In the method of textile with grouting, rapid leak occurred at the pressure of 120 kPa or more, however, in this method, the rapid leakage happened at the top part and the bottom part reinforced with urethane.

Development of Automatic Flood Protection Wall to Prevent Inundation of Inland (내수침수방지가 가능한 자동차수벽에 관한 연구)

  • Kim, Ji Ho;Lee, Gyu Won;Park, Young Jin;Chang, J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73-373
    • /
    • 2019
  • 도시화로 인해 인구가 도시로 집중되고, 불투수층이 증가되어 유출율이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또한 최근의 기후변화에 의하여 홍수 및 침수가 빈번해짐에 따라, 도시에서 내수침수를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한 실정이다. 기존 내수침수 해결방안은 배수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수관거 용량을 키우고, 펌프장을 증설하였으나, 국지적이고 기습적인 집중호우가 내리는 경우에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이에 따라 지하방수로와 도시물순환 등 중장기계획이 수립되고 있으나, 지하철 출입구, 지하 주차장 출입구, 건물 외부 출입구 등 평상시에는 출입구로 사용하다가 홍수시에 내수침수를 방지하기 위한 차수벽에 대한 다양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국내 외 차수벽에 대한 조사 및 분석결과 국외의 경우 자동 수동 반자동의 다양한 차수벽이 제시되어 있으나, 국내의 경우에는 이제야 제품개발이 시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내수침수 피해가 큰 영국이나 미국의 뉴욕시의 경우 건축법에 의해 내수침수피해를 막을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어 있으며, 실증실험도 진행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에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 외 차수벽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고, 자동차수벽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수치모의와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국내에서 사용가능한 적정 자동차수벽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ICT와 연계를 통해 원격제어 및 관리가 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사용가능한 내수침수방지가 가능한 자동차수벽이 제시된다면, 기후변화와 도시화에 대응하는 재난대응기술이 되어 내수침수가 빈번한 도시의 홍수복원력을 확보하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또한 기술연구를 통해 상용화된다면 국내 및 국외시장에 진출이 가능하리라 본다.

  • PDF

Production of High Hardness Concentrated Seawater Using NF Membrane (나노여과막을 활용한 고경도 농축수 제조)

  • Ji, Ho;Moon, Deok Soo;Choi, Mi Yeon;Kim, Kwang Soo;Lee, Ho Saeng;Kim, Hyeon J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7 no.4
    • /
    • pp.333-33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cess technology to produce high hardness concentrated seawater removing chloride ions but containing useful minerals such as magnesium and calcium in the seawater desalination process. In order to make high hardness concentrated seawater, evaporation system is mostly used recently. Because evaporation system requires a large amount of energy consumption, in this study, it was aimed to produce high hardness concentrated seawater using membrane filtration requiring less energy. Nano filtration membranes were used for the experiments, and different types of high hardness concentrated seawater was produced depending on the membranes' specification, the number of times being concentrated, and pressure. As a result, at between 15bar and 20 bar in pressure, in between the second and the third times of concentration, the experiment result showed the best economic efficiency. By the experiment, production of high hardness concentrated seawater seemed to have a good economic feasibility.

MOS Capacitor 에서 Fixed Oxide Charge 가 문턱전압에 미치는 영향 분석

  • Cha, Su-Hyeong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6.03a
    • /
    • pp.362-364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Capacitor의 산화막내에 다양한 원인에 의해 존재하는 비이상적인 전하들 중 Fixed Oxide Charge가 소자의 문턱전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했다. 분석한 결과 n+ polysilicon Gate를 가지고, 산화막인 $SiO_2$의 두께가 3nm이고, 도핑농도가 $10^{18}cm^{-2}$인 P형 실리콘 기판으로 이루어진 MOS Capacitor에서 Fixed Oxide Charge Density가 $C/cm^2$ 이상일 때 문턱전압을 0.01V 이상 감소시키고 $C/cm^2$ 이하일 때 문턱전압을 0.01V 이상 증가시켰다.

  • PDF

The Dental Biofilm Reduction Effect & Control Difficulty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through Dental Biofilm Control Program (일부 대학생에서 치면세균막 관리 프로그램에 의한 치면세균막 감소 효과 및 관리 난이도)

  • Choi, Ha-Na;Lim, Soon-Ryun;Cho, Young-Sik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2 no.1
    • /
    • pp.39-44
    • /
    • 2012
  •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dental biofilm reduction effect and control difficulty level through a dental biofilm control program in this study, the total of 131 medical records (82.9%)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upon excluding the records that were not suitable for this study among the records of 158 persons for the medical records of clinical hygiene case reports that were submitted from 2006 to 2011 by students at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t N University located in Chungnam region. The result of examining the dental biofilm redu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visit number when conducting a dental biofilm control program showed that the dental biofilm index reduced meaningfully as the visit number increased. However, in the case of those that visited for 7 sessions, the level of reduction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For the purpose of comparing the dental biofilm index mean per area of teeth during the final session visit of dental biofilm control program, the area of teeth was classified into labial/buccal surface, lingual/palatal surface and proximal surface, and the dental biofilm index of lingual/palatal surface was the highest with 26.5%. The result of measuring the dental biofilm of maxilla/mandible revealed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dental biofilm index of maxilla and mandible.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ental biofilm index of labial/buccal surface, lingual/palatal surface and proximal surface revealed meaingful differences among the dental biofilm index of labial/ buccal surface, lingual/palatal surface and proximal surf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