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차량 전조등

Search Result 3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the discomfortable feeling's appraisals of driver for the instant brightness fluctuation of the Vehicle's Headlamps (1) Experimental construction (전조등의 순간적 밝기 변동에 대한 운전자의 불쾌감 평가 연구 (1) 운전자의 불쾌감 측정을 위한 시험 구성)

  • Lee, Chang-Mo;An, Ok-Hee;Lim, Tae-Young;Kim,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5a
    • /
    • pp.192-195
    • /
    • 2008
  • 차량에서 전조등의 밝기 변화가 운전자에게 불쾌감과 스트레스를 제공한다면 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전체성능에 의구심을 유발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차량 전조등의 밝기변화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전조등의 전압과 시간을 변수로 하여, 순간적으로 밝기변동이 발생하였을 경우, 연령대별(20/60대)로 운전자가 느끼는 심리적인 반응(불쾌감)이 어떠한 경향을 갖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운전자가 순응하고 있는 전조등에 의한 노면상황을 모의하고 전조등의 전압이 13.6[V]에서 12[V]까지 변동하는 빔 패턴을 화면으로 구성하여 전조등의 순간적인 밝기변동을 모의하였다.

  • PDF

A Computer Vision-based Method for Detecting Rear Vehicles at Night (컴퓨터비전 기반의 야간 후방 차량 탐지 방법)

  • 노광현;문순환;한민홍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5 no.3
    • /
    • pp.181-189
    • /
    • 2004
  • This paper describes the method for detecting vehicles in the rear and rear-side at night by using headlight features. A headlight is the outstanding feature that can be used to discriminate a vehicle from a dark background. In the segmentation process, a night image is transformed to a binary image that consists of black background and white regions by gray-level thresholding, and noise in the binary image is eliminated by a morphological operation. In the feature extraction process, the geometric features and moment invariant features of a headlight are defined, and they are measured in each segmented region. Regions that are not appropriate to a headlight are filtered by using geometric feature measurement. In region classification, a pair of headlights is detected by using relational features based on the symmetry of a pair of headlight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is method is very applicable to an approaching vehicle detection system at nighttime.

  • PDF

The Advanced Effective Feature Extraction for Image Retrieval of an Automobile Head Lamp (자동차 전조등 영상검색을 위한 향상된 유효 특징 추출 방법)

  • Son, Byong-Hwan;Lee, Byeong-Il;Son, Sung-Kun;Choi, Heung-K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261-264
    • /
    • 2002
  • 자동차 전조등에서 나오는 데이터는 다양한 패턴을 가지는 영상자료와 부분적으로 보이는 문자자료이다. 내용기반 영상검색을 통해 자동차 전조등에서 검사자가 판독하는 텍스트와 부분적인 전조등의 영상정보로 차량의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검색 방법을 국립과학수사연구소의 자료를 기반으로 설계하였으며, 영상검색에 사용된 영상특징값의 구성과 영상 검색방법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데이터의 검색을 위해 효과적인 영상특징이 추출 되도록 향상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특징함수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위해 샘플 영상에서 각 후보 특징함수들에 대한 결과값들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유효한 특징함수를 찾아서 검색에 사용되어지도록 구성하였다. 사용되어진 영상의 특징값은 전조등 영상이 가지는 다수의 텍스쳐함수와 가로, 세로 성분값을 사용하였다. 영상 검색을 위해 추출된 영상 특징값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용의차량의 전조등 영상을 질의 영상으로 하여 후보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도록 하였다.

  • PDF

The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Knowledge-based Image Retrieval System of an Automobile Head Lamp (자동차 전조등 영상의 지식기반 영상 검색을 위한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이병일;손병환;최흥국;홍성욱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165-168
    • /
    • 2001
  • 자동차 전조등에서 얻을 수 있는 자료는 차량마다 가지는 각각의 다양한 패턴과 문자 숫자 및 특수문자이탈 문자나 숫자 그리고 특수문자의 경우는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활용으로 그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하지만 전조등의 경우에는 부분적인 패턴만이 있다면 숫자나 문자들의 정보에 의존할 수 없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무늬가 가지는 특징의 추출을 이용하여 발생하고 있는 교통사고나 기타 사건의 발생시 부분적인 영상만이 획득되더라도 정색을 통한 후보 차량의 정색이 가능하도록 영상의 특성 값들을 구성하러 조합하였다. 본 시스템은 사고차량의 추적 및 교통사고에서보다 효율그인 과학수사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The Multi Knowledge-based Image Retrieval Technology for An Automobile Head Lamp Retrieval (자동차 전조등 검색을 위한 다중지식기반의 영상검색 기법)

  • 이병일;손병환;홍성욱;손성건;최흥국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3 no.3
    • /
    • pp.27-35
    • /
    • 2002
  • A knowledge-based image retrieval technique is image searching methods using some features from the queried image. The materials in this study are automobile head lamps. The input data is composed of characters and images which have various pattern. The numbers, special symbols, and general letters are under the category of the character. The image informations are made up of the distribution of pixel data, statistical analysis, and state of pattern which are useful for the knowledge data.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a retrieval system for the scientific crime detection at traffic accident using the proposed multi knowledge-based image retrieval technique. The values for the multi knowledge-based image features were extracted from color and gray scale each. With this 22 features, we improved the retrieval efficiency about the color information and pattern information. Visual basic, crystal report and MS access DB were used for this application. We anticipate the efficient scientific detection for the traffic accident and the tracking of suspicious vehicle.

  • PDF

자동차 전조등용 필라멘트 전구 국내.외 신뢰성 비교 평가

  • Lee, Yeong-Ju;Kim, Jin-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Reliability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371-379
    • /
    • 2006
  • 자동차용 필라멘트 전구는 모든 차량의 전조등, 안개등, 후진등에 사용 되며, 특히 H1, H3, H4 제품은 가장 대중적이고 차량의 적용율이 높은 제품으로 적은 체적에서 높은 광속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차량용 조명등에 적용되고 있다 본 글에서는 안정성 및 신뢰성이 확보되지 않은 국내 자동차용 전구 및 저가의 중국산 제품에 대해 품질이 우수한 선진제품과의 신뢰성 수명 비교 평가를 통하여 현재 국산제품의 신뢰수준을 확인하고 평가결과를 제조업체에 Feed Back 하여 자동차용 필라멘트 전구의 신뢰성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Head/Rear Lamp Detection for Stop and Wrong Way Vehicle in the Tunnel (터널 내 정차 및 역주행 차량 인식을 위한 전조등과 후미등 검출 알고리즘)

  • Kim, Gyu-Yeong;Do, Jin-Kyu;Park, Jang-Sik;Kim, Hyun-Tae;Yu, Yu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10a
    • /
    • pp.601-602
    • /
    • 2011
  • In this paper, we propose head/rear lamp detection algorithm for stopped and wrong way vehicle recognition. It is shown that our algorithm detected vehicles based on the experimental analysis about the color information of vehicle's lamp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e detection rate about stopped and wrong way vehicles is achieved over 94% and 96% in the tunnel HD(High Definition) video image.

  • PDF

A Study on the discomfortable feeling's appraisals of driver for the instant brightness fluctuation of the Vehicle's Headlamps (2) Appraisals and analysis with age (전조등의 순간적 밝기 변동에 대한 운전자의 불쾌감 평가 연구 (2) 20대/60대에 대한 불쾌감 평가 및 분석)

  • Lee, Chang-Mo;Kim, Hyun-Ji;Min, Jea-Woong;Kim,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5a
    • /
    • pp.186-188
    • /
    • 2008
  • 자동차에 탑재된 부하 특히, 여름의 에어컨 사용과 같이 큰 부하가 걸릴 경우와 같이 차량내 전기적 부하의 변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부하의 변동이 할로켄 램프를 사용하고 있는 전조등의 밝기를 변화시킨다. 이러한 밝기의 변동은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는 정도가 되며, 그로인해 운전자는 심리적으로 불쾌함을 느낄 것이다. 그러므로 차량 전조등의 밝기변화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전조등의 전압과 시간을 변수로 하여, 순간적으로 밝기변동이 발생하였을 경우, 연령대별(20/60대)로 운전자가 느끼는 심리적인 반응(불쾌감)이 어떠한 경향을 갖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밝기변동 요소가 되는 전압변동 범위 ${\Delta}V$와 전압변동 시간 ${\Delta}t$로 순간적으로 전조등의 밝기가 변동하였을 때, 이러한 현상이 운전자의 심리적인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20대와 60대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이 결과 각각의 전압패턴에 따라 불쾌감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또한 20대와 60대가 전압패턴에 대해 경향을 유사하였으나, 평가치에 대해서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 PDF

A Study on the discomfortable feeling's appraisals of driver for the instant brightness fluctuation of the Vehicle's Headlamps (전조등의 순간적 밝기 변동에 대한 운전자의 불쾌감 평가 연구)

  • Lee, Chang-Mo;Lim, Tae-Young;Min, Jea-Woong;Lim, Jun-Chae;An, Ok-Hee;Kim, Hyun-Ji;Kim,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7.11a
    • /
    • pp.17-22
    • /
    • 2007
  • 차량에서 전조등의 밝기 변화가 운전자의 장애물 인식능력을 저하시키고, 운전자에게 불쾌감과 스트레스를 제공한다면 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차량 전조등의 밝기변화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전조등의 전압과 시간을 변수로 하여, 순간적으로 밝기변동이 발생하였을 경우, 연령대별(20/60대)로 운전자가 느끼는 심리적인 반응(불쾌감)이 어떠한 경향을 갖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운전자의 야간 주행시 전조등의 밝기변동에 대한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전조등의 밝기변동 영상을 제작한 다양한 전조등의 밝기패턴(전압패턴 A/B)을 제공하여 본 시험을 위한 1차 예비 시험을 실시하였다. 예비시험 결과, 전압패턴 A에 대해서는 전압과 시간변이 대해서 모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전압패턴 B의 경우에 있어서는 시간변이 보다 전압변이가 더 큰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수치적으로 표현하였을 경우에, 전압패턴 A보다 B패턴에서 더 많은 불쾌감을 느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현재, 본 연구는 진행중에 있으며, 앞으로, 2차/3차 예비시험을 통해, 연령대별 시인능력평가 및 심리적 반응 평가, 도로조명의 유무에 따른 운전자의 시인능력 평가, 그리고 전조등의 밝기변동 빈도 수에 대한 심리적 반응을 모의시험하고 경향을 파악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서 본 시험을 준비중에 있다.

  • PDF

Implementation of Android Vehicle Management System Using Wi-Fi & Vehicle Network (차량네트워크와 Wi-Fi통신을 이용한 안드로이드 차량관리 시스템 구현)

  • Jung, Jae-Hun;Kim, Jung;Choi, Jin-K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735-738
    • /
    • 2013
  • CAN(Controller Area Network)은 차량내부의 제어하기 위하여 디바이스, 센서, 액츄에이터 등을 연결하는 비동기 직렬버스 네트워크이다. 이 CAN은 ECU들 사이에 통신을 위해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CAN은 엔진 진단, ABS, 에어백 등과 같은 메시지를 전송하며 창문 조작, 전조등 등의 제어 명령들을 전송한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 네트워크 환경으로부터 차량상태를 WiFi 통신을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스마트폰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또한 차량의 연비관리, 차량 관리하는 차계부, 블랙박스 기능이 포함된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