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집합적 공간

Search Result 434,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An Efficient Algorithm for mining frequent itemsets using L2-tree (L2-tree를 이용한 효율적인 빈발항목 집합 탐사)

  • 박인창;장중혁;이원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c
    • /
    • pp.259-261
    • /
    • 2002
  • 데이터마이닝 분야에서 빈발항목집합 탐사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 왔지만 여전히 많은 메모리 공간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특히 apriori 알고리즘에 기반한 방법들은 긴 패턴이 생성될수록 지수적으로 시간과 공간이 증가한다. 최근에 발표된 fp-growth는 일반적인 데이터 집합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나 희소 데이터 집합에서 효율적인 성능을 보여주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길이가 2인 빈발항목집합 L2에 기반한 L2-tree 구조를 제안한다. 또한 L2-tree에서 빈발항목집합을 탐사하는 L2-traverse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L2-tree는 L2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L2가 상대적으로 적은 희소 데이터 집합 환경에서 적은 메모리 공간을 사용하게 된다. L2-traverse 알고리즘은 별도의 추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FP-growth와 달리 단순히 L2-tree를 오직 한번의 깊이 우선 탐사를 통해 빈발항목집합을 찾는다. 최적화 기법으로써 길이가 3인 빈발항목집합 L3가 되지 않는 L2 패턴들을 미리 제거하는 방법으로 C3-traverse 알고리즘을 제안하며 실험을 통해 기존 알고리즘과 비교 검증한다.

  • PDF

The Extended Generator of Spatiotemporal Datasets (확장된 시공간 데이터 집합 생성기)

  • Lee, Sun-Jun;Kim, Sang-Ho;Ryu, Keun-Ho;Lee, Se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67-70
    • /
    • 2002
  • 시공간 접근 방법들을 위한 효율적인 성능평가 환경은 최소한 다음과 같은 모듈들을 포함해야 한다. 종합적인 데이터집합의 생성, 데이터집합의 저장, 접근 구조들의 수집과 실행, 실험적인 결과의 시각화 등이다. 데이터집합 저장 모듈에 초점을 맞추어서 다양한 실제 세계 시나리오를 실험하기 위한 종합적인 데이터의 생성이 요구된다. 과거의 여러 알고리즘들은 작업공간에서 미리 분배된 정적인 공간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구현되어져왔다. 하지만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공간객체인 시공간 데이터를 생성하기에는 어렵다. 이 논문에서 시공간 데이터 타입의 데이터 생성기에서 고려하여야 할 매개변수들에 대하여 논의한다. "Generate_Spatio_Temporal_Data"라는 알고리즘은 움직이는 점 또는 사각형데이터를 생성하고 거래시간과 유효시간을 구별하지 않았으며 시간 점만을 표현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정확한 시간적 개념을 표현하기 위하여 거래시간과 유효시간간격 모두를 지원하는 데이터 생성기에 관하여 논의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실제적인 데이터집합 생성을 위한 매개변수들을 나타낸다.

  • PDF

Optimal Design of Interval Type-2 Fuzzy Set-based Multi-Output Fuzzy Neural Networks (다중 출력을 가지는 Interval Type-2 퍼지 집합 기반 퍼지 뉴럴 네트워크 최적 설계)

  • Park, Keon-Jun;Kim, Yong-Kab;Oh, Sung-Kwun;Kim, Hyun-K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968-196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패턴 인식을 위한 다중 출력을 가지는 Interval Type-2 퍼지 집합을 이용한 퍼지 집합 기반 퍼지 뉴럴 네트워크를 소개한다. Interval Type-2 퍼지 집합 기반 퍼지 뉴럴 네트워크는 각 입력 변수에 따른 서로 분리된 입력 공간을 분할함으로서 네트워크 및 규칙을 구성한다. 규칙의 전반부는 퍼지 입력 공간을 개별적으로 분할하여 표현하고, 각 공간은 Interval Type-2 퍼지 집합으로 구성된다. 규칙의 후반부는 패턴 인식을 위한 다중 출력을 가지며 Interval 집합을 이용하여 다항식으로서 표현된다. 다항식의 계수인 연결가중치는 오류역 전파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한다. 또한 실수 코딩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안된 네트워크를 최적화한다. 제안된 네트워크는 표준 모델로서 널리 사용되는 수치적인 예를 통하여 평가한다.

  • PDF

Hash based Multi-way Spatial Join Method (해쉬 기반의 다중 공간 조인 기법)

  • Park, Jun-Yong;Kim, Myoung-Keun;Bae, H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93-96
    • /
    • 2004
  • 최근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공간 데이터 마이닝, 공간 그리드, LBS 등과 같은 환경의 여러 분야로 그 응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사용자들의 다양한 공간 질의 처리 요구에 부응하는 효율적인 공간질의 처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특히 다중 공간 조인 질의와 같은 고비용의 공간 조인에 대한 효율적인 공간 질의 처리를 위해서는 단일 공간 조인 보다 더욱 많은 기하 계산과 공간 데이터의 특성을 이용한 다중 공간 조인 처리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고비용의 다중 공간 조인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다중 공간 조인 연산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병렬적인 질의 수행을 위해 해쉬 기반의 다중 공간 조인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기존 조인 대상이 되는 두 데이터 집합에만 공간 해쉬 조인을 수행하는 것을 확장하여 다중 공간 데이터 집합에 대해서도 조인이 수행 가능한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최적의 조인 후보를 획득하여 효율적인 질의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보장한다.

  • PDF

Design of Interval Type-2 Fuzzy Set-based Fuzzy Neural Network and Its Optimization (Interval Type-2 퍼지 집합 기반 퍼지뉴럴네트워크 설계 및 최적화)

  • Park, Keon-Jun;Oh, Sung-Kwun;Kim, Hyun-K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901_190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Interval Type-2 퍼지 집합을 이용한 퍼지집합 기반 퍼지뉴럴네트워크를 설계하고 최적화한다. Interval Type-2 퍼지뉴럴네트워크는 각 입력 변수에 따른 서로 분리된 입력 공간을 분할함으로서 네트워크 및 규칙을 구성한다. 규칙의 전반부는 퍼지 입력 공간을 개별적으로 분할하여 표현하고, 각 공간은 Interval Type-2 퍼지 집합으로 구성된다. 규칙의 후반부는 Interval 집합을 이용하여 다항식으로서 표현되며, 오류역전파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연결가중치인 후반부 다항식을 학습한다. 또한, 각 입력에 대한 전반부 멤버쉽함수의 정점과 불확실성 계수 그리고 학습률 및 모멘텀 계수를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 동조한다. 제안된 네트워크는 표준 모델로서 널리 사용되는 수치적인 예를 통하여 평가한다.

  • PDF

'가깝다'에 관하여

  • Lee, Seung-On;Hwang, In-Jae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2 no.1
    • /
    • pp.1-24
    • /
    • 2009
  • 이 논문에서 우리는 집합의 두 점 사이의 관계를 소개하고, '가깝다'와 '충분히 가깝다'의 위상적인 개념을 다양하게 정의할 수 있음을 보인다. 또한 직관주의 논리와 관계가 있는 De Morgan frame을 소개하고 pre-order에 의하여 정의된 동치관계로 만들어진 동치류들의 집합을 기저로 생성된 위상 공간이 extremally disconnected 임을 보인다.

  • PDF

Humor Document Recommendation using Adaptive K-NN with PCA (PCA 및 적응형 k-NN을 이용한 유머문서의 추천)

  • 이종우;장병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0.11a
    • /
    • pp.133-136
    • /
    • 2000
  • 우리는 인터넷을 통한 사용자의 선호도(preference)를 분석하고 협력적 여과 기술을 학습하여 유머문서를 추천하는 MrHumor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MrHumor에서는 사용자집합이 유머문서 집합에 대하여 보여준 등급매김값을 토대로 사용집합의 백터공간(vector space)를 설정하고 노이즈에 강하면서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 선형 PCA를 이용하여 축소된 2차원 공간상에서 유머문서의 통계적 특성을 반영하여 적응형 k-NN으로 지엽성을 적적히 조절하여 새로운 문서에 대한 선호도를 추정하게 된다.

  • PDF

네덜란드의 근대집합주택09-(완)

  • Choe, Jae-Seok
    • Korean Architects
    • /
    • no.3 s.431
    • /
    • pp.62-75
    • /
    • 2005
  • 어느 나라보다 공동체 인식의 바탕에 형성된 네덜란드 집합주택은 엄격한 가톨릭 정신과 자연을 극복해야만 하는 절박한 운명이 네덜란드인을 하나로 묶으면서 동시에 집합주택이 도시미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네덜란드인의 기본정신 위에 발전된 집합주택은 이념을 달리 하는 다양한 건축운동, 건축가의 의지와 실험정신 그리고 예술가와 건축가의 협력 등이 모태가 되어 생성되었다. 역자가 몇 번에 걸쳐 연재할 흐린베르흐의 저서, 'Housing in The Netherlands 1900~1940' (Delft University Press/1982)을 통하여, 네덜란드 근대집합주택을 '근대'라는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시점만이 아닌 도시미와 커뮤니티 그리고 선단적인 집합주거 공간을 파악하는 주요한 단서로서 기대하고자 한다.

  • PDF

네덜란드의 근대집합주택(4)

  • Choe, Jae-Seok
    • Korean Architects
    • /
    • no.10 s.426
    • /
    • pp.65-71
    • /
    • 2004
  • 어느 나라보다 공동체 인식의 바탕에 형성된 네덜란드 집합주택은 엄격한 가톨릭 정신과 자연을 극복해야만 하는 절박한 운명이 네덜란드인을 하나로 묶으면서 동시에 집합주택이 도시미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네덜란드인의 기본정신 위에 발전된 집합주택은 이념을 달리 하는 다양한 건축운동, 건축가의 의지와 실험정신 그리고 예술가와 건축가의 협력 등이 모태가 되어 생성되었다. 역자가 몇 번에 걸쳐 연재할 흐린베르흐의 저서, 'Housing in The Netherlands 1900~1940' (Delft University Press/1982)을 통하여, 네덜란드 근대집합주택을 '근대'라는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시점만이 아닌 도시미와 커뮤니티 그리고 선단적인 집합주거 공간을 파악하는 주요한 단서로서 기대하고자 한다.

  • PDF

네덜란드의 근대집합주택(5)

  • Choe, Jae-Seok
    • Korean Architects
    • /
    • no.11 s.427
    • /
    • pp.100-108
    • /
    • 2004
  • 어느 나라보다 공동체 인식의 바탕에 형성된 네덜란드 집합주택은 엄격한 가톨릭 정신과 자연을 극복해야만 하는 절박한 운명이 네덜란드인을 하나로 묶으면서 동시에 집합주택이 도시미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네덜란드인의 기본정신 위에 발전된 집합주택은 이념을 달리 하는 다양한 건축운동, 건축가의 의지와 실험정신 그리고 예술가와 건축가의 협력 등이 모태가 되어 생성되었다. 역자가 몇 번에 걸쳐 연재할 흐린베르흐의 저서, 'Housing in The Netherlands 1900~1940' (Delft University Press/1982)을 통하여, 네덜란드 근대집합주택을 '근대'라는 기능적이고 합리적인 시점만이 아닌 도시미와 커뮤니티 그리고 선단적인 집합주거 공간을 파악하는 주요한 단서로서 기대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