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집중분포지역

Search Result 584,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nalysis of regional inequality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local welfare environment (지역복지환경에 따른 사회복지시설의 지역분포 불평등 분석)

  • Lee, Yong-Ja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5
    • /
    • pp.75-8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per 100,000 population by using the concentration index(CI)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with the local welfare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tribu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were distributed in rural areas. And concentration of rural area was gradually decreasing. Second, the concentration index of the social welfare institution was calculated as the negative index. Therefore, social welfare facilities are concentrated in rural areas. However, the absolute value of concentration index decreased. Finally, there are many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areas with poor economic conditions, low incomes, low welfare budget input, and poor social demolition indicators. In the fu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inequality of regional distribution of welfare resourc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welfare environment should be continuously monitored.

Characteristic Analysis of Severe Heavy Rain in Jinju area in July 2006 (2006년 7월 진주지역 집중호우 특성 분석)

  • Chu, Hyun-Jae;Yoon, Kw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96-300
    • /
    • 2007
  • 우리나라에 내리는 대부분의 강수량은 6월${\sim}$8월의 장마기간 혹은 태풍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한다. 특히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집중호우로 인해 많은 인명, 재산 피해 등이 발생한다. 우리나라에서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는 거의 매년 발생하고 있으며, 집중호우의 발생 지역은 특정 지역에 국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집중호우 발생으로 인한 피해 방지를 위해 사전에 충분한 준비를 해야 한다. 2006년 7월 8일부터 10일까지 3일 동안 진주지역 306.5mm, 합천지역 259.5mm, 산청지역 366.0mm의 집중호우가 발생하였으며, 이 기간 동안 이들 지역 외에도 전국적으로 태풍 에위니아(EWINIAR)의 영향으로 많은 호우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6년 7월 진주지역 집중호우 특성 연구를 위해 진주지역 시강우 자료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시강우 자료를 이용하여 진주지역 재현기간별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고 2006년 7월 8일부터 10일까지의 강우분포형태를 설계강우분포형과 비교하였다. 또한 2006년 7월 발생했던 진주지역 집중호우의 무차원 누가곡선을 작성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일최대 강우량의 경우 그 크기가 50년 혹은 80년 이내였으며, 강우분포형의 경우 하천정비기본계획의 경우 Mononobe 중앙집중형이였지만, 지난 호우의 경우 후방위의 강우가 연속적으로 발생한 형태였다. 또한 대부분의 강우가 6시간 이내에 내려 첨두홍수 발생에 많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이상기후와 같은 자연 현상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단시간 호우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강우분포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적자색의 미려한 결정이 석출되므로 이 결정을 여과하여 ethanol로 세척하고 진공 desiccator중에서 건조시켰다. 수득량 1.2~1.3g.)와의 조환가는 11.9565의 상인연소현상을 보였다. 삭과색(Y) 경색(R) 유전자간에는 어느것이나 연소현상이 보이지 않았다. 4. 단일반응성의 변이는 연소적이며 우성은 거의 인정되지 않았고 인자간의 상호작용도 인정되지 않았으며 상가적 유전을 보였다. 광의와 협의의 유전력은 각각 89.50%로서 실용적으로 대단히 높은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단일반응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수는 2대의 인자로 추정하였고 다시 양친의 유전자형을 aabb AABB라고 측정하여 각인자의 작용가는 11.136일로 산출되었고 분해법에 의한 유전분석결과 유전자형의 관찰빈도분포와 이론빈도분포는 서로 잘 적합되었다. 단일반응성에 있어서 유전력이 대단히 높았으므로 비교적 초기세대에서 본 형질의 선발이 가능할 것 같았다. 5. 단일반응성과 엽형 및 엽병색 유전자와의 사이에 $F_2$, $BC_1$$BC_2$에서 각각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으므로 이들 형질간에 연소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었다. 더욱 엽형과 엽병색과의 연소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이상단일반응성 유전자와의 사이에 연소군이 인정된다. 6. 섬유중 유전자와 엽병색 및 엽형유전자와의 사이에 $F_2$$BC_1$$BC_2$에서 각각 유의적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으므로 이를 형질간에 연소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었다. 더욱 엽형과 엽병색과의 연소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이상 섬유중 유전

  • PDF

A Study on application of GIS based Distributed Model and Lumped Model by run-off analysis (남강댐유역을 대상으로 GIS기반의 분포형 모형과 집중형 모형의 유출해석 비교)

  • Kim, Jong-Gae;Park, Jin-Hyeog;Yun, Ji-Hyun;Jung,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795-799
    • /
    • 2008
  • 하천의 유출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형태를 나타내므로 홍수조절 등 수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강우-유출과정에 대한 정확한 해석과 정도 높은 유출량 산정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수자원공사에서 다목적댐의 홍수분석에 사용하고 있는 집중형 모형(Kwater 홍수분석모형)과 분포형 모형(KIMSTORM 모형)의 비교분석을 통해 두가지 모형의 문제점과 향후 적용성을 연구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남한에서 산지가 많고 다우지역에 속하는 남강의 상류 지역인 남강다목적댐 유역($2,285km^2$)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간적인 범위는 남한에 많은 홍수피해를 발생시킨 주요 태풍(2002년 루사, 2003년의 매미, 2006년 에위니아)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분포형 모형이 집중형 모형에 비해 더 정확한 강우-유출 현상 모의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향후 분포형 모형의 적용성 확대를 위해서는 다른 유역에 대하여도 연구 검토가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Heat Concentration and Heat-deepening Factors Using MODIS Based Heat Distribution Map (MODIS 기반의 열 분포도를 활용한 열 집중지역과 폭염 심화요인 간의 공간관계 특성 연구)

  • Kim, Boeun;Lee, Mihee;Lee, Dalgeun;Kim, Jinyoung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6 no.5_4
    • /
    • pp.1153-116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patial correlation between the heat distribution map of the satellite imaging base and the factors that deepen the heat wave, and to explore the heat concentration area and the space where the risk of future heat wave may increase. The global Moran's I of population, land use, and buildings, which are the causes of heat concentration and heat wave deepening, is found to be high and concentrated in specific spac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local Moran's I, heat concentration areas appeared mainly in large cities such as metropolitan and metropolitan areas, and forests were dominant in areas with relatively low temperatures. Areas with high population growth rates were distributed in the surrounding areas of Gyeonggi-do, Daejeon, and Busan, and the use of land and buildings were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large cities. Analysis by Bivarate Local Moran's I has shown that population growth is high in heat-intensive areas, and that artificial and urban building environments and land use take plac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lead to the ranking of heat concentration areas and explore areas with environments where heat concentration is concentrated nationwide and deepens it, so ultimately it is consider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preemptive measures to deal with extreme heat.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Service Industry and Related Employment Opportunity Estim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서울대도시권 지식서비스산업의 입지적 특성과 관련 업종별 고용기회 예측)

  • Park, So Hyun;Lee, Keumsook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4
    • /
    • pp.694-711
    • /
    • 2016
  • This study analyz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industry which has shown relatively rapid growth in the low-growth economy situation in recent years. In particular, we catch hold of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service industry which occupies the highest ratio by professional-expert jobs favoured by young generations, as well as estimate their occupational employment opportunities. By applying Location Quotient(LQ) and LISA, we reveal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publishing business, information service business and education service busines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examine the changes in the spatial patterns during the last ten yea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ocio-economic factors which explain their locations, we apply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urthermore, we predict the changes distribution of Knowledge service industrial employment by applying Markov Chain Model. As the result, we found their clusters at the specific locations, while there is the significant variations in the socio-economic variables related their locations respectively. The related job opportunities of the knowledge service business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re predicted steady growth trend for the next four years, even though dull or stagnant trend is expected for other industries. This study provides basic resources to the planning for young generation employment problem.

Socio-Economic Adaptation of New Immigrant Groups and their Divergence across Large US Metropolitan Areas under Economic Restructuring (미국 대도시지역 산업재구조화에 따른 신이민집단의 사회ㆍ경제적 적응양태의 도시별 다양성에 관한 연구)

  • 권상철;이영민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2 no.2
    • /
    • pp.175-195
    • /
    • 1997
  •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new immigrants' socio-economic adaptation by linking them with the restructuring economies in large US metropolitan areas. Selecting Los Angeles, New York, Chicago, and Atlanta, we examine the industrial distribution of employed Hispanic and Asian immigrant groups with respect to the industrial change experienced between 1980 and 1990, and residential concentration represented by higher location quotients. The findings are that new immigrant groups are employed in overall industrial sectors close to that of total population and their large residential concentrations are displayed near downtown as well as outlying areas. These suggest that new immigrant groups experience different socio-economic adaptation from those generalized in the previous European immigrants, concentrated in manufacturing sector and near downtown area. This study proposes that divergent economic restructuring across metropolitan areas and new immigrants' backgrounds should be consider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immigrants' economic adaptation in the current economic restructuring and its spatial manifestation in the US contexts.

  • PDF

Analysis of Flood Risk Area with Consideration of Heavy Rainfall Scenario and Uncertainty (극한강우 시나리오와 불확실도를 고려한 침수위험지역 분석)

  • Kim, Hyun Il;Han, Kun Yeun;Keum, Ho Jun;Lee, Jae Young;Kim, Beom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3-33
    • /
    • 2019
  • 최근 반복적인 도시침수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나 다양한 강우 및 홍수 자료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침수분석을 실시할 수 있는 기술력이 부재한 실정이다. 한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다양한 강우패턴에 의한 침수지역 파악에 어려움이 있으며, 불필요한 자료의 사용으로 인해 짧은 시간에 발생하는 도시침수에 대해 실시간으로 대응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강우패턴과 극치강우 사상을 반영하기 위한 강우시간 분포법을 나타내고자 하였으며, 강우-유출 자료에 대한 최적의 자료조합을 선정하는 정량적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역 특성에 따른 극치강우사상의 시간분포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지만, 기존의 강우시간분포는 다양한 강우의 집중현상을 나타내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강우시간분포 기법의 단점을 보완하고 극치강우사상의 집중지속시간 특성을 반영한 강우시간분포 방법과 Huff에 의한 강우시간 분포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강우시나리오를 생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 및 울산 연구대상지역의 도시유출해석의 입력 자료로서 사용하였다. 강우 및 유출 자료의 상관성 분석과 불확실도 분석을 기반으로 추후 홍수예측을 위한 최적의 입력 자료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위의 과정들을 통해 다양한 강우조건에 따른 연구대상 지역에서의 침수예상도를 분석할 수 있었으며, 선정된 극치강우사상을 통해 다양한 강우의 집중현상을 나타낼 수 있었다. 1차원 도시유출해석을 실시하여 구축한 강우-유출 데이터베이스의 최적화를 위해 불확실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수리학적 특성이 고려된 입력 및 출력자료에 대한 사용자의 합리적인 판단을 위해 정량적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더욱이 제시된 방법론을 이용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국지성 호우와 급변하는 수재해 양상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Variation of Air Quality with Space Structure Changing in Busan City using GIS (I) : Emission Distribution (GIS를 이용한 부산지역공간구조와 대기질 변화에 관한 연구 (I) : 배출량분포)

  • 유은철;박옥헌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318-319
    • /
    • 2003
  • 국내 도시는 1960년대이후의 산업화에 따라 인구와 산업이 도시로 집중되어 급속하고 거대한 성장을 이루었고 대기오염 현상의 다양화, 복합화로 인해 스모그와 시정장애 등 새로운 오염현상이 심각해지고 있다. 도시지역 대기중의 오염물질 농도수준은 오염 배출원의 분포 및 배출강도 그리고 지역의 지형, 기상 요인 등 많은 요인에 따라 좌우된다. 특히, 대도시는 경제ㆍ사회ㆍ문화 등 다양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유기체적인 공간으로 특정 지역에로의 집중과 분산이 일어나면서 다양한 공간구조(예; 신시가지, 산업단지 등)를 만들어 가고(이광국 등) 이런 변화에 따라 대기오염의 공간적 분포 경향 역시 달라져 갈 것이다. (중략)

  • PDF

An analysis of related parameters of the detention pond in trunk sewer considering temporal distribution of rainfall (강우의 시간적 분포를 고려한 간선저류지의 관련매개변수 분석)

  • Lee, Sung Ho;Lee, Jae Joon;Lee, Hoo Sang;Rhee, Dong S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14-214
    • /
    • 2017
  • 우리나라는 도시화 및 산업화로 도시지역의 대부분이 불투수층으로 변화하였으며, 국지성 호우의증가로 홍수 저감시설의 방어능력이 취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홍수방어 개선을 위한 여러 방안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 저류지는 도시지역에서 유역 하류의 홍수피해 저감 및 흐름을 지체시켜 유출률을 감소시키는 시설물로 홍수 저감을 위한 시설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저류지는 큰 규모일수록 유역의 하류지역에 설치할 경우 가장 큰 유출저감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저류지의 위치를 유역의 하류가 아닌 상류지역에 설치할 경우에는 단기간 강우의 시간적 분포가 강우 초기에 집중될 경우 저류지의 허용용량이 초기에 도달하게 되어 추가적인 강우가 발생할 경우 본래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강우강도 및 시간적 분포를 고려하여 유역의 특성 및 저류지의 설치위치에 따른 관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 산업화 인구집중으로 인해 동일규모의 강우에서도 우수유출이 증대되고 있는 도시지역에서 원활한 내수배제를 위해 기존의 우수관거를 연계한 저류시스템인 간선저류지 개념을 적용하여 강우강도 및 시간적 분포에 따른 간선저류지의 관련매개변수를 분석하였다. 대상유역은 세장형, 집중형, 중앙형의 3가지 형상의 가상유역으로 선정하여 다양한 지속기간의 강우량을 적용하였으며, 간선저류지의 설치위치는 전체 유역면적에 대한 저류지 상류부 면적의 비(저류지 상류부 면적비, DUAR ; Dimensionless Upstream Area Ratio)를 20%, 40%, 60%, 80%로 변화시키면서 강우의 시간적 분포에 따른 간선저류지의 매개변수 분석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Study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ajor Non-timber Forest Products - Focusing on Chestnut, Astringent Persimmon, and Oak Mushroom - (주요 단기소득임산물의 공간적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 밤, 떫은감, 표고버섯을 대상으로 -)

  • KIM, Won-Kyung;LEE, Jung-Min;KWON, Soon-Duk;JEON, Jun-H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9 no.2
    • /
    • pp.73-85
    • /
    • 2016
  • Systematic and efficient forestry management is required because of the long-term low profitability of timber production and forest products. In this situation, non-timber forest products can be the solution to secure stable sources of income for workers in the forestry field.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for non-timber forest products focus on effective production and economic analysis and provide plans for increasing the income and improving the marketing system. Therefore, this research intends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as well as quantitative concentration of non-timber forest production.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examined the regional concentration and dispersion of non-timber forest production in 2001, 2007, and 2014 using the coefficient of localization(CL) and location quotient(LQ) and investigated the change in spatial distribution using spatial statistics. The production of chestnuts generally showed a concentrated pattern in 2014 based on the outputs of the CL and LQ, but the result of spatial autocorrelation indicated a decrease in the spatial concentration. In addition, astringent persimmon showed more concentration from the output of CL than oak mushroom, but Moran's I suggests the opposi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spatial distribution to understand and improve the marketing system and intensify the production of forest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