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집중도

Search Result 13,840,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The Recognition Method for Focus Level using ECG(electrocardiogram) (심전도를 이용한 집중도 인식 방법)

  • Lee, Dong Won;Park, Sangin;Whang, Mincheo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2
    • /
    • pp.370-377
    • /
    • 2018
  • Focus level has been important mental state in user study. Cardiac response has been related to focus and less clarified. The study was to determine cardiac parameters for recognizing focus level. The sixty participants were asked to play shooting game designed to control two focus levels. Electrocardiogram was measured during task. The parameters of time domain and frequency domain were determined from ECG. As a result of independent t-test, RRI, SDNN, rMSSD and pNN50 of time domain indicato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ecognizing focus level. LF, HF, lnLF and lnHF of frequency domain were observed to be significant indicator. The rule base for recognition has been developed by the combination of RRI, rMSSD and lnHF. The rule base has been verified from another sixty data samples. The recognition accuracy were 95%. This study proposed significant cardiac indicators for recognizing focus level. The results provides objective measurement of focus in user interaction design in the fields of contents industry and service design.

The Impact of Standardization Intensity on Sales Performance: Evidence from Korean SMEs (중소기업의 표준화 집중도가 기업의 매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 GANG, KwangWook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9 no.3
    • /
    • pp.417-438
    • /
    • 2016
  • The choice of SMEs between standardization and R&D is one of the strategies of building capabilities for achieving competitive advantages under the liabilities of newness and smallness. This paper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f Korean SMEs choice between standardization and R&D. We hypothesize two possible impacts of standardization intensity on sales performance; a positive linear and a U-shaped relationship. The analysis of data on 821 Korean SMEs from information and technology, and electricity and electronics industries in 2013 shows an U-shaped relationship between relative standardization intensity over R&D and sales performance.

Evaluation of Concentration using Electroencephalogram and Electrocardiogram (I) (뇌파와 심박변화를 이용한 집중도의 평가 (I))

  • 윤용현;고한우;양희경;김동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6-9
    • /
    • 2001
  • 집중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피험자에게 집중을 유발시키는 3가지 task(단기기억작업, Corsi block tapping task, visuomotor task)를 부가하고 주관평가 및 생리신호(뇌파, 심전도, 맥파, 피부온도, 호흡, 피부전도도)를 측정하였다. 뇌파를 mapping하여 평가에 적합한 전극이 위치를 선정하고, task 수행중 집중도 변화와 짐전도의 심박변화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안정과 task 수행시 뇌파 mapping상 전체 power의 변호가 frontal 부분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집중시 R-R 간격의 순간간격변화가 줄어들었다.

  • PDF

A research on attentive gaze by physiological signal (생리신호에 의한 시선 집중도 추출에 대한 연구)

  • Kim, Jong-Hwa;Hwang, Min-Cheol;Park, Gang-Ryeong;Lee, Ui-Cheol;U, Jin-Cheol;Kim, Chi-Jung;Kim, Yong-U;Kim, Ji-Hy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160-163
    • /
    • 2009
  • 본 연구는 생리신호에 의한 집중된 시선과 집중하지 않는 시선을 분류하고자 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시각적으로 높은 집중과 낮은 집중을 요구하는 두가지 과제를 피실험자에게 제시하고 PPG(Photoplethysmogram), GSR(Galvanic Skin Response) 그리고 SKT(Skin Temperature)센서를 사용한 자율신경계 반응과 시선 움직임을 측정하였다. 과제는 $3{\times}3$으로 화면 구역을 나누고 각 구역에 문자를 제시하고 역방향 문자를 찾도록 하였다. 실험에는 20 명의 대학생이 참여하였으며, 1 번의 실험에 12 종류의 다른 문자배열을 제시 받았으며 1 번의 연습을 포함하여 총 5 회 실시후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높은 집중일 경우와 낮은 집중일 경우를 T-test 분석 결과, 자율신경계에서는 높은 집중일 경우 PPG 주파수가 증가하고 GSR과 SKT는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시선의 집중도에 따라 다른 자율신경계 반응과 시선반응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Online class concentration analysis system using face recognition (얼굴인식을 활용한 온라인 수업 집중도 분석 시스템)

  • Lee, Gyu-Sup;Hwang, In-Ho;Seo, Se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05a
    • /
    • pp.29-32
    • /
    • 2021
  • 현재 코로나 사태로 인해 많은 학교에서 온라인으로 수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대면강의에 비해 온라인수업은 진행자와 수강자의 상호작용이 원활하지 않아 집중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진행자가 전체 수강자의 집중도를 파악하고 전체적인 집중도가 낮아졌을 때 진행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하여 적절한 주의/환기 등을 줌으로써 온라인수업의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온라인 수업집중도 분석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을 활용하여 수강자의 집중도 향상 뿐만 아니라 수업의 진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여 수업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의 시스템은 dlib 의 안면 검출기와 OpenCV 및 PyQt5 의 QtDesigner 를 사용하여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Engagement estimation framework for accurate lecture concentration identification (정확한 수업 집중도 파악 위한 engagement 추정 프레임워크 제안)

  • Cho, Suhyun;Park, Sangjin;Song, Byung 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11a
    • /
    • pp.315-316
    • /
    • 2020
  • 급격하게 증가하는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원격으로 학생들의 집중도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집중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지만 아직까지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수업 집중도를 파악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제안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발전하는 딥러닝 네트워크와 이에 기반한 시선 추적 알고리즘을 동시에 활용한 수업 집중도 추정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결과적으로, 이를 통해 학생들의 집중도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측정하여 온라인 수업 환경 개선에 기여한다.

  • PDF

자연에서 찾은 건강 - 그림 테라피 - 집중력 높이는 비밀 파란색과 노란색을 가까이

  • Lee, Yun-Mi
    • 건강소식
    • /
    • v.35 no.11
    • /
    • pp.12-13
    • /
    • 2011
  • 집중력은 타고난 재능이 아니다. 따라서 누구나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집중력은 근력이나 지구력처럼 훈련을 통해 향상할 수 있는 기술이다. 미국의 심리학자 다니엘 골드먼 박사는 "집중력은 마음의 근육이다. 근육을 발달시키듯이 집중력도 발달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집중력 발달을 돕는 그림, 컬러를 알아보자.

  • PDF

An Analysis of the Concentration Ratios and the Shift Effect of Korean Container Ports (우리나라 컨테이너항만의 집중도와 변이효과 분석)

  • Kim, Eun-Soo;Lee, Su-Young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2 no.1
    • /
    • pp.135-149
    • /
    • 2016
  •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ntration ratios (CR) and the shift effect in the system of Korean container ports that concern the export and import of container cargos, especially from/to 5 overseas origin/destination (O/D) regions, using the Hirshmann-Herfindahl Index (HHI) and the Shift-Share Method. The results shows that the CR has decreased during the last 20 years, from 0.86 to 0.44, mainly because cargos from/to the Far-East/South-East Asian regions have become more dispersed to several domestic container ports, especially from the Port of Busan. This study also indicates that there has been little change in the CR for all cargos, like the value of -0.3%, in the last 5 years. However the change in CRs for the cargos from/to the North America and Europe is positive, with the value of 7.6% and 6.6%, respectively. It can be inferred that the future development of medium- and small-sized container ports in Korea is not very likely. The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CR and the shift effect of the Korean container ports for the cargos by the domestic O/D regions should be analyzed in the future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in great detail.

Evaluation of Concentration using Phsiological Signal during Mental Arithmetic Task (생리신호를 이용한 연산작업시의 집중도의 평가)

  • 윤용현;고한우;김동윤;양희경;김묘향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210-214
    • /
    • 2002
  • 집중도 변화와 정신피로는 정의 방향의 평가와 부의 방향의 평가가 있으며, 작업 수행시의 집중변화와 정신피로의 평가는 정의 방향보다 부의 방향으로의 평가가 용이하다. 따라서, 저자들은 먼저 피험자에게 부가할 정신작업부하로 난이도 조정이 용이한 연산작업을 사용하여 작업수행시 가장 높은 집중을 요구하는 하나의 난이도를 선정하고 피험자에게 반복 수행시키면서 생리량과 심리량을 동시에 측정하였다. 측정된 생리량은 뇌파, 심전도, 호흡, 맥파, 말초피부온이며 심리량은 저자들이 개발한 정신피로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작업수행시 심박변화율의 전력스펙트럼 MF/(LF+HF)비가 감소하였으며, 작업이 반복됨에 따라 집중이 저하되고 정신피로가 증가하였다. 특히, 뇌파의 beta파와 호흡간격이 집중도의 변화를 말초피부온이 정신피로를 잘 반영하였다.

  • PDF

뇌파를 이용하여 다수의 집중이 집중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Kim, Byun-gon;Kim, Myung-Soo;kwon, Oh-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10a
    • /
    • pp.825-826
    • /
    • 2016
  • 최근 뇌파에 대한 연구가 아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뇌파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뇌파센서를 이용하여 뇌파를 수집하고 뇌파의 주파수 분석 등을 이용하여 뇌파를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NeuroSky 사의 mindwave mobile 뇌파 센서를 이용하여 뇌파를 수집하여 집중도를 분석하였다. 사람 사이에 교류하고 소통하는 과정에서 뇌파의 공명 현상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고 한다. 또한 보통의 경우 어떤 일을 할 때, 많은 사람의 응원을 받으면 응원을 받지 않는 경우보다 잘 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여러 사람의 응원이 한 사람의 집중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지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한사람이 집중할 경우보다 여러 사람이 같이 집중할 때 집중도가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