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집에 대한 장소애착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6초

어린시절 집에 대한 장소애착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lace Attachment to Childhood Home to the Housing Satisfaction)

  • 최병숙;김석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11-120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significant factors explaining college students' place attachment to their childhood homes, developed the scale of that, and proposed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ls to explain their place attachment to those home environment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32 items. Responses from 358 Michigan State University student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From the explan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31 items under 4 valid factors named Place dependence, Affection, Rootedness, and Place identity were obtained. This study additionally adapted six types of place attachment to childhood homes from Hess (1997), and examined these types. Idealization (Type1), affection (Type3), and transcendence (Type5) were chosen most often. Finally,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housing satisfaction and (1) the four place attachment factors and (2) the six types of place attachment. Results showed the four place attachment factors were more strongly related with housing satisfaction.

아동기 집에 대한 장소애착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lace Attachment to Childhood Home Scale)

  • 이진숙;최병숙;한지현;한영숙
    • 아동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49-566
    • /
    • 2009
  • This study developed the Place Attachment to Childhood Home Scale and evaluated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Samples consisted of 418 college students of four universitie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based on retrospective questions about the childhood home. Factor analysis resulted in 5 dimensions of place attachment : affection, place identity, place rootedness, playfulness, and place dependence. Especially, playfulness was a unique finding.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five-factor structure. There were also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sub-factors.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appeared high (Cronbach's ${\alpha}$ = .948).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confirmed by significant correlations of the present scale with Attachment Scale to Place (Hess, 1997) and the Inventory of Parent Attachment (Armsden & Greenberg, 1987).

  • PDF

재미 한인청소년의 집에 대한 장소애착,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적 적응에 대한 연구 (A Study of Place Attachment to Home, Acculturative Stres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Korean Youth in the United States)

  • 이진숙;데지레 친
    • 아동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33-48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lace attachment to home, acculturative stres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Korean youth in the United States. In particular, this study sought to better understand how place attachment to home and acculturation stress impacts upon youth's psychological adjustment, as measured by depression and self-esteem. The subjects consisted of 225 Korean youths (113 males and 111 females) residing in Michigan in the USA, of whom 47.6% attended middle school while 52.4% of whom attended high school. The instruments utilized were the acculturative stress scale (Sandhu and Asrabadi, 1994), the place attachment scale (Choi, Lee, & Han, 2009), Radloff's depression scale (CES-D), and Rosenberg's self-esteem scal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assess the predictive effects of place attachment to home and acculturative stress on youth's psychological adjustment, alongside controlling demographic variable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place attachment to home and acculturative stress impacted upon depression and self-esteem, as experienced by the youths examined. These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our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both youths' place attachment to home and acculturative stress in the acculturation process.

대학생의 아동기 집과 현재 집에 대한 장소애착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nd Collegehood Place Attachment to Home Environment for College Students 1))

  • 최병숙;이진숙;한영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905-918
    • /
    • 2010
  • This study explored Korean college students' place attachment to current home environments and their place attachment to childhood home environments. The study sought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place attachment and collegehood place attachment to home environ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336 students at four universities in Jellabuk-Do, Korea, and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mputed and showed five factors related to place attachment of home environment. Place intimacy, rootedness, place identity, place dependence, and place palyness showed in childhood place attachment to home; place identity, place affection, place restfulness, place dependence, and rootedness in collegehood place attachment to home.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childhood place attachment to home explained 43.9% variance with regard to collegehood place attachment to home. This relationship implied that childhood place attachment strongly affected subsequent collegehood place attachment.

학교도서관에 대한 초·중등 학생의 장소성 형성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ceness Forma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School Libraries)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73-97
    • /
    • 2017
  • 학교도서관은 공간임과 동시에 장소이다. 가정과 집의 개념이 다르듯이 공간은 물리적 형태를 말하고, 장소는 각 개개인의 경험에 의한 주관적 개념이다. 초 중 고 학생은 사회적, 인지적 발달단계가 다르기 때문에 학교도서관에 대한 느낌 즉, 장소성이 다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 중 고 학생 간에 장소성 형성요인에 대한 차이를 규명하고, 이 장소성이 장소애착과 장소가치인식을 매개로 하여 학교도서관을 이용하고자 하는 행동의도로 이어지는지 그 과정을 검증하였다. 590명의 초 중 고 학생들로부터 수집한 설문 데이터는 SPSS 19와 AMOS 19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물리적 요소, 활동 행태적 요소, 심리적 요소 모두 초 중 고 학생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장소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초등학생은 중학생과 고등학생에 비해 물리적 요소, 활동 행태적 요소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고 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장소성은 장소애착, 장소가치인식을 매개로 하여 학교도서관을 이용하려는 행동의도로 연결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람(嘉藍) 이병기 생가(李秉岐 生家) 수우재(守愚齋)에서 찾는 소박함과 선비정신 (The Rusticity and Spirit of Scholars Found at Suwoojae, the Birth House of Garam Byungi Lee)

  • 김정식;노재현;김정문;오현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1
    • /
    • 2010
  • 본 연구는 가람의 문학적 성과 중 자연관 등에 대한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가람 이병기의 생가 수우재에 대한 실측 도면조사 그리고 현지답사 등의 고찰을 통하여 가람의 시조 문학적 특성의 가장 핵심어로 회자(膾炙)되는 '소박함'과 '선비정신'이 정원의장 및 공간특성에 어떠한 형태로 표출되고 있는가를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우재의 입지는 용화산 줄기를 배산으로, 동쪽으로 노령산맥의 지맥에서 분기된 천호산을 안산으로 입지하며, 가람 시의 회고와 애착공간으로 자주 드러나고 있음에서도 엿볼 수 있듯이 수우재의 장소성은 인걸지령론(人傑地靈論)과 관련된 양택 명당과 관련 깊은 것으로 해석된다. 2. 조선 후기인 1844년에 가람의 조부 이조흥에 의해 건립된 수우재는 안채의 일부가 정지(부엌)와 이어진 ㄱ자형의 고패집으로 구성되었으며, 4칸의 사랑채와 3칸의 고방채, 안채의 뒤쪽에 장독대를 중심으로 여유로운 민가 정원구성을 이루고 있다. 3. 수우재 내 외의 공간구성은 담장과 건축물의 영역이 세분화된 가운데 동선 변화가 나타나고 있어 시선의 다양함을 느낄 수 있으며, 승운정을 비롯해 정원 곳곳에서는 가람의 존재감 및 일상생활이 녹아든 시적 세계가 담긴 철학적인 영역의 공간감이 감지된다. 4. 수우재의 주요 정원시설은 사랑채 전면에 위치한 단아한 장방형의 연지, 곳곳에 산치(散置)된 괴석 그리고 차경 목적으로 낮게 둘러친 담장 등에서 소박한 미의식을 바탕으로 한 선비의식과 자연친화적 정원 면모를 읽게된다. 5. 수우재의 조경식물 중 주로 연지 주변에는 배롱나무, 살구나무, 일본목련, 산수유, 향나무, 배롱나무, 동백나무 등이 식재되었으며, 내원에는 감나무, 대추나무, 자두나무, 모과나무 등 유실수 위주의 실용적 식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승운정 후면에 악센트용으로 식재된 수령 200년 이상의 탱자나무는 특히 주목된다. 6. 가람의 시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자연을 관조하는 시이고 다음이 풍류를 담은 시이듯 수우재 주변의 다채로운 자연경관적 요소는 가람 시의 시적공간으로 설정된 자연공간의 소재 및 주제를 전환되는 모티브적 환경으로 보이는데 이는 승운정기(勝雲亭記) 등에서도 나타나는 자족의 심정과 동일한 것으로 파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