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질 평가 도구

검색결과 256건 처리시간 0.024초

완화 의학에서의 평가도구 (The Assessment Tools in Palliative Medicine)

  • 곽정임;서상연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2권4호
    • /
    • pp.177-193
    • /
    • 2009
  • 완화의학에서 환자의 평가는 치료의 의사결정과 그 결과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평가도구의 사용 목적은 이를 환자 진료에 반영하여 개개인 환자와 가족들에 대한 돌봄의 질을 높이는 데 있다. 환자의 기능 상태와 통증 및 비 통증 증상을 평가하는 다양한 단일 영역 및 다차원 평가 척도들이 사용 가능하며, 삶의 질을 측정하는 다양한 도구들이 존재한다. 삶의 질이나 증상 측정에서 우월하다고 추천되는 단일 도구는 없는 실정이다. 도구마다 측정하는 시간의 틀이 다르고, 특성이 다르므로 사용 목적과 상황에 따라 적절한 도구를 선택하여야 한다. 여명 예측을 위해서는 예후 지수의 병용이 권고되는 추세이고, 웹을 기반으로 하는 예측 프로그램들도 등장하였다. 예후지수로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다기관 연구를 통해 개발한 객관적 예후지수가 임상적인 여명 예측을 포함하지 않으면서 새로운 객관적인 예후 요인을 반영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 완화의학 입문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사용이 용이한 도구가 좋다. 따라서 기능의 평가에는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기능지수를 사용하고, 통증에서는 10점만점의 숫자 통증 등급(Numeric Rating Scale) 도구를 활용하면서 초기 통증 평가로는 간이 통증 조사지를 추천한다. 여러 가지 증상을 한꺼번에 측정하기 위해서는 숫자 등급으로 직접 물어보거나 혹은 M.D. Anderson 증상조사지(the Korean version of MD Anderson Symptom Inventory) 설문지를 사용하기 바란다. 삶의 질을 평가하는데에는 European Organization Research and Treatment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Core 15 for Palliative Care, 예후 지수로는 객관적 예후 지수(Objective Prognostic Score)를 사용하기를 권한다. 향후 완화의학에서 평가도구의 발전방향은 국제 공동 연구의 활성화와 디지털 기기를 통한환자 보고의 전산화이고, 머지않은 앞날에 우리나라에도 이러한 경향이 도입될 것이다.

  • PDF

힘든 일 활동의 적용에 따른 지적장애인의 문제행동과 수면의 질, 삶의 질의 변화 (Changes of Problem Behavior, Sleep Quality, and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rough the Application of Heavy Work Activities)

  • 손성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501-50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힘든 일 활동의 적용에 따른 지적장애인의 문제행동과 수면의 질, 삶의 질의 변화를 분석하여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지적장애인 10명이며, 대상자들에게 힘든 일 활동을 12주간 적용하였다. 힘든 일 활동의 적용에 따라 문제행동과 수면의 질, 삶의 질을 평가하였으며, 문제행동은 한국판 적응행동검사 도구를 활용하였고, 수면의 질은 수면의 질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삶의 질은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힘든 일 활동의 적용에 따라 대상자들의 문제행동이 감소하였고, 수면의 질과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 힘든 일 활동의 적용은 지적장애인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수면의 질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지적장애인들에게 힘든 일 활동의 적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근린공원 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위한 공원성능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Park Performance Assessment Tool (PPAT)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Urban Neighborhood Parks)

  • 김용국;김영현;유예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20-13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근린공원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공원성능평가도구(Park Performance Assessment Tool, PPAT)를 개발하는 것이다. 공원성능평가도구(PPAT) 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공원성능평가도구(PPAT) 관련 사례 분석을 통해 평가항목 풀을 구성하였다. 둘째, 전문가 자문회의 및 시범 평가를 통해 국내 공원 여건에 적합한 평가항목으로 정제하였다. 셋째, 시범 평가를 통한 공원성능평가도구(PPAT)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넷째, 전문가 설문조사와 AHP 분석을 통해 평가항목별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다섯째, 공원성능평가도구(PPAT) 평가표와 평가 가이드라인을 작성하였다. 공원성능평가도구(PPAT)를 인천광역시 부평구의 22개 근린공원에 적용하여 물리적 공간 환경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공원 서비스 개선이 필요한 열악한 질의 근린공원이 다수 발견되었다. 공원성능평가도구(PPAT)는 공원녹지기본계획 수립, 공원 정비사업 우선순위와 사업추진방식 선정, 우수 공원 인증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BIM 수행성과 평가도구의 개발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a BIM Performance Assessment Tool)

  • 강태욱;원종성;이강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53-62
    • /
    • 2013
  • BIM 성과평가란 건설프로젝트에 BIM을 도입했을 때, 개별적인 BIM 프로젝트로부터 얻어진 긍정적인 효과(예: 공기단축, 공사비 절감, 생산성 향상 등)를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BIM 성과평가도구가 국내에서 어떤 방향으로 개발되어야 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 BIM 전문가 자문을 통해 BIM 성과평가도구의 개발목적, 특성, 문제점에 대한 질의 항목을 도출하고, 4차에 걸쳐 실무자에게 설문을 배포, 회수 하였다. 회수된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분야, 경력에 따른 각 항목들의 시각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분야, 경력에 따라 BIM성과평가도구의 개발목적, 특성, 문제점에 대해 유의미한 관점 차이를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BIM평가도구 개발 시 고려사항을 도출하였다.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정보사회와 컴퓨터' 교과의 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ssessment Model for the 'Information Society and Computer' subject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 이승현;곽은영;김현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5-2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정보사회와 컴퓨터' 교과의 평가도구를 제시한다. 제시된 평가도구는 제7차 교육과정의 목표와 '정보사회와 컴퓨터' 교과의 특성을 모두 반영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고 현장 교사들이 구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궁극적으로 교육과정의 질을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분석된 교과내용을 영역별로 분류하고 성취기준과 평가영역, 평가기준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평가 모델 기반의 예시 평가도구를 제시함으로써 학교현장에서 교육목표가 구현된 평가 활동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현장 전문가의 타당성 검증을 통하여 제시된 평가 도구의 현장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 PDF

호스피스 완화의료에서의 초기평가와 돌봄 계획의 수립: 평가도구를 중심으로 (Initial Assessment and Care Planning in Palliative Hospice Care: Focus on Assessment Tools)

  • 박은주;고수진;천재경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2권2호
    • /
    • pp.67-76
    • /
    • 2019
  • 포괄적이고 총체적 돌봄을 제공하는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경우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문제목록의 객관화하고 돌봄 계획의 구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초기평가는 입원 당일 혹은 1일 이내에 환자의 증상과 사회적, 영적 문제, 완화의료에 대한 요구가 무엇인지 파악하며 개괄적인 돌봄의 방향을 설정하는 과정이다. 현재 병에 대한 인식과 예후를 파악하는 것부터 연명의료계획서 작성까지 함께 검토한다. 초기평가도구로는 간단하지만 포괄적으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영역을 아우르는 13개의 간단한 질문으로 구성된 NEST를 추천한다. 초기평가에서 파악된 문제에 대하여 구체적인 평가도구들을 활용하여 돌봄 계획을 수립하며 입원 후 3일이내 시행하는 것이 좋다. 신체적 영역의 경우 기능상태를 포함하여 통증과 비 통증 증상, 삶의 질을 함께 파악할 수 있는 다증상 평가도구가 도움이 될 수 있다. 환자의 증상은 단독으로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인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며, 그에 따라 포괄적으로 접근해야 하기 때문이다. 정신심리적 영역은 심리적 고통과 불안, 우울을 평가한다. 사회적 영역의 평가는 의사결정, 사회경제적 환경 파악, 가족 평가 및 임종 준비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영적 평가 역시 중요한데 FACIT-Sp나 SHI를 사용할 수 있다. 평가도구를 활용하는 것은 환자의 고통을 경감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의료진이 체계적으로 훈련되는 방안이 될 수 있으며 그 과정 자체가 더 나은 돌봄 제공을 위한 발판이 될 수 있다.

주요국의 질 평가 접근법 비교분석에 기초한 대학의 질적 수준 평가 지표 개발 (Developing Indicator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Universities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Major approaches in Foreign Countries)

  • 최정윤;정진철;이정미
    • 비교교육연구
    • /
    • 제19권1호
    • /
    • pp.25-58
    • /
    • 2009
  • 대학의 기능 수행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증대되어 대학의 질 제고와 대학의 질 평가가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대학의 질 개념을 정립하고, 정립된 질 개념에 터하여 대학의 질적 수준을 종합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 데 연구의 주된 목적을 두었다. 종합적인 문헌분석과 연구진 검토를 통해 목표/목적 달성, 고객요구충족, 가치부가 측면을 강조한 투입-과정-산출 체제로서의 대학의 질 개념을 설정하였다. 설정된 대학의 질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미국, 영국, 호주, 일본 등 주요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학기관인증평가, 대학순위평가, 학생설문조사, 학습성과평가 등 4가지 유형의 질적 수준 분석 도구에 포함된 지표들(6개국 13개 평가도구)을 분석한 뒤 대학의 질적 수준 평가 지표 초안을 마련하였고, 전문가 검증과 연구진 검토를 통해 최종 지표들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지표들은 투입-과정-산출 차원에서 기관목표, 인적자원, 물적자원, 교육과정, 학습활동, 교육산출, 연구산출의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지표가 대학의 질 제고를 유도하는 순기능 역할을 발휘하는 데 필요한 사항들이 제안되었다.

네덜란드의 지속가능성 평가에 관한 경험

  • 김임순
    • 환경기술인
    • /
    • 제24권통권256호
    • /
    • pp.18-22
    • /
    • 2007
  • 본 논문은 네덜란드의 지속가능성 평가(Sustainability Assessment, SA)에 있어 몇몇 최근의 진전을 토의한다. 효율적인 지속가능성 평가를 위한 몇몇 요소들의 강조에 초점을 둔다. SA는 현재로서는 복잡하지만 필수 구성요소이다. 이는 개발의 가능한 방향에 관한 토의의 질을 향상시키고, 대안들 결론 비용 및 이득에 가중치를 둠으로서 종종 국민을 위해 보다 투명한 정책결정의 복잡한 과정을 구성함을 통해 정책 결정의 민주적 질에 기여하는데 중대한 잠재력을 지닌다. 현재 네덜란드에서 SA에 관한 주요 도전은 아직은 산만하지만 포괄적이고 보다 널리 사용되는 도구로 만드는 것이다.

  • PDF

뇌졸중 환자를 위한 일상생활활동 평가도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Assessment Tools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Stroke Patients)

  • 강재원;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6권2호
    • /
    • pp.11-28
    • /
    • 2017
  •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위한 일상생활활동 평가도구에 관해 체계적 고찰함으로써 임상 및 연구에서 자료로 활용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1년부터 2016년까지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검색하기 위하여 Pubmed, Embase, Cochrane, NDSL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strok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occupational therapy AND assessment OR evaluation OR measurement"를 검색하여 체계적 고찰을 하였다. 평가도구의 종류와 사용빈도를 분석한 후 이에 대한 경향을 파악하였다. 또한 국제 기능 장애 건강 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모델의 분류 기준에 맞추어 활동과 참여에 대한 평가도구를 분류하였다. 결과: 총 111개의 논문이 최종적으로 분석되었으며, 30개의 평가도구가 확인되었다. 최근 들어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게재편수가 증가함에 따라 평가도구의 종류와 사용빈도가 증가하였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평가도구는 기능적 독립성 측정(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바델 지수(Barthel Index; BI)와 캐나다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이었다. ICF 모델의 분류 기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도구는 활동에 대한 평가도구로 참여에 대한 평가도구 수는 매우 적었다. 결론: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평가도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FIM, BI와 같은 특정한 도구가 많이 사용되었다. 앞으로는 평가도구의 특성에 맞춰 적절한 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다양한 평가도구를 사용한 연구가 진행되어 근거기반의 작업치료를 뒷받침 해 주어야 한다. 또한 ICF 모델의 분류 기준 중 참여에 대한 평가도구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