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질적 연구 등

Search Result 1,865,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수학교육학에서의 질적 연구

  • Gye, Yeo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Conference
    • /
    • 2010.04a
    • /
    • pp.219-219
    • /
    • 2010
  • 교육학의 질적 연구는 문헌 연구, 면담 연구, 비참여 관찰 연구, 참여 관찰 연구로 분류한다. 문헌연구에는 내용분석, 철학적 연구, 역사학적 연구, 문학적 비평이 들어가고, 면담연구에는 구술사, 전기, 탐문(探問) 저널리즘 등이 포함되고, 비참여 관찰연구에는 전문적 감정(鑑定), 인간의 종적 특성 연구, 관찰자 연구, 비개입적 행동 연구 등이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참여 관찰연구는 일반적 현장연구, 문화 기술적 연구가 포함된다. 질적 연구는 사람, 사물, 현상의 범주화나 수량화가 가해지기 이전의 상태, 즉 '있는 그대로'의 상태에 최대한 접근하는 방법으로써, 고정관념을 깨고 기존의 이론을 최대한 유보한 채 연구에 임하는 것으로 최근에 발달한 인문사회과학적 연구방법이다. 질적 인식이 자연언어에 주로 의존하는 데 비해 양적 인식은 인공언어에 많이 의존한다. 수식과 도형, 부호등은 대표적인 인공언어이다. 모든 사물이 질과 양의 속성을 다 가지고 있듯이 모든 연구는 질적 과정과 양적 과정을 다 포함하고 있다. 질적이냐, 양적이냐 하는 구분은 연구방법론의 문제인데 연구방법론은 연구논리와 연구기법을 포함한다. 본 연구는 인공언어인 수와 식에만 익숙한 수학교육에서, 질적 연구가 왜 필요한지, 어떤 특성이 있는지 논의함으로써 수학교육의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Some Trends and Issue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문헌정보학 분야의 질적 연구 동향과 과제)

  • Lee, Mye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6 no.2
    • /
    • pp.177-20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LIS. As the philosophy and epistemology of qualitative research are widely different from those of quantitative research, the meaning of validity and reliability must be interpreted in its ow9 structure and dimension. Essentially qualitative researchers seek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world of others from their own viewpoints which basically tend to be subjective. Accordingly, qualitative researchers‘ understandings and interpretations are met with readers' subjectivity. By carefully analyzing the nature of qualitative research in LIS, I tried to point out some problems in term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practical strategies. Six problems issued i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re presented.

  • PDF

A Study about Characteristics of Acid Rainfall and Interpretations of pH influence-Factors in Pusan (부산지역 산성강우의 특성과 pH영향인자에 관한 연구)

  • 황성욱;유수영;조정구;최금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229-230
    • /
    • 2000
  • 산성비에 관한 초기 및 후속강우의 질적인 연구는 전보에서도 보고되었으며, 동아대학교에서는 1993년부터 강우를 초기강우와 후속강우로 나누어 강우의 질적 변화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Harrison(1983)과 Zhao(1988)는 강우성분의 질적 변화와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에 대한 연구를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산성강우의 질적 변화에 대한 연구는 초기강우와 후속강우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며, 한반도 지역 특성상 수송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 대기오염물질의 파악은 산성강우연구와 함께 국가간 환경문제에 있어서 중요한 Data가 된다. (중략)

  • PDF

한국 학술연구의 양적 성장과 질적 성장 간의 괴리 탐색

  • Choe, Y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501-535
    • /
    • 2017
  • 이 연구는 한국 학계가 그간 많은 성장을 일구어 왔음에도 질적 수준에 대해서 지속적인 비판을 받고 있는 현 상황에 의문을 갖고 연구를 시작하였다. 최근 연구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해 연구개발 성과평가 제도가 전면적인 변화를 겪고 있음에도 정작 한국 학술연구의 질적 수준 문제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과학적인 증거를 제시하고자 하는 노력은 지금까지 매우 미흡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한국 연구의 양적 성장과 질적 성장 간의 괴리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가시적인 일면을 제시하기 위하여 한국 연구자가 포함된 모든 SCI 논문을 수집하고 이를 대학, 출연연, 기업, 해외기관, 기타 소속 저자로 구분하여 양적 추세와 피인용횟수 추세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해외기관 소속 저자와 국내기관 소속 저자 간에 유의미한 수준의 피인용횟수 격차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격차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해소되지 않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야별로 격차가 다르게 나타나 생화학 분자생물학이나 신경과학 신경학 등의 분야에서 피인용횟수의 격차가 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한국 공공연구 영역에서 전면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질적 평가체제로의 전환 움직임에 대해서 그 세부적인 설계와 차등 요건의 적절성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 PDF

Analysis on Qualitative Research in the Field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초등 수학교육 관련 연구에서 활용된 질적 연구 방법에 대한 분석)

  • Na, Jang Ham;Kim, Jinho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9 no.1
    • /
    • pp.43-61
    • /
    • 2016
  • This qualitative study investigates how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re applied into educational journals, especially focusing on research articles in the field of mathematics education. Since the mid 90s,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 As a result,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re becoming one of the main research methods in education, quite different from before the mid 90s that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hemselves alone were undispute d research methods. However, such change in research methods also lead to a matter of concern, the rigor and q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In order to identify how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re applied, this study carefully selects an d analyzes 5 article that used qualitative methods and were published by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Journal in 2012. Several leading scholars' ideas and theories of qualitative research are used in the analytical process, with careful attention paid to every detailed element of 5 selected articles. In sum, this study concludes with practical implications for qualitative researchers and discusses future directions for improving qualitative research practice.

연구개발과제의 양적.질적 성과분석지수 개발 : IT핵심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Yu, Seung-Hun;Lee, Jong-Sik;Kim, Sang-Tae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9.02a
    • /
    • pp.413-433
    • /
    • 2009
  • 질적인 측면을 충분히 감안하지 못한 양적 성과분석은 연구개발 과제의 성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양적 성과와 질적 성과를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종합적인 성과분석지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성분 분석과 동일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특허 출원 건수, SCI 게재논문 건수, 기술이전 건수라는 3가지 양적 성과지표와 이에 대응되는 특허 심사청구 항수, 논문게재 학술지의 IT, 총 연구비 대비기술료 비중의 3가지 질적 성과지표를 성과지표로 고려하면서 성과분석지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주성분 분석의 적용 결과 특허 출원 건수(0.2160), SCI 논문게재 건수(0.1510), 기술이전 건수(0.1564), 특허 심사청구 항수(0.2257), 논문게재 학술지의 IF(0.2218), 기술료 비중(0.0291)의 가중치를 얻을 수 있었다. 이 6가지 평가지표는 종합평가지수라는 하나의 틀로 결합되어 개별 과제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양적 성과지표와 질적 성과지표로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다. 가중치 결정 방법에 따라 평가결과가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지만, 가중치 결정 방법과 상관없이 양적 성과지표 평가결과와 질적 성과지표 평가결과는 크게 달랐다.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과제평가등급과의 상관관계를 따져보았더니 질적 성과지표와 과제등급과의 상관관계가 양적 성과지표와 과제등급과의 상관관계보다 더 크다는 것이다. 따라서 성과분석에 있어서 질적 성과지표를 반영한 질적 성과분석이 반드시 수행될 필요가 있다. 앞으로 특허 인용도 등 보다 다양한 질적 변수를 확보하여 성과분석지수를 보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An exploratory study on reviewing journal articles of qualitative studie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in Korea (국내 사회복지질적연구논문 심사의 발전적 방향에 관한 탐색)

  • Chong, Hye-suk;Shim, Woocha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8 no.1
    • /
    • pp.55-89
    • /
    • 2017
  • This study suggests future directions or approaches as to how we should appraise qualitative studies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this topic written in English and published outside of Korea. This study explored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f qualitative researchers in Korea by conducting a focus group discussion on this topic. Results of this focus group discussion indicated that qualitative researchers often face manuscript reviewers who are overly biased with quantitative paradigm which result in feeling of frustration. They also shared feeling burdened and confused as reviewers due to their own lack of training and preparedness in reviewing qualitative articles. However, participants also stressed the feeling of gratitude and being rewarded because of the experience of mutual growth and partnership with peer qualitative researchers as they strive towards improving the quality and completion of peer researchers' work. Previous studies on this topic included wide range of issues concerning qualitative research appraisal from reflections on the experiences as submitters and reviewers of qualitative studies to academic conceptual papers that discussed researchers' dilemma on research paradigms and qualitative research appraising methods. This study ends with sugges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s for qualitative researchers in Korea.

Understanding Qualitative Research as Bricolage (브리콜라주로서 질적 연구의 이해)

  • Hur, Chang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2
    • /
    • pp.278-287
    • /
    • 2017
  • As a background for qualitative research, the concept of bricolage is very common in the North America. As a movement of art area, because, it has characteristics of criticality and existence which is very close to the definitions of qualitative research. However, regardless of recent rapid wide-spread of qualitative research with the world trend of research methodology, it is very unusual that scholars are rarely discussing on the concept of bricolage in South Korea. In literature review, scholars conceptualize bricolage in literature, art, and so on except qualitative research field. Thus, I realize that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concept of bricolage in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it, scholars will understand more about the definition of qualitative research. Accordingly, I try to prove the thesis 'qualitative research is bricolage' in this article. In conclusion, scholars commonly define qualitative research to involve the meanings of 'reflection', 'understanding',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and illustrate also the concepts of bricolage in a praxis of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with getting together of rigorousness, complexity, and criticality. I realize that these notions are very close to each other in this study.

An Analysis on Qualitative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Focusing on increasing validity in qualitative research (수학교육에서의 질적연구법 활용에 대한 분석: 연구결과의 타당성 증진 방안을 중심으로)

  • Na, Jangham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35 no.2
    • /
    • pp.137-152
    • /
    • 2021
  • Qualitative research has become a growing area of interest among the Korean educational researchers for the last two decades. As a consequence, the number of studies based on qualitative methods has rapidly increased while the q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has not gained much credit among scholars in Korea. This study explores to current practice of qualitative approaches in mathematics education-related studies.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also seeks ways to improve the validity and trustworthiness of qualitative approaches, and to present implications for the practical practice of qualitative approaches in mathematics education. To this end, a general trend was investigated by conducting a basic analysis of 13 papers that used qualitative approaches and published i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from 2019 to 2020. Of the 13 papers. Through the basic analysis, 6 out of 13 papers were selected as the object of qualitative text analysis. The result of this qualitative text analysis discusses issues related to the validity and trustworthiness of qualitative research in a detailed manner.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qualitative text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key points to keep in mind when applying qualitative approaches in the field of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future.

Qualitative Analysis on Mixed Research in the field of Mathematics for Elementary Students (초등 수학교육 관련 혼합 연구에서 적용된 질적 연구 방법에 대한 분석)

  • Na, Jang Ham;Kim, Jinho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9 no.1
    • /
    • pp.47-6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qualitative research is applied to mixed method research and thereby to gain an insight to suggest reasonable ways of employing qualitative method in order to accomplish intended goal of research, especially in the field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that purpose, this study carefully selects and analyzes 5 article that used mixed method and were published by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Journal in 2012. Unlike those a few previous studied on mixed method that focused on producing general trend by simply showing quantitative information on what the frequence of used research topic, content, methods combination, quantitative methods, and qualitative methods, this study provides detailed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n mixed studies. In sum, this study concludes with practical and in-depth suggestions on how to improve validity of mixed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in the field of mathematic of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