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질소이온주입 강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유도 결합형 플라즈마내의 이온 존재비율 측정에 관한 연구

  • 조정희;한승희;이연희;김영우;임현의;서무진;김곤호;김옥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219-219
    • /
    • 1999
  • 플라즈마 이온 주입은 진공 chamber 내에 주입하려는 이온이 포함된 플라즈마를 발생시킨 후 처리하고자 하는 시편에 negative high voltage pulse를 인가함으로써 시편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이온들을 시편에 주입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플라즈마 이온 주입 방법은 금속의 내마모성, 내부식성, 강도 및 경도를 증가시키고, 고분자 화합물의 표면 개질에 있어서 친수성 또는 소수성과 같은 표면 처리를 쉽고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반도체 공정의 shallow junction doping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특히, 대면적의 시편에 균일하게 이온을 주입할 수 있다. 플라즈마 이온 주입 방법에서 중요한 요소는 dose, 즉 이온 주입한 양과 처리하려는 시편에 주입되는 이온의 에너지이다. 여기서, 플라즈마내에 생성된 이온들의 비율을 정확히 안다면 시편에 주입되는 이온의 양과 주입되는 이온의 에너지를 충분히 예견할 수 있다. 질소 플라즈마의 경우에는 N+와 N2+가 생성되므로, 시편에 주입된 질소 이온의 실질적인 이온당 질소 원자수는 1$\times$N+% + 2$\times$N+%가 되고, N2+의 경우는 N+ 주입 에너지의 1/2 로 시편내에 주입되게 된다. 또한 질소 플라즈마의 경우 N2+ 이온이 상대적으로 N+이온보다 많다면 N+가 많은 경우보다 이온 주입 깊이는 얕아지게 된다. 본 실험에서는 Dycor M-100 residual gas analyzer와 potical emission spectrometer (Ocean Optics SQ 2000)를 사용하여 압력과 RF power를 변화시키며 플라즈마내에 생성되어지는 질소 이온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Langmuir probe를 이용하여 속도차에 의한 각 이온들의 존재비율을 계산하였다. 여기에서 질소 가스의 압력이 낮을수록 N+보다 N2+의 존재비율이 높음을 보였다. 이것은 압력이 낮은 영역에서 일반적으로 전자의 평균온도가 높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 PDF

The study on the change of wear resistance of STD11 steel by nitrogen implantation (질소이온 주입에 의한 STD 11강의 내마모 특성변화에 관한 연구)

  • Han, Jeon G.;Song, Keun;Park, Jin Y.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3 no.4
    • /
    • pp.449-456
    • /
    • 1994
  • 산업용 주요 냉간금형 소재인 STD 11 강에 질소이온주입하여 이온조입조거에 따른 질화물형성 거동, 경도 및 내마모성 변화에 관해 연구하였다. XRD분석결과 90keV 에너지로 5$\times$1017 ions/cm2 조사 량 이상에서 Fe2N형태의 질화물이 형성되었으며 3$\times$1016 ions/cm2 범위의 모든 조사량에서 경도 및 조 사량에서 경도 및 내마모성 향상효과를 얻었다. Al2O3와의 ball-on-disc 마모거동 분석결과 STD 11모재 는 응착마모와 산화마모의 혼합형태로 마모되는 반면 질소이온주입한 경우 산화마모 경향이 강하게 나 타났다.

  • PDF

A Study on Effect of Nitrogen Ion Implantation on Improvement of Surface Properties of Tool Steel (금형공구강의 표면성질 향상에 미치는 질소이온주입의 효과에 관한 연구)

  • Kim, Hwa-Jeong;Kim, Yohng-J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Process Engineers
    • /
    • v.7 no.4
    • /
    • pp.3-9
    • /
    • 2008
  • The ion implantation technology is generally used in order to improve surface mechanical properties, especially tribological properties, of engineering metals. In this study, experimental work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urface properties, such as hardness, wear quantity, wear rate and friction force, of a nitrogen ion implanted tool steel STD11 under dry condition. Specimens for the wear test were mad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the initial ion implantation temperature and the total ion radiation. Wear properties, such as the wear quantity and the wear rate, of the nitrogen ion implanted tool steel were considerably improved, especially under the low sliding speed and the low applied load.

  • PDF

Surface Modification of Aluminum by Nitrogen ion Implantation (질소이온주입에 의한 알루미늄의 표면개질특성)

  • Kang Hyuk Jin;Ahn Sung Hoon;Lee Jae-Sang;Lee Jae Hyung;Kim Kyong G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22 no.12 s.177
    • /
    • pp.124-130
    • /
    • 2005
  • The research on surface modification technology has been advanced to improve the properties of engineering materials. ion implantation is a novel surface modification technology to enhance the mechanical, chem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substrate's surface using accelerated ions. In this research, nitrogen ions were implanted into aluminum substrates which would be used for mold of rubber materials. The composition of nitrogen ion implanted aluminum alloy and nitrogen ion distribution profile were analyzed by Auger Electron Spectroscopy (AES). To analyze the modified surface, properties such as hardness, friction coefficient, wear resistance, contact angle, and surface roughness were measured. Hardness of ion implanted specimens was higher than that of untreated specimens. Friction coefficient was reduced, and wear resistance was improve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can be expected that ion implantation of nitrogen enhances the surface properties of aluminum mold.

Surface modification of Aluminum for mold by nitrogen ion implantation (질소이온주입에 의한 금형용 알루미늄의 표면개질특성)

  • 강혁진;안성훈;김경동;이재상;이재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10a
    • /
    • pp.254-259
    • /
    • 2004
  • The research on surface modification technology has been advanced to change the properties of engineering material. Ion implantation is a novel surface modification technology to enhance the mechanical, chemical and electronic properties of mechanical parts. In this research, nitrogen ions are implanted into aluminum for mold to improve endurance and life span. To analyze modification of surface properties, micro hardness, friction coefficient, wear resistance, contact angle, and surface roughness were measured. Hardness of ion implanted specimens was higher than untreated specimen and friction coefficient was also improved. In this experiment, it can be expected that nitrogen ion implantation can contribute to enhanc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material and ion implantation technology may also be applied to other materials.

  • PDF

Wear Corrosion Behaviour of Nitrogen Ion Implanted Super Stainless Steel (질소이온주입된 초내식성 스테인리스강의 마모부식 특성)

  • Kang, Sun-Hwa;Kim, Cheol-Sang
    • Proceedings of the KOSOMBE Conference
    • /
    • v.1994 no.12
    • /
    • pp.175-177
    • /
    • 1994
  • The wear corrosion behaviour of a nitrogen ion implanted super stainless steel (S.S.S, 22Cr - 20Ni - 6Mo - 0.25N) was compared with those of S.S.S, 316L SS and TiN coated 316L SS. The Cr and Ni amounts won out from the materials were investigated using an electrothermal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We observed that the Cr dissolution rate of the S.S.S was similar to that of 316L SS, however, the Ni release of the S.S.S was feater than 316L SS. The metal ions released from the nitrogen ion implanted S.S.S surface were significantly reduced. The wear corrosion behaviour of the stainless steels was not correlated with the results shown by a static metal ion release test.

  • PDF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 강의 신속질화 기술 개발

  • Park, Hyeon-Jun;Mun, Gyeong-Il;Park, Jo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282-282
    • /
    • 2012
  • 일반 금속은 부식에 약하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스테인레스 스틸은 내식성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고크로뮴을 포함한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 스틸은 일반적으로 엔지니어링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 스틸은 낮은 표면 경도와 지지용량으로 인해 내마모특성이 필요한 제품에는 사용이 미약한 수준이다. 현재 이러한 내마모특성을 높이기위해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 스틸은 이온질화와 이온주입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표면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진공 하에서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시편에 질화층과 Nitrogen Supersaturated Austenite층(S-phase)을 형성하여 경도와 인성을 향상시키고, 형성된 S-phase층의 두께에 따른 내식성, 내열성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스테인레스 계열 시편의 질화시 나타나는 CrN층과 비교하였다. 특성 확인을 위한 시편은 약 $400{\sim}500^{\circ}C$ 사이의 공정온도로 질소와 수소가스를 혼합하여 플라즈마를 형성하고 약 4시간동안의 공정을 통해 제작하였다. 제작된 시편의 경도와 조직, S-phase층의 두께를 분석하고 CrN층의 형성여부를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공정압력과 가스비의 변화에 따른 실험을 진행하여 질화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PDF

Surface Properties of Plasma Nitrogen Ion Implanted Stainless Steel (플라즈마 질소 이온주입한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레스 강의 표면특성)

  • Kim, G.H.;Nikiforov, S.A.;Lee, H.S.;Rim, G.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07e
    • /
    • pp.2253-2255
    • /
    • 1999
  • Plasma source ion implantation (PSII) is a non-line-of-sight technique for surface modification of materials which is effective for non-planar targets. Properties such as hardness, corrosion resistance, wear resistance and friction can be improved without affecting the bulk properties of the material. Type 304 austenitic stainless steel was treated by nitrogen plasma ion implantation at a target bias of -50kV. Surface properties, including microhardness and ion depth profile, were studied.

  • PDF

Influence of Phase Evolution and Texture on the Corrosion Resistance of Nitrogen Ion Implanted STS 316L Stainless Steel (질소 이온이 주입된 STS 316L 스테인리스 강에서의 상변화와 집합조직이 내식성에 미치는 영향)

  • Jun, Shinhee;Kong, Young-Min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25 no.6
    • /
    • pp.293-299
    • /
    • 2015
  • In this study, nitrogen ions were implanted into STS 316L austenitic stainless steel by plasma immersion ion implantation (PIII) to improve the corrosion resistance. The implantation of nitrogen ions was performed with bias voltages of -5, -10, -15, and -20 kV. The implantation time was 240 min and the implantation temperature was kept at room temperature. With nitrogen implantation, the corrosion resistance of 316 L improved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bare steel. The effects of nitrogen ion implantation on the electrochemical corrosion behavior of the specimen were investigated by the potentiodynamic polarization test, which was conducted in a 0.5 M $H_2SO_4$ solution at $70^{\circ}C$. The phase evolution and texture caused by the nitrogen ion implantation were analyzed by an X-ray diffractometer.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samples implanted at lower bias voltages, i.e., 5 kV and 10 kV, showed an expanded austenite phase, ${\gamma}_N$, and strong (111) texture morphology. Those samples exhibited a better corrosion resistance.

Biosorption of Cadmium by a Methanotrophs Exopolysaccharide (메탄산화세균의 EPS를 이용한 Cd의 생물흡착)

  • Lee, Hee-Ja;Kim, Kwang-Soo;Cho, Y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415-1419
    • /
    • 2006
  • 메탄을 탄소원 및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메탄산화균은 물질대사과정 중에 다량의 세포외 고분자물질인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EPS)를 생성하는데, EPS는 카르복실기와 같은 표면흡착 기능을 가지고 있어 생체흡착제로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메탄산화세균을 이용하여 중금속인 Cd의 흡착성능을 파악하여 활성슬러지의 흡착능과 비교하고, EPS 농도별, pH별 흡착량의 변화를 실험한 후 Freundlich 흡착모델식에 적용하여 흡착공정의 기본적인 설계인자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메탄산화세균은 매립지 복토층 상부 토양에서 분리하여 실험실에서 대량으로 배양하였으며, EPS 생성을 위해 메탄을 Head space의 20%를 주입하고 $30^{\circ}C$, 150rpm에서 질소원이 부족한 조건으로 48hr 동안 배양하였다. Cd의 흡착실험은 용액의 pH를 3에서 8까지 변화를 주면서 활성슬러지와 메탄산화세균의 시간별 흡착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중금속의 농도별 흡착능을 측정하여 흡착평형 상수를 파악하였으며, 중금속 흡착 전, 후 미생물의 SEM 촬영, FT-IR 분석, 전자현미분석(EPMA)을 통하여 무기성분 분석 및 표면관찰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메탄산화세균에 의해 생성된 EPS 물질은 중금속에 대한 강한 결합능력이 있으며, Cd에 대한 최고 흡착능은 26mg Cd(Ⅱ)/g VSS의 값을 보였다. 이러한 미생물의 EPS의 흡착능은 pH와 칼슘이온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메탄산화세균의 FT-IR 분석결과 EPS에는 sulfate ester, pyruvate 등과 같은 작용기와 amino sugar, carboxyl 작용기들이 많이 존재하여 활성슬러지에 비해 중금속의 흡착능이 높은 것으로 사료되었다.X>${\mu}_{max,A}$는 최대암모니아 섭취률을 이용하여 구한 결과 $0.65d^{-1}$로 나타났다.EX>$60%{\sim}87%$가 수심 10m 이내에 분포하였고, 녹조강과 남조강이 우점하는 하절기에는 5m 이내에 주로 분포하였다. 취수탑 지점의 수심이 연중 $25{\sim}35m$를 유지하는 H호의 경우 간헐식 폭기장치를 가동하는 기간은 물론 그 외 기간에도 취수구의 심도를 표층 10m 이하로 유지 할 경우 전체 조류 유입량을 60% 이상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N, 항목에서 보 상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철거되지 않은 검전보나 안양대교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