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질문지

검색결과 1,313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형 축구선수 정신력요인에 대한 귀납적 내용분석 (Inductive Content Analysis of Mental Toughness Factors of Korean Football Players)

  • 유하나;최재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66-176
    • /
    • 2022
  • 본 연구는 축구선수와 지도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축구선수 정신력의 구성개념을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대한축구협회에 소속되어있는 축구선수 100명과 축구지도자 자격증 취득 교육연수회에 참여하는 축구지도자 10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를 배포하여 귀납적 내용분석을 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형의 축구선수 정신력의 귀납적 내용분석 결과, 451개의 원자료에서 세부영역은 11개, 일반영역은 6개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일반영역 요인은 깡다구, 정신무장, 초월, 혼연일체, 평정심, 집중력으로 나타났다. 둘째, 축구선수와 지도자에 따른 한국형 축구선수 정신력에 대한 결과에는 선수와 지도자 모두 가장 높은 요인으로 깡다구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높은 요인은 선수는 정신무장, 지도자는 혼연일체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축구선수들과 지도자들에게 경기력 향상에 기여하는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며 한국형 축구선수 정신력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비의료직 병원 종사자들의 감정노동과 신체증상 및 불면증 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omatic Symptoms and Insomnia in Non-Medical Hospital Workers)

  • 이정민;장기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85-19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비의료직 병원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신체증상 및 불면증 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이들의 감정노동과 건강문제에서 위험을 예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급종합병원 비의료직 종사자 533명에게 한국형 감정노동 평가척도, 신체증상 질문지, 불면증 심각도 질문지, 우울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감정노동 하위요인 중에서 감정 부조화가 우울, 신체증상, 불면증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른 하위요인들은 영향이 없거나 그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2. 감정부조화와 신체증상 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3. 감정부조화와 불면증 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비의료직 병원 종사자의 감정노동 및 건강문제에 감정부조화와 우울을 다률 필요성을 제언한다.

화학 평형 이동시 반응 속도 변화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이해 조사 (Identific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n the Reaction Rate Change During Chemical Equilibrium Shift)

  • 박종윤;유현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65-37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세트화 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화학 평형 이 동시 반응 속도 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정도를 조사하고, 반응 속도의 기본 개념에 대한 질문이 화학 평 형 이동시의 반응 속도 변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지를 조사하였다. 질문지는 A, B, A' 세 개의 세트로 구 성하였으며, A, B, A' 순서대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A세트는 화학 평형 이동시의 반응 속도 변화에 대한 문항, B세 트는 반응 속도의 기본 개념에 대한 문항으로 되어 있으며, A'세트는 A세트와 동일한 문항으로 되어 있다. 학 생들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화학 평형 이동시 반응 속도 변화에 대해 정반응 속도 변화보다 역반응 속도 변 화에 대한 이해가 낮았다. 그리고 평형에서 농도 변화에 따른 반응 속도 변화에 대한 이해는 어느 정도 되어 있으나 온도 변화에 따른 반응 속도 변화에 대한 이해도는 아주 낮았다. 그러나 반응 속도 기본 개념에 대한 정답률은 아주 높아 평형 이동시 반응 속도 변화에 대한 낮은 이해도는 반응 속도에 대한 기본 개념이 부족 한 것이 아니라 이를 화학 평형 이동에 제대로 연계시키지 못한 결과로 생각된다. A세트와 A'세트의 정답률 을 비교한 결과 A'세트의 정답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나 B세트의 문항이 A'세트의 문항 해결 에 도움이 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세트화 된 질문지가 학생들의 개념 연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한국어판 아동용 간편 5요인 성격질문지(K-BFQC-SF) 타당화 연구 (Validation of Korean short version of the Big Five Questionnaire for children)

  • 김복환;김지현
    • 초등상담연구
    • /
    • 제11권3호
    • /
    • pp.371-390
    • /
    • 2012
  • 본 연구는 아동의 5요인 성격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Big Five Questionnaire for Children(BFQ-C; Barbaranelli, Caprara. Rabasca, & Pastoreli, 2003)에 기초하여 학교장면에서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는 한국어판 아동용 간편 5요인 성격질문지(K-BFQC-SF)를 구성하고, 이 질문지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영문 BFQ-C 65문항을 번안하여 초등학교 5, 6학년 278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일부 문항의 제거 과정을 거쳐 성격 5요인의 구성 개념을 포괄할 수 있는 15문항의 간편형 5요인 성격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축약된 15문항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한국어판 아동용 간편 5요인 성격질문지의 준거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 252명을 대상으로 우울, 학업성적, 진로성숙도와의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15문항의 간편형 척도와 준거변인들간의 관계는 기존에 보고된 연구 결과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자기보고와 성인관찰자인 교사의 평정자료가 서로 일치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한국어판 아동용 간편 5요인 성격질문지는 학교장면에서 학생들의 성격특성을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확장된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를 활용한 질문-답변 커뮤니티의 질문 분류 (Modified Na$\ddot{i}$ve Bayes Classifier for Categorizing Questions in Question-Answering Community)

  • 연종흠;심준호;이상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1호
    • /
    • pp.95-99
    • /
    • 2010
  • 소셜 미디어(social media)는 블로그, 소셜 네트워크, 위키 등과 같이 사용자의 참여로 만들어지는 정보 컨텐츠이다. 사용자가 작성한 질문에 다른 사용자들이 답변을하는 질문-답변 커뮤니티 서비스도 이러한 소셜 미디어의 한 가지로서 지난 몇 년간 많은 양의 정보를 축적해왔다. 하지만 축적된 질문-답변의 양이 많아질수록 이전의 질문을 정확히 검색하는 것은 점점 어려운 작업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질문-답변 커뮤니티의 효율적인 정보 검색을 위해 확장된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Na$\ddot{i}$ve Bayes classifier)를 이용하여 질문을 그 목적에 따라 정보형, 제안형, 의견형으로 자동 분류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정확한 분류를 위해 분류기는 질문-답변 문서의 구조적인 특징을 활용한다. 실제 질문-답변 커뮤니티의 질문들에 대해 실험을 수행한 결과 71.2%의 분류 정확도를 보였다.

부모의 양육 통제와 아동의 정서적 결과에 대한 비교 문화 연구 (Examining Cultural Differences in Parental Control and Child's Emotional Outcome)

  • 남은영
    • 아동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3
    • /
    • 2008
  • 이 연구는 한국계 이민자 가정과 백인가정 사이의 부모의 행동적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정서적 행복감에 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미국 시애틀 지역의 8에서 9세 사이의 자녀를 둔 31한국계 가정과 31백인 가정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각 각의 부모들과 자녀들에게 질문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Acceptance/rejection and control 질문지 결과는 한국계 이민자 가정의 아버지들이 백인 아버지들보다 자녀들에게 전반적으로 더 많은 통제와 공격적 양육태도를 보여주었다. Child Regulation Index결과, 한국계 어머니들도 자녀들에게 더 많은 행동조절 지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아동들의 심리내적인 정서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Reynolds child depression scale에서 한국계 이민자 가정 아동들이 백인 부모의 자녀들보다 자기 자신에 대해 덜 행복하게 느끼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특히 전체적으로 어머니들의 통제가 아동의 심리내적 정서와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부모의 심리적 행동적 통제와 아동의 정서적 행복감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생물학과 자연모사

  • 정길상;이은옥
    • 기계저널
    • /
    • 제56권12호
    • /
    • pp.37-41
    • /
    • 2016
  • 인간의 삶은 자연에서 온다. 이 자연을 어떻게 이용하느냐는 자원 잉여의 시대를 지나 자원 고갈의 시대에 접어든 우리에게 근원적인 질문이다. 이 질문에 대하여 오랜 진화의 산물인 생명체의 효율적인 삶의 방식에서 답을 찾고자 한다.

  • PDF

퍼텐셜 에너지 곡선에 대한 예비 화학 교사들의 이해 조사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Potential Energy Curve)

  • 박종윤;김은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59권6호
    • /
    • pp.508-51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개념 질문지를 사용하여 퍼텐셜 에너지 곡선에 대한 예비 화학 교사들의 이해 정도를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은 화학교육을 전공하는 사범대학 3학년 학생 24명, 4학년 학생 26명으로 총 50명이었다. 개념 질문지는 구슬 두 개의 거리에 따른 퍼텐셜 에너지 변화 곡선을 주고 상상실험을 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질문지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예비 화학 교사들은 퍼텐셜 에너지나 전체 역학적 에너지가 음의 값을 가지는 것을 받아들이기 어려워하였다. 또한 역학적 에너지 보존은 대부분 알고 있었으나 이를 상상실험의 조건에 제대로 적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구슬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은 대체로 알고 있었으나, 초기 위치에서 구슬이 이동하여 퍼텐셜 에너지가 가장 낮은 우물 바닥에서 정지할 것이라는 응답이 상당히 많았다. 또한 퍼텐셜 에너지 곡선과 관련지어 화학 결합, 기체의 액화, 분자의 진동 운동에 대한 이해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서두름 행동과 A형 행동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asteful Behavior and Type A Behavior)

  • 박선진;이순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8권2호
    • /
    • pp.153-167
    • /
    • 2012
  • 본 연구는 서두름 행동의 5요인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서두름 행동과 A형 행동의 관계를 바탕으로 서두름 행동의 5요인의 특성을 밝히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 59세 이하 성인 207명이 서두름 행동 질문지와 A형 행동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A형 행동 질문지는 A형 행동 및 성격을 측정하는 기존 문항을 바탕으로 총 136개 문항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요인분석을 통해 6개 요인으로 이루어진 29개 문항으로 축소되었다. A형 행동의 구성요인으로 성공추구, 인내부족, 실패불안, 과제몰입, 활동성, 민첩성이 나타났다. 서두름 행동요인분석 결과, 서두름 행동은 기존 연구와 동일한 5가지 요인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서두름 행동과 A형 행동의 상관분석 결과, 시간압력에서 나타나는 서두름 행동은 성공추구, 실패불안, 과제몰입, 민첩성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불편함에서 나타나는 서두름 행동과 고립에서 나타나는 서두름 행동은 인내심부족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지루함에서 나타나는 서두름 행동은 성공추구와 활동성 및 민첩성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보상기대에서 나타나는 서두름 행동은 성공추구, 인내부족, 실패불안, 민첩성과 정적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