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질문지

검색결과 1,313건 처리시간 0.033초

사이버 공간에서의 문헌.정보학 질문지 회수 (Collection of the Questionnaire Response in the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in Cyberspace)

  • 전명숙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0년도 제7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9-222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을 통하여 질문지를 배포하고 회수하는 실험을 한 결과 현시점에서는 사이버 공간에서 게시판에 질문지를 올리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고, 질문지를 배포하는데는 사서나 아르바이트 학생 등 다른 사람들의 적극적인 도움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질문지 회수율이 매우 낮았다. 전자우편으로 질문지를 회수하더라도 일단 프린트하여 종이자료로 처리하게 되므로 자료처지과정은 기존의 종이질문지와 차이가 없었다.

  • PDF

2, 3세 유아의 사회 정서 문제 조기발견: ASQ:SE 선별 평가서의 표준화 연구 (Early Identification of 2- and 3-Year-Old Children for Social and Emotional Problems: A Preliminary Study of the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 Social-Emotional (ASQ:SE))

  • 허계형
    • 아동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23-141
    • /
    • 2000
  • 본 연구 논문은 영 유아를 대상으로 한 사회 정서 문제의 선별 평가서인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 Social-Emotional (ASQ:SE)의 표준화(신뢰도 및 타당도)연구이다. 특히, ASQ:SE 질문지 가운데에서도 24개월과 36개월용을 이용하여 ASQ:SE 의 내적 일치도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재검사 신뢰도 (test-retest reliability), 절선 점수 (cutoff points), 공인 타당도 (concurrent validity)에 대해 연구하였다. 전체 447명의 부모가 참여한 가운데, 237명은 24개월용 질문지를 작성했고, 210명은 36개월용 질문지를 작성했다. 내적 일치도는 24개월 질문지에서 71, 36개월 질문지에서는 .73이었다. 재검사 신뢰도는 24 개월 질문지에서 100%, 36개월 질문지에서 97%이었다. 마지막으로 공인 타당도는 24개월과 36개월 설문지에서 95%이었다. 끝으로, 추후 다양한 대상으로 연구될 것이 추천되며 또한 이 연구에서 제외되어졌던 연령의 ASQ:SE 질문지의 내적 일치도, 신뢰도 및 타당도가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 PDF

한국어판 다차원적 체험회피 질문지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Korean translated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Questionnaire)

  • 정지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517-526
    • /
    • 2018
  • 본 연구는 $G{\acute{a}}mez$, Chmielewski, Kotov, Ruggero와 Watson이 개발한 다차원적 체험회피 질문지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학생 285명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체험회피 질문지를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6개 요인, 50문항이 확인되었다. 50문항 전체의 내적 합치도 계수는 .91이었다. 대학생 315명에게 다차원적 체험회피 질문지를 실시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6개 요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275명에게 수용 행동 질문지II, 사고억제 질문지, Toronto 감정표현 불능증 척도, 신경증, 회피적 대처, 한국판 CES-D, 한국판 Beck 불안 척도, 한국판 심리적 안녕감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를 함께 실시하여 다차원적 체험회피와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다차원적 체험회피 질문지는 수렴, 변별, 준거타당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중학생의 과학영역 성취정서 질문지(AEQ-KMS) 개발과 타당화 (Development and Construct Validation of the 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Korean Middle school Science(AEQ-KMS))

  • 전지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745-75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중학생들이 과학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성취정서를 측정하기 위한 질문지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국 중학생의 과학영역 성취정서 질문지는 영어판 성취정서 질문지를 바탕으로 중학교 교과 운영 특성 및 과학 학습의 특징을 반영하여 개발되었다. 총 232문항으로 3가지 학업상황에서 9개의 과학 영역 성취정서를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통제-가치 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다. 검증 결과,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성취정서의 4가지 구성요인 체계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CFA) 결과, 질문지의 각 문항이 성취정서의 구성 요인을 대표하는 지표로서 적절히 구성되어 있었으며 구조적으로 타당하였다. 또한 질문지를 통하여 측정되는 성취정서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같은 상황에서 경험하는 각각의 정서 및 서로 다른 상황에서 경험하는 동일한 정서가 서로 적절히 변별 되었다. 성취정서와 학업상황 사이의 잠재적 관계에 대한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에서도 질문지의 내적 구조와 동일하게 3가지 학업상황 및 9가지 성취정서가 잠재변수로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외적 타당도 검증은 통제-가치 평가, 학습 전략, 성취동기, 과학 성적 등을 준거 변인으로 하여 실시하였으며 검증 결과, 충분한 외적 타당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질문지의 개발을 통해 중학교 과학 교과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성취정서를 이해하는 기본 발판이 마련되었음을 시사한다.

이러닝 수업에서의 한국 중학생 과학영역 성취정서 질문지(e-AEQ-KMS) 개발과 타당화 (Development and Construct Validation of the e-learning 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Korean Middle school Science(e-AEQ-KMS))

  • 전지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03-514
    • /
    • 2020
  • 성취 정서가 학생들의 성취 활동 및 결과와 직접으로 연관된 정서라는 점에서, 코로나 19로 인한 이러닝 수업의 확대와 같은 급격한 교육환경의 변화는 필연적으로 학생들의 성취 정서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며, 이러닝 수업환경에서 학생들의 성취 정서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질문지의 개발은 관련 연구의 바탕이 될 수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수업에서의 한국 중학생 과학영역 성취 정서 질문지(e-AEQ-KMS)를 타당화 과정을 거쳐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e-AEQ-KMS는 한국 중학생의 과학영역 성취 정서 질문지(AEQ-KMS)을 바탕으로 이러닝 과학 수업의 특징을 반영하여 개발되었다. 수업상황, 학습상황, 시험상황 등의 3가지 학업 상황에서 즐거움, 희망, 자부심, 안도감, 화, 불안, 지루함, 절망감, 수치심 등의 9가지 성취 정서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총 226문항이다. 내적, 외적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질문지를 구성하는 각 문항은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4가지 구성요인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CFA)결과, 성취 정서가 정의적, 인지적, 동기적, 생리적이라고 하는 4개의 구성요인으로 이루어졌다고 가정한 모형이 그렇지 않다고 가정한 모형보다 더 타당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성취 정서 사이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각각의 성취 정서가 잘 변별됨을 확인하였고, 3가지 학업 상황 및 9가지 성취 정서의 잠재적 관계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CFA)결과, 질문지에 반영된 모형이 가장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통제-가치평가, 학습전략, 성취목표, 과학성적을 준거 변인으로 한 외적 타당도 검증 결과, 모든 준거 변인에 대하여 선행 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충분한 외적 타당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이러닝 수업에서 한국 중학생들의 과학영역 성취 정서를 정량적으로 비교분석할 수 있는 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에 따른 OPAC 탐색 성향과 만족도 (Influences of Enneagram Personality Types on OPAC Searching and Satisfaction)

  • 정영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69-18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의 인지적 특성 중 하나인 성격 유형과 OPAC 탐색 과정에서 나타나는 이용자의 정보 탐색 성향 및 만족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대상자들을 대상으로 KEPTI 에니어그램 검사를 통해 성격 유형을 파악하였고, 데이터는 실험-전 질문지, 태스크A 질문지, 태스크B 질문지, 그리고 실험-후 질문지로 수집되었다. 분석결과, 에니어그램의 힘의 중심에 의한 집단 간에는 탐색의 용이성, 탐색시간, 탐색시간의 충분성, 탐색결과의 유용성, 탐색과정의 쉬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호니비언 집단 간에는 질의에 대한 친숙성과 흥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기후변화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선 개념 연구 (High School Students' Preconception about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Climate Change)

  • 한신;정진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2호
    • /
    • pp.430-442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의 원인과 결과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선 개념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질문지를 이용하여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고등학생 196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질문지는 개방형 질문 1개 문항과 선택형 질문 6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방형 질문지는 기후변화의 원인과 정의, 기후변화에 의한 영향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였다. 선택형 질문은 온실효과의 주요 원인 기체, 인간 활동에서 기후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소, 기후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산업 활동, 기후 변화가 초래하는 영향, 기후변화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된 경로들로 구성되어 있다. 질문지의 선 개념을 확인한 후, 무작위로 10명의 학생들과 반구조화된 면담 수행하여 선 개념을 심층적으로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오존 파괴, 지구 온난화, 온실효과의 인과 관계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선 개념은 학생들의 오 개념 형성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행동활성화 및 행동억제 체계에 대한 뇌전도와 뇌자도 신호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EG and MEG signals in BAS/BIS)

  • 장승진;신명근;류권규;권혁찬;김원식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1-72
    • /
    • 2009
  • 행동활성화체계(BAS)/ 행동억제체계(BIS)는 서로 독립적이고 구분되는 신경 기저와 작용 방식을 가졌기 때문에 사람들은 이 두 체계에서 각기 독립적인 민감성을 보이리라고 가정할 수 있으며, 개인의 기질이나 성격 특성 및 광범위한 전반적 정서 경험 경향성과도 밀접하게 관련된다고 가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뇌자도(MEG)에서 취득한 신호를 가지고 EEG에서 얻은 신호 및 자기 보고식 질문지를 통한 비교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9명 (male=6, female=3)을 대상으로 EEG/MEG를 수행한 후 BIS/BAS 질문지를 수행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자기 보고식 질문지와 EEG/MEG와의 상관관계 및 통계분석을 통하여 EEG와 MEG에서 일치성 및 상관성을 살펴보고 향후 성격 및 감성성향 판단 및 분류에 있어서 MEG의 효용성 측면을 살펴보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PDF

그룹시간에 있어서의 한국 유치원 교사들의 질문양식과 유치원 아동들의 반응양식에 관한 연구 (Korean Kindergarten Teachers' Verbal Questions and Children's Verbal Responses during Group Time)

  • 윤혜진
    • 아동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41-249
    • /
    • 1992
  • 본 연구는 그룹시간 동안의 한국 유치원 교사들의 질문양식과 유치원 아동들의 반응양식을 조사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 12명의 유치원 교사와 중산층 가정에서 온 아동들이 12집단(남아 : 211명, 여아 : 176명) 참가했다. 비디오를 통해서 12명의 교사들의 질문양식과 각 집단의 아동들의 반응양식이 각각 3번씩 그룹시간의 처음 15분 동안 녹음되었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서는 Aschner-Gallagher의 분류법이 사용되었고 통계분석방법은 Chi-square tests가 사용되었다. 또 교사들과 아동들의 연령 및 정보 등을 조사하기 위해서 교사들에게 질문지가 주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들 사이에서 사용된 질문의 수준은 차이가 있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1) 교사들의 Congnitive Memory 질문을 가장 많이 사용했고 Evaluative 질문을 가장 적게 사용했다. (2) Congnitive Memory 질문을 가장 많이 사용한 교사들이 있는 반면에 Routine 질문을 가장 많이 사용한 교사들이 있었다. (3) Convergent 질문을 많이 사용한 교사들과 거의 사용하지 않은 교사들이 있었다. (4) Evaluative 질문 또는 Divergent 질문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교사들이 있었다.

  • PDF

직무만족 조사에서의 질문 순서 및 질문 의도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estion-Order and Question-Intention Effects in Surveys of Job Satisfaction)

  • 안명식;한인수;오홍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23-430
    • /
    • 2016
  • 자기보고식 설문 조사는 상황적 요인 및 개인적 특성에 따라 응답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산업 및 조직심리학 분야에서 널리 연구되고 있는 직무만족 변인을 중심으로 설문 조사 시 질문 순서 및 질문 의도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전반적 질문과 세부적 질문의 배치 순서에 따른 질문 순서 차이 그리고 직무만족 또는 직무불만족 측정에 따른 질문 의도 차이에 따라 총 4종류를 사용하였다. 94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 기존 연구와 달리 전반적 질문이 먼저 제시된 경우에서 전반적 질문과 세부적 질문에 대한 응답 간 상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직무만족 질문이 직무불만족의 질문에 비해 대부분의 영역에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