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행된 두경부암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6초

진행된 경부 전이암에서 경동맥 절제를 위한 술전검사와 절제술의 의의 (Preoperative Evaluation and Significance of Carotid Resection in Advanced Cervical Metastatic Cancer)

  • 조정일;김영모;최원석;최상학;한창준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18
    • /
    • 2001
  • Objectives: We studied what is the role of elective carotid artery resection in the management of advanced cervical metastat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5 patients with elective carotid artery resection in advanced metastatic cervical cancer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patients underwent complete neuroradiologic evaluation, including CT/MRI. angiography, duplex doppler, balloon occlusion test with EEG, and brain SPECT for determination of compatible collateral circulation after carotid artery resection. Results: Perioperative complication were appeared in 2 patients those were middle cerebral arterial infarction and mediastinal bleeding. Postoperative mortality rate was 20%. 4 patients recurred within 1 year. Conclusion: Preoperative collateral study rarely provide whether resection carotid artery or not. Elective carotid artery resection cannot provide locoregional control of tumor and don't promote survival.

  • PDF

수술이 불가능하여 고식적 목적의 외부방사선 단독치료 후 장기 안정병변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진행된 갑상선 유두암 1예 (A Case of Inoperable Advanced Papillary Thyroid Carcinoma Maintaining Long-term Stable Disease State after Palliative Aim Radiation Therapy Alone)

  • 김태현;우홍균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13
    • /
    • 2024
  • The current standard of treatment for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is surgical resection followed by radioactive iodine therapy according to the recurrence risk. However, external beam radiotherapy may be recommended in limited cases where surgical resection is impossible or residual gross lesion remains or the aforementioned standard therapy is deemed insufficient in achieving local control. We report a case of 59 year old patient who presented with advanced papillary thyroid carcinoma of right neck but was unable to receive surgical resection due to underlying Eisenmenger syndrome. He received radiation therapy of 67.5 Gy in 30 fractions with palliative aim with no further treatment and has been maintaining long-term stable disease state for 38 months. Herein, we report a rare case of palliative aim radiation therapy alone for advanced papillary thyroid carcinoma with literature review.

하인두암 (Cancer of the Hypopharynx)

  • 설대위;정성민;박윤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5-70
    • /
    • 1987
  • 하인두암은 거의 대부분 이상동(Pyriform Sinus) 에서 발생하며 상당한 정도 진행 시까지 별다른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저자들은 1966년부터 1985년까지 만 20년간 하인두에서 발생된 암환자 63명을 중심으로 임상 관찰 및 문헌고찰과 함께 발표하는바이다. 원발병소로는 전체 중 58명에서 이상동, 하인두벽(hypopharyngeal wall) 3명, Postcricoid hypopharynx 와 pharyngopalatine fold 에서 각각 1명씩의 발생빈도를 보였다. 저자들은 설저(base of tongue)암, supraglottic Ca. 및 경부 식도(cervical esophagus)암 경우는 모두 제외시켰다. 임상증상으로서는 경부 종괴(lump)가 33 예로써 가장 현저했으며 또한 첫증상으로써 연하곤란(dysphagia) 또는 sore throat를 나타낸 경우는 32 예 이었다. 그 외에 hoarseness 가 20 예, bloody sputum 4 례 및 호흡곤란 2 예의 순이었다. 내원까지의 증상기간은 대부분 $4{\sim}6$ 개월 이었다. 흡연관계는 1일 1값 이상의 중등도 흡연 경우는 전체의 58% 이었으며 흡연 사실이 있었던 경우는 전체의 88% 이었다. 연령별 발생빈도는 50대$\sim$60대에서 48명으로서 현저히 높았다. 완치 목적의 수술적 치료는 24명에서 시행하였으며 치료 거절은 16명이었다. 치료 거절하였던 환자들 중 81% 가 임상적 제 4 병기였으며 보조적 치료 요법을 실시한 환자들의 78% 에서 제 4 병기였다. 또한 완치 목적의 치료 실시 경우의 67% 에서 제 4 병기였다. 수술요법은 일반적으로 "후두 인두 적출술 및 양측 경정맥 임파군 곽청술"(laryngopharyngectomy with bilateral jugular dissection) 또는 후두 인두 적출술 및 동측의 표준 광범위 경부 곽청술(standard radical neck dissection) 과 반대측의 경정맥 임파군 곽청술을 시행하였다. 3 년 이내와 3 년 이상무병 상태(free of disease) 경우가 각각 4명씩이었다. 마지막 예후 추적 조사시까지 무병 상태였던 환자를 포함하여 예후 추적 조사기간 중 추적 실패 경우는 7명이었다. 확정된 3 년 생존율(determinate 3-year survival rate) 은 31% 이었다. 수술 사망이 1명 있었으며 재발경우는 9 명이었다. 재발부위로는 원발병소 재발이 7명, 경부 재발 1명 및 원격전이가 1명 이었으며, 저자들은 이에 대한 실패 원인을 규명코져 하였다.

  • PDF

두경부암 환자의 양성자 치료 시 사용하는 자체 제작한 BoS Frame 고정장치의 선량학적 유용성 평가 (Dosimetric evaluation of using in-house BoS Frame Fixation Tool for the Head and Neck Cancer Patient)

  • 김광석;조광현;최병기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5-46
    • /
    • 2016
  • 목 적 : 두경부암의 양성자 치료 시 BoS frame ($Q-fix^{TM}$)을 사용하면 후사방향의 빔 조사 시 couch 와 snout 사이 충돌을 피하면서 Airgap 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couch 에서 BoS frame 을 얼마나 많이 extended 시켰는지가 각 치료 빔 방향의 Airgap (환자와 빔 사출구 거리)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원에서는 BoS frame의 제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정장치를 자체 제작하였고, 제작한 고정장치의 유용성을 본 연구를 통해 선량학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원에서 양성자치료를 받은 Brain Cancer환자 3명의 빔 각도 중 후사방향의 빔 6개를 선택하였다. 현재 치료계획 되어 있는 환자를 기존 방식대로 BoS frame만 사용했을 때 각 환자마다 왼쪽후사방향, 오른쪽 후사방향의 빔에서 충돌을 피할 수 있는 snout 위치를 측정하고 이 위치에 따른 Airgap과 Lateral penumbra 영역을 계산하고 DVH값을 분석하였다. 같은 환자의 동일한 빔에서 자체 제작한 BoS frame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제조회사에서 권고한 set-up 사항보다 BoS frame을 21 cm superior방향으로 set-up을 진행하였고, 그 후 충돌을 피할 수 있는 snout위치를 측정하고 이 위치에서 Airgap과 Lateral penumbra영역을 계산하고 DVH값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자체 제작 BoS frame 고정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사용하지 않았을 때 보다 snout 위치 즉 Airgap을 각각 각도별로 5.4 cm ~ 15.4 cm 줄일 수 있었다. Lateral penumbra는 BoS frame 고정장치를 사용하면서 Airgap을 감소시킴에 따라 각도별로 선량분포곡선에서 왼쪽, 오른쪽 부분을 0.1 cm ~ 0.4 cm 감소시킬 수 있었다. 자체 제작한 BoS frame 고정장치 사용함으로써 감소한 Lateral penumbra에 의해 정상조직에 들어가는 선량을 비교해보면 Lt.eyeball, Lt.lens, Lt.hippocampus, Lt.cochlea, Rt.eyeball, Rt.lens, Rt.cochlea, Rt. hippocampus, stem에 들어가는 선량이 0 CGE ~ 4.4 CGE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 두경부암의 양성자 치료 시 자체제작 BoS frame 고정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사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후사방향의 빔에서 snout 위치를 감소시킬 수 있었고, Airgap을 줄여 결과적으로 Lateral penumbra를 감소시켜 정상조직에 불필요한 선량을 최소화 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자체제작 BoS frame 고정장치의 유용성을 선량학적으로 평가한 결과, 후사방향의 빔을 사용하는 두경부암 환자의 양성자 치료 시 유용하게 사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두경부암 뿐만 아니라 다른 부위 양성자 치료에서도 Airgap을 최소한 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여 Lateral penumbra를 줄일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 PDF

근치적 방사선치료에 완전반응을 보인 경부 림프절에서의 재발 양상 및 그 의의 (Significance of the Failure Patterns in Cervical Lymph Nodes Achieving a Complete Response to Radical Radiotherapy)

  • 남지호;김원택;기용간;김동현;최영진;조규섭;이진춘;이병주;김동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8권1호
    • /
    • pp.9-15
    • /
    • 2010
  • 목 적: 진행된 두경부암 환자들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 후 완전반응을 보인 경부 림프절 병변에서의 재발 빈도와 양상을 확인하고, 이의 임상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7년부터 2008년까지 원발성 두경부 상피세포암종 및 경부 림프절 종대 병변에 대해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환자들의 임상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들 중 경부 림프절 병변에 충분한 방사선조사를 받은 후 완전 반응으로 평가된 환자들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주기적 영상자료를 바탕으로 경부 림프절에서의 재발 빈도와 양상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재발률과 관련된 예후인자들도 분석하였다. 결 과: 방사선치료 후 경부 림프절에서 완전반응으로 평가된 환자들은 73명이었다. 이들의 추적관찰 기간 동안의 재발률은 19.2%였다. 원발 병변에서도 완전반응을 보인 55명에서의 경부 재발률은 5.5%였다. 경부 재발의 80% 이상이 3년 이내에 확인되었으며, 47%에서 원발 병변의 재발이나 진행과 관련이 있었다. 치료 후 원발 병변의 반응 정도와 방사선 모의치료 방법이 경부 림프절 재발률과 관련 있었다. 결 론: 방사선치료 후 원발 병변 및 경부 림프절 병변에서 완전반응으로 평가된 환자들에서의 경부 림프절 재발률은 약 5%로, 이들에서는 계획된 림프절 절제술 없이 정기적인 추적관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비인두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중 암의 국소진행으로 오인된 경부 연조직 감염 1례 (A Case of Neck Soft Tissue Infection in Patient with Nasopharyngeal Cancer; Misdiagnosed as Local Progression during External Radiotherapy)

  • 이소연;임소희;최현철;김성환;전정수;백준현;유진영;노혜일;김훈교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6-218
    • /
    • 2002
  • A 38-year-old man, who was diagnosed nasopharyngeal carcinoma (stage T4N2Mx) had rapidly growing lower neck mass (at level IV area) with local inflammation sign during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After we performed Color Doppler sonography and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of the neck mass, we differentiated neck soft tissue infection from tumor extension. Size of the mass decreased after antibiotics therapy. It was difficult to differentiate neck infection from tumor progression during treatment in naspharyngeal carcinoma.

진행성 두경부 상피세포암 환자에서 소분할 방사선조사 후의 치료반응 평가 (Evaluation of the Treatment Response after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s)

  • 김원택;기용간;남지호;김동현;조규섭;이진춘;이병주;김동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7권2호
    • /
    • pp.55-63
    • /
    • 2009
  • 목 적: 근치적 치료가 힘든 두경부 진행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소분할 방사선조사의 치료반응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해 보고, 이런 환자들에 대한 적절한 방사선치료 방법을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두경부에서 발생한 상피세포암종으로 진단되어 1998년부터 2008년까지 원발 병변 또는 림프절 병변에 대해 3 Gy 분할선량으로 고식적 소분할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환자 31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방사선치료 전 컴퓨터단층촬영 영상자료를 통해 종양의 용적을 측정하였고, 이를 방사선치료 종료 후 2~3개월째의 컴퓨터단층촬영 자료와 비교하여 치료반응을 평가하였다. 아울러 소분할 방사선치료로 인한 치료독성의 빈도와 정도를 확인하였고, 전체 생존율 및 무진행 생존율, 그리고 생존율이나 치료반응과 관련된 예후인자들 알아보고자 통계 분석 작업을 하였다. 결 과: 대상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70세였으며, 85%의 경우가 stage 4였다. 종양의 용적은 평균 128.4 cc였고, ECOG 활동점수 상 1점과 2점이 67.7%였다. 총방사선량은 24~45 Gy (중간값 36 Gy)로 2명을 제외한 대부분의 환자가 30 Gy 이상 조사받았으며, 치료기간은 10~25일이었다. 완전반응을 보인 경우가 4명(12.9%)이었고, 19명(61.3%)의 환자에서 부분반응을 보였다. 중간 생존기간은 8.9개월이었으며, 1년 무진행생존율은 12.9%였다. 치료반응 정도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원발 부위, 병기, 종양의 용적, 방사선치료 범위, 총방사선량 등이 생존율이나 치료반응 정도와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치료 기간 및 치료 종결 후 grade 4 이상의 치료독성은 없었다. 결 론: 소분할 방사선치료 결과 약 74%의 환자들에서 종양이 줄어드는 것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적절한 분할선량 및 추가 방사선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의 선별에 있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진행된 이상와암의 광범위 수직인후두부분절제술 후 요전완 유리피판을 이용한 재건술 2예 (Two Cases of Radial Forearm Free Flap Reconstruction after Wide Vertical Hemipahryngolaryngectomy)

  • 문일준;홍성룡;김시환;안순현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5-41
    • /
    • 2005
  • Wide vertical hemilaryngopharyngectomy with immediate glottic and pharyngeal reconstruction using a radial forearm free flap is reported in 1991 by Chantrain et al. This procedure was designed for the preservation of healthy hemilarynx and resection of pharynx with safe oncological margin in especially piriform sinus cancer or supraglottic cancer invading the hypopharynx. In the original paper, they used palmaris longus tendon for reconstruction of neoglottis. In other groups, they used rib cartilage instead of palmaris longus tendon. In this paper, we report two cases of piriform sinus cancer patients who treated with wide vertical hemilaryngectomy with radial forearm free flap reconstruction. In one case, the operation was performed as Chantrain et al described. But in another case, the ipsilateral forearm was impossible due to the positive Allen's test. So the contralateral forearm flap and rib cartilage graft was done. This reconstructive technique make large resection possible. As the dissection of thyroid cartilage and lateral displacement makes direct visualization and manipulation of piriform sinus lesions, sufficient resection margin in lateral and inferior pharyngeal wall cab be obtained.

국소 진행된 두경부암의 병합요법 : 치료 방법에 따른 비교 (Combined Modality Treatment in Head and Neck Cancer)

  • 박인규;이호준;윤상모;김재철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2-37
    • /
    • 2001
  • Objectives: We performed this study to compare the short term results of induction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versus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rom Oct. 1985 to May 1998, 121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were treated with induction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induction group) or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oncurrent group), and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done. Induction chemotherapy was done for 97 patients, and concurrent chemotherapy for 24 patients. Age, sex, performance status, and pathologic types were evenly distributed between two groups. Primary site showed nasopharynx(72.2%), oropharynx(27.8%) in induction group, and nasopharynx(50%), oropharynx(50%) in concurrent group. Chemotherapy regimen was CF(cisplatin and 5-fluorouracil) for 67 patients and CVB (cisplatin, vincristine, bleomycin) for 30 patients in induction group, and CF for all of 24 patients in concurrent group. Proportion of patients treated with more than 2 cycles of planned chemotherapy was 94.8% in induction group and 87.5% in concurrent group. Conventionally fractionated radiotherapy with daily fraction size of 1.8-2.0Gy and 5 fractions/week was done. Total dose was 61-95Gy (median 73.4Gy) for induction group, and 69.4-75.4Gy (median 69.4Gy) for concurrent group. Follow-up time was 4-161 months (median 38 months) for induction group, 7-35 months (median 21.5 months) for concurrent group, respectively. Results: According to treatment modality, overall 2-year survival rates were 68.0% for induction group, 74.3% for concurrent group (p>0.05). two-year disease-free survival rates were 51 % and 74% (p=0.05). Complete response rates were 67.4% for induction group and 83.3% for concurrent group (p=0.09). The incidence of grade 3-4 hematologic toxicity (2.1% vs. 25%, p=0.001) and grade 3-4 mucositis (9.3% vs. 37.5%, p=0.002) during radiotherapy was higher in concurrent group. Conclusion: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showed a trend of improvement in short-term survival and treatment response when compared with induction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in locally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A more controlled randomized trial is needed.

  • PDF

일 대학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암 환자 실태 (A Survey of Cancer Patients Who Visited Emergency Room)

  • 양선애;조옥희;유양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2권4호
    • /
    • pp.228-233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응급실을 내원하는 암 환자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C 대학교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종양내과 암 환자 564명의 응급실 의료정보지를 분석하였다. 실태 조사서는 암 병동 근무경력 6년 이상의 간호사 4인과 종양내과 교수 1인 및 간호대학 교수 1인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아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AS (ver 9.1)를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은 위장관계 암이 28.9%로 가장 많았고, 병기는 4기가 66.9%로 가장 많았다. 응급실 내원 전에 최근 받은 치료는 항암화학요법이 51.6%이었고, 항암화학요법 치료 횟수는 1~5회가 82.5%로 가장 많았으며, 최근 치료받은 장소는 입원 병동이 52.4%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응급실 내원관련 특성은 항암화학요법 치료 후 내원까지 2주 이하인 경우가 62.9%로 가장 많았고, 증상 발현에서 내원까지의 기간이 1일 이내가 34.9%, 응급실 내원 후 입원까지 1일이내가 71.8%로 가장 많았다. 내원요일은 평일이 73.2%로 가장 많았고, 응급실 내원 후 입원한 경우가 77.2%로 가장 많았다. 응급실을 내원 시 주요증상은 통증이 34.3%로 가장 많았고, 위 장관계 증상이 30.0%, 호흡기계 증상이 21.5%, 고열이 16.3% 순이었다. 응급실에 내원한 주요증상은 위장관계 암과 췌장 간 담도암은 통증, 림프종은 고열, 폐암은 호흡기계 증상, 두경부암이나 육종, 유방암을 포함한 기타 암은 위장관계 증상이 가장 많았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암 환자들이 응급실을 내원하는 주요증상은 질환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3기 이상의 진행암 환자들이 응급실을 내원하지 않고 총체적인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또한 암 환자들이 병원과 가정에서 적극적으로 통증 관리를 연계해서 받을 수있는 체계를 마련하고, 위장관계 암과 폐암 환자들이 퇴원 후 응급증상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맞춤형 교육자료를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