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통효과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24초

상복부(上腹部) 통증완화(痛症緩和)를 위한 복강신경총차단(腹腔神經叢遮斷) (Alcohol Neurolysis of the Celiac Plexus of Upper Abdominal Pain Relief)

  • 김인세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권2호
    • /
    • pp.164-170
    • /
    • 1988
  • 상북부 통증을 호소하는 암성통증 환자 18예, 만성 췌장염환자 4 예에서 통증제거 목적으로 60% dehydrated ethanol 30~50ml을 방척추법으로써 복강신경총의 지각전도를 차단한 후 얻은바 결론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1. 위암, 간암, 췌장암등으로 인한 상복부 통증에 대해서 86%의 우수한 진통효과가 있었다. 2. 만성췌장염 환자에서도 양호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3. 진통효과의 지속시간은 55%에서 약 4개월 내지 7개월간 지속되었다. 4. 시술후 일시적인 기립성 혈압하강이 16%에서 나타났다. 5. 시술후 합병증은 경미한 정도에서 안면홍조 혈압하강 요통등이 있었다. 6. 시술전 마약성 약물 사용이 습관화된 경우는 시술후 마약성 약물 투여금단 효과를 억제하기 어려웠다.

  • PDF

Mechanism of analgesic effects of DA-5018, a non-narcotic agent

  • Bae, Eun-Ju;Miwon Son;Son, Moon-Ho;Kim, Soon-Hoe;Kim, Won-Bae;Junnick Yang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34-234
    • /
    • 1996
  • DA-5018은 여러 opiate수용체 실험에서 morphine 또는 naloxone 보다 10-100배 정도 낮은 친화력을 나타내었다. 기니픽 회장표본과 랫드 수정관표본의 전기자극 실험에서는 DA-5018의 의해 유도된 수축반응이 naloxone의 영향을 받지 앉았고, 랫드에서의 진통효과도 naloxone 전처치에 의해 차단되지 않았으므로, DA-5018은 opiate 수용체를 경유하지 앉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OA-5018 120$\mu$M에서 cyclooxygenase 생성을 50% 증가시켰고 mM 농도에서 5-lipooxygenase 합성을 약간 억제하였으므로, NSAID계 유사약물이 아님을 확인하였다. DA-5018은 기니픽 기관 표본에 대해 capsaicin과 동일하게 수축반응을 나타내었고, 이것은 capsazepine 전처리에 의해 억제되었다. 척수에서의 substance P 유리활성은 capsaicin보다 약 9배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랫드에 DA-5018 진통유효용량인 1mg/kg을 피하주사한 후 분리한 척수에서 capsaicin에 의한 substance P의 유리활성은 15분 후에 감소하였고 120분 후에는 회복되었다. 따라서 OA-5018의 진통작용에도 substance P의 고갈이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DA-5018의 진통작용은 capsaicin수용체를 매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진통제와 병용한 손 마사지가 말기 암환자의 암성통증 조절에 미치는 효과 (Effectiveness of Hand Massage Combined with Analgesics on Pain Control in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 이윤미;윤호순;이성운;김영미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9권4호
    • /
    • pp.296-302
    • /
    • 2016
  • 목적: 호스피스 완화의료 병동에 입원한 말기 암환자가 통증을 호소할 때 진통제만 투여한 경우와 손 마사지를 병행했을 경우 통증감소의 효과를 비교한다. 방법: 단일군 시계열 설계 유사실험 연구로서 호스피스 완화의료병동에 입원한 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통증을 호소할 때 진통제를 투여하고 5분, 10분, 20분, 2시간 후에 각각 통증 점수를 측정하였고, 동일한 대상자가 다시 통증을 호소할 때, 진통제를 투여한 후 손 마사지를 병행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통증점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진통제만 투여한 군과 진통제를 투여한 후 손 마사지를 병행한 군간의 통증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두군 모두 시간이 흐름에 따라 통증정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손 마사지를 시행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통증정도가 낮은 경향이 있으므로 말기 암환자에게 손 마사지의 보완적 활용가치를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으며, 진통제 사용량에 따른 통증의 차이도 확인 되었으므로 간호사들은 말기 암환자를 위한 진통제 약물요법에 대하여 더 많은 교육과 연구가 요구된다.

돌발성 암성 통증 (Breakthrough Cancer Pain)

  • 서민석;심재용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8권1호
    • /
    • pp.1-8
    • /
    • 2015
  • 돌발성 암성 통증은 상대적으로 기저 통증이 규칙적인 진통제 사용으로 잘 조절됨에도 발생하는 일시적인 통증의 악화이다. 돌발성 통증은 암성 통증을 가진 환자에게서 매우 흔하여, 전체적으로 70~90%의 유병률을 보인다. 이는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데, 일상 생활 능력의 감소나, 사회적인 관계성 저하를 비롯하여 우울과 불안의 유병률이 높아진다. 게다가 가족과 사회, 건강 보험 재정에도 큰 부담을 준다. 돌발성 통증은 병태학적 기전에 따라 특발성(또는 자발성) 통증과 사건 통증으로 나눌 수가 있다. 각각의 돌발성 통증 삽화는 전형적인 특징을 보이는데 5~10분 이내에 통증이 최대가 되며, 심한 통증 강도, 30-60분 이내에 소실되는 짧은 지속시간 등이 있다. 그러나 지속시간과 통증의 강도에는 환자마다, 같은 환자라도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매 통증마다 철저한 평가가 필요하고, 치료 계획은 최적의 치료를 위해 개별화가 되야 한다. 옥시코돈, 모르핀, 하이드로모르폰과 같은 여러 속효성 경구 제제들이 상대적으로 느린 진통 효과에도 불구하고 널리 사용되어 왔다. 점막 흡수형 펜타닐 제제는 경구 마약성 진통제의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여러 연구에서도 점막 흡수형 펜타닐 제제가 돌발성 통증 조절에 좀 더 빠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저자들은 각각의 환자와 통증삽화에 따른 좀 더 효율적인 진통제를 사용함으로 돌발성 통증 조절이 개선되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각각의 마약성 진통제의 효과와 비용 대비 효율성을 평가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Medetomidine과 Tiletamine/Zolazepam을 병용마취한 개에서 통증자극이 뇌파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in Stimulation on EEG in Dogs Anesthetized withMedetomidine and Tiletamine/Zolazepam)

  • 최우식;장환수;권영삼;장광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6-141
    • /
    • 2010
  • 개에서 Medetomidine (MED)과 tiletamine/zolazepam (ZT) 병용마취시에 통증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판단되는 외과적 마취기에 적절한 진통효과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뇌파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임상적으로 건강한 비글견 7두를 이용하여 동일견을 대조군과 통증자극군에 이용하였다, 대조군은 MED $30\;{\mu}g/kg$ 투여 후 15분에 ZT 10 mg/kg을 각각 근육주사하였으며, 통증자극군은 대조군과 동일한 방법으로 약물을 투여한 다음 ZT 투여 후 10분부터 45분까지 5분 간격으로 pedal withdrawal reflex test를 실시하였다. 각각의 기록시간대에서 뇌파의 band power,평균동맥혈압과 심박수를 측정하여 실험군간 비교하였다. 뇌파 기록전극은 International 10-20 system을 이용하여 Cz에, 기준전극과 접지전극은 양쪽 귀에 장착하였다. 뇌파 분석상 저주파 band가 높은 power를 보이고 고주파 band가 낮은 power를 나타냈으나 군간 유의성 있는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평균 동맥혈압과 심박수는 TZ 투여 10분 후 두 군 모두 상승하였으나 군간 유의성은 없었다. 본 실험 결과, 개에서 MED와 ZT 병용마취는 외과적 마취기에 우수한 진통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근골격계 질환에서 통증 조절을 위한 마약성 진통제 및 항우울제 (Opioids and Antidepressants for Pain Control in Musculoskeletal Disease)

  • 박세진;김우섭;장태동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8
    • /
    • 2020
  • 고령화의 진행 및 근골격계 질환의 증가로 인해 여러 가지 수술적 치료 방법을 포함한 침습적인 치료 방법이 증가되고 있으나 수술적 치료 시행 전 보존적 치료는 충분히 시행되어야 한다. 보존적 치료 중에서 통증 조절을 위한 약물 치료는 오래 전부터 보존적 치료의 가장 대표적인 치료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고 여전히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다. 통증 조절을 위한 약물로는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스테로이드(steroid), 마약성 진통제(opioid), 항우울제(antidepressants) 등이 있으며 저자는 마약성 진통제 및 항우울제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통증으로 인해 말초 부위에 있는 통각 수용체에 자극이 전달되면 통증은 중추 신경계로 전달되는 상향성 경로(ascending pathway)를 거쳐 대뇌에 전달되고 대뇌는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하향성 조절 경로(descending pathway)를 통해 엔도르핀(endorphin)과 같은 내인성 마약성 진통제를 분비하게 된다. 마약성 진통제라는 것은 마약성 진통제 수용체(receptor)에 작용하는 물질을 통틀어서 일컫는 말로 마약성 진통제는 세 가지의 수용체가 존재하며 조직이나 환자의 전신 상태에 따라서 각각의 수용체에 대한 친화성이 달라진다. 이와는 달리 항우울제는 중추신경계의 시냅스에 작용하여 통증을 조절하는 상향성 경로를 조절하는 것이 주된 기전으로 만성통증과 신경병성 통증에 효과적이며 이는 마약성 진통제 계열과 효과가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종설에서는 이러한 마약성 진통제와 항우울제의 효과적인 사용 방법, 사용 시 유의점 및 부작용 등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NEWS&TOPICS 해외

  • 이주영
    • 과학과기술
    • /
    • 5호통권408호
    • /
    • pp.6-7
    • /
    • 2003
  • 뇌, 다른 사람 감정 모방/ '중세가 오늘날 보다 훨씬 더웠다'/ 진통제, 파킨슨병 치료 효과/ 고릴라 · 침팬지, 수십년 내 멸종위기/ 심장병 막으려면 HDL 높여야/ 보톡스, 소아마비 근육이완 효과/ 이집트서 세계 最古 미이라 발견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