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진정한 경험

Search Result 159,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he Sutability of VR Artwork as an Immersive Learning Tool (몰입적 학습 도구로서의 VR 예술작품의 적합성)

  • Rhee, Boa;Kim, Jusub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223-226
    • /
    • 2016
  • 본 논문은 최근 출시된 반 고흐 VR 예술작품의 2D 및 3D 콘텐츠에 대한 경험을 분석했다. 두 가지의 콘텐츠에서 쾌락적 특성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원작의 재생산된 작품으로서가 아니라 새로운 창작물로 인지되었다. 콘텐츠의 일반적 특성과 마찬가지로, 몰입감의 경우에도 2D 보다는 3D 콘텐츠에 대한 평가가 더욱 긍정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두 가지의 콘텐츠에서 가장 높게 평가된 몰입감 요인은 주의집중력으로 제시되었다. 특히 3D 콘텐츠의 경우, 다감각적 촉진은 가상공간에서의 현존감(presence)과 관련된 육체적 움직임에 대한 역동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원작에 대한 현존감은 가상공간에서의 현존감과 몰입감으로 대체되었다. 3D 기반의 콘텐츠는 학습에 대한 내재적 동기부여를 비롯, 그룹 토의의 활성화, 예술작품 및 작가에 대한 관심 증가 등의 몰입형 학습 도구로서의 효용성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비록 2D 및 3D 콘텐츠의 몰입학습을 위한 도구로서의 적합성이 예술작품에 대한 감상 및 해석도구로서의 적합성보다 높게 제시되기는 했지만, 예술작품의 진정성과 아우라라는 관점에서 보면 '회화적 동일성'은 존재했지만 콘텐츠의 재창조적 특성으로 인해 '미학적 동일성'은 보장되지 못했다. 이러한 현상은 VR 예술작품의 콘텐츠 제작 목적의 상이함 뿐만 아니라 기술적 정교함 및 예술적 전문성 결여에 기인한다.

  • PDF

An Investigation on the human nature in philosophy of Wang Yang-Ming and Buddhism from a Kantian point of view (칸트의 관점에서 본 왕양명과 불교의 인간관)

  • Park, Jong-sik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31
    • /
    • pp.165-197
    • /
    • 2014
  • In this paper, I investigate on the human nature in philosophy of Wang Yang-Ming and Buddhism from a Kantian point of view. The core argument of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Buddhism and Kant is that all human beings have the pure abilities a priori to overcome themselves, to realize their own potentialities. This is called immanent transcendence. At this time human beings can be free. Kant, Wang Yang-Ming and Buddhism claim that all human beings themselves will overcome their desires from their mind and body through the immanent transcendence, reflection and contemplation on their own. When we give up the external knowledges, throw away obsessions with the selfish desires and go back to our inside, we can see our original nature. To have an insight into this inner nature, to respect the moral law a priori, this is to overcome the ourselves, and to be a Grate Man(聖人) and a Buddha. This way is the only way to be a Grate Man and a Buddha. The main proposition of Wang Yang-Ming's philosophy is expressed 'There are no things without mind.'(心外無物) The core of Kant's transcendental philosophy is called the Copernican Revolution by himself. Copernican Revolution means the transition from the object-centered epistemology to the subject-centered epistemology. 'Innate Knowing'(良知) and 'Perform Innate Knowing'(致良知), 'All human beings have the mind of Buddha'(一切衆生悉有佛性) contain the apriority, immanence of Moral Law. In this respect, the theory of Innate Knowing in Wang Yang-Ming and mind of Buddha in Buddhism, pure Moral Law in Kant has the same structure grounded in subjectivity. Even if we have the mind of Buddha, innate Knowing, moral law a priori, the reason why we don't know our original nature is that we fall into the obsessions with selfish desires, and that we have inclination to external interests. So the moment you see our original nature, ordinary people themselves turn into a Buddha. These changes and transitions are immanent transcendence. All human beings have the ability to do this changes and transitions. Buddha does not exist outside of us, but it exists with our reflections on our human nature. Buddha can not existed without our insight into the our innate Ego. Where there is our original nature, there is a Buddha. So Buddha is called the another name of the original figure of human beings.

Preparation of Students for Future Challenge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미래를 위한 간호교육)

  • Kim Euisook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50-59
    • /
    • 1981
  • 간호학생들이 당연하고 있는 문제점 미래의 간호학생들이 교육문제를 논하기 위하여는 간호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이해하는 것이 우선순위가 될 것이다. 간호학생들이 문제점에 대한 연구는 한국에서 뿐아니라 미국에서도 꽤 많이 시행되어져 왔으며 특히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되는 중퇴자들에 대한 연구들 중에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언급한 것이 많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곧 대학과정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 보고될 Munro의 자료에 의하면 전문대학과정에서 27$\%$, 대학과정에서는 41$\%$의 간호학생들이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들이 중간탈락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나 그 중 ''간호학에 흥미를 잃어서''가 가장 큰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이곳 한국사회에서도 역시 비슷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학입시경쟁과 대학내에서의 전과가 거의 허용되지 않는 특수여건이기 때문에 학교를 중간 탈락하는 율은 미국이 보고만큼 높지는 않으나 역시 ''간호학에 흥미를 잃는다''는 것이 간호학생들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 시행된 간호학생들에 관한 연구(표 1 참조)에 의하면 간호학생들의 학문에 대한 만족도는 조사자의 35$\~$50$\%$정도에 불과하였고 더우기 이 비율은 고학년에 올라갈수록 더욱 감소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서 시행된 어느 연구보고에 의하면 간호학에 실망했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전체의 67$\%$였으며, 다른 학교로 전과를 희망한 경험이 있다는 학생이 71$\%$나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왜 흥미를 잃게 되는지 그 이유에 대하여 설명해 주는 연구는 많지 않았다. 미국의 한 저자는 간호학생들이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원인을 간호원의 역할에 대한 이해가 정확하지 못한 것과 졸업 후 진로기회에 대한 인식부족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이유는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이다. 간호학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도 다른 전공분야보다는 훨씬 다른 여러 종류를 보이고 있다. 즉, 종교적 이유, 다른 사람들에게 봉사할 수 있는 직업이기 때문에, 쉽게 취업을 할 수 있어서, 결혼 후에도 직업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외국으로 쉽게 취업할 수 있어서 등이 간호학을 선택한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흥미나 적성에 맞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간호학을 택한 학생의 수는 다른 과에 비하여 훨씬 적다. 이러한 흥미나 적성 때문이 아닌 여러 가지 다른 이유들로 인하여 간호학을 택한 경우에 특히 간호학에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는 것을 볼 수 있다. 간호학에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일수록 추상적이고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보다 더 간호학에 지속적인 흥미를 가지며 중간에 탈락하는 율이 훨씬 적다는 것이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또한 흥미나 적성 때문에 간호학을 택하였다는 학생들이 다른 과로 전과를 희망하는 율이 낮다는 것도 보고되었다. 둘째, 교과내용자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이다. 간호학에 대한 체계적인 교과내용의 결여, 과중한 과제물, 임상실습에서의 욕구불만, 실습으로 인한 부담, 지식과 실습의 차이점에 대한 갈등 등이 주요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이 교과목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 특히 실습경험에서의 갈등을 학생들이 흥미를 잃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어느 한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90$\%$가 임상실습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그들 중의 88$\%$가 실습감독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보고하였다. 셋째, 교수들에 대한 불만족이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학년이 올라가면 갈수록 교수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며 또한 그에 비례하여 간호학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교육내용에 대한 전문지식의 결여, 학생들과의 인간적인 관계의 결여, 교수법에 대한 불만족 등이 교수에 대한 불만의 주요내용으로 보고되었다. 미래의 간호에 부응할 학생교육 계속적인 사회적 변동과 더불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일반인들의 건강에 대한 요구도와 앞에서 기술한 문제점 등을 감안할 때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간호학에 확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준비시키므로써 간호환경에서 실망하기보다는 오히려 그것을 받아들여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책임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교육시키는 것이 미래의 간호학생을 준비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교육을 위하여 다음의 두가지 안을 제시한다. 1.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서로의 좋은 동반자 : 교수들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특히 학생들의 성취도에 대한 영향에 대하여는 이미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다. Tetreault(1976)가 간호학생들의 전문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한 바에 의하면 다른 어느 것보다도 교수의 전문의식여부가 학생들의 전문의식 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교수에게 신뢰감을 가지고 있을때, 교수들이 전문가로서의 행동을 하는 것을 보았을때 비로서 배움이 증가된다고 하였다. Banduras는 엄격하고 무서운 교수보다는 따뜻하고 인간적인 교수에게 학생들이 더 Role Model로서 모방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보고 하였다. 그러면 어떻게 학생에게 신뢰받는 교수가 될 수 있겠는가? apos;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할 때apos;라고 한마디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Lussier(1972)가 언급한 것처럼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교육은 Piaget이 언급한 교육의 기본 목표, 즉 개인에게 선배들이 한 것을 그대로 반복하여 시행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시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하는 목표에는 도달할 수 없으며 이러한 목표는 간호학에도 가장 기본이 되어야 할 기본목표이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현재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으며 또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계속 파악하고 있는 것이 학생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을 할 수 있는 기본조건이 될 것이다. 의외로 많은 교수들이 학생들을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표 2는 현 간호학생들이 생각하고 있는 가치관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교수가 그 가치관과 문제점을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개 4년제 대학 200여명의 학생과 그 대학에 근무하는 18명의 교수진을 대상으로 질문한 결과를 간략하게 보고한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학생이 보고하는 가치관, 문제점, 교수에게 바라는 점이 교수가 이해하고 있는 것과 차이가 있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귀를 기울이고 이해하며, 그 요구에 부응하려고 노력할때 진정한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이때 비로서 우리는 apos;partnershipapos;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간호학에 대한 실망은 줄어들 수 있을 것이며 우리도 학생들에게 전문가적인 태도를 함양시켜줄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될때 앞으로 기다리고 있는 미지의 의무에 효과적으로 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질을 형성한 학생들을 준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2. 간호모델에 의한 교과과정의 확립과 임상실습에의 적용 : 교과과정이 학생들의 모양을 만들어주는 하나의 기본틀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학생들을 준비시키기 위하여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방향의 교과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은 재론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미 진취적인 간호대학에서는 guided design systems approach 또는 integrated curriculum 등의 새로운 교과과정을 시도하고 있음은 알려진 사실이다. 물론 간호모델에 준한 교과과정을 발전시키는데 대한 장점과 이에 수반되는 여러가지 새로운 문제점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으나 모든 교과과정이 처음 시도될 때부터 완전한 것이 있을 수 없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숙되는 것임을 감안해 볼 때 이러한 새로운 교과과정에의 시도는 미래의 새로운 간호방향에 필수적인 사업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몇가지 게안점을 첨부하려 한다. (1) 새로운 교과과정의 개발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교수진의 협력과 참여로 이루어져야 한다. (2) 비록 처음에는 어렵고 혼란이 있더라도 교과과정은 의학모델이 아닌 간호모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3) 간호모델에서 다루어지는 개념들은 모두 직접 간호업무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4) 교과과정의 결과로 배출되는 학생들의 준비정도는 그 지역사회에 적합하여야 한다. (5) 그 지역사회의 고유한 문화적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아직 우리는 간호분야 내부의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시기에 있다. 우리 내부의 문제점을 잘 해결할 수 있을때 외부와의 갈등에 잘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내부의 갈등을 잘 해결하기 위한 힘을 모으기 위하여는 동반자, 즉 교수와 학생, 간호교육자와 임상간호원 등이 서로 진정한 의미의 동반자 될때 가장 중요한 해결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 PDF

The Change of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Development of Bible-Based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Activities (성경에 기초한 유아 언어 교육 활동 개발을 통한 기독 예비 유아 교사의 변화)

  • Kim, Min-Jung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
    • v.61
    • /
    • pp.165-20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language education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exploring the change of pre-Christian preschool teachers through the development of biblical language education activities. Interviews, surveys, action plans, and reflections of 19 Christian educatio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of bible-based language education activities for children based on the language of early childhood language,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3 to December 28, 2018.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portfolio. By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 key categories were derived and categorized. For the objectification of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wo thematic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the preparatory Christian teacher experience for the development of bible-based langage education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was categorized into cognitive change, personality change and practical change. First, through the development of bible-based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activities,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brought cognitive changes as 'processes not outcomes', 'integration not separation', 'living non-curriculum' and 'meaning not effect'. In developing bible-based language education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a cognitive change in the 'process of language education activities' rather than the developmental achievements and results of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integration of listening-speaking-reading-writing', not the separation of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informal language education in kindergarten life', as well as teacher-centered formal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they have made a cognitive change that 'child-centered meaningful language education experience' is more important than the effectiveness of early childhood language education. Second, in developing bible-based language education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personality changes as 'confident teachers', 'professional teachers', and 'teachers with reflective thoughts and attitudes'. Finally, in developing bible-based language education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e power of positive language and practiced it to form habits of using the right language and to link Christian education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bible-based language education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Christia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equipped with the heart attitude and enthusiasm required to become tru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young children in unpredictable educational conditions and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realities. Teacher efficacy has improve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various teacher education programs linking Christian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will be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implemented.

Death Recognition, Meaning in Life and Death Attitude of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Death Education Program (죽음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죽음인식, 생의 의미 및 죽음에 대한 태도)

  • Kang, Kyung-Ah;Lee, Kyung-Soon;Park, Gang-Won;Kim, Yong-Ho;Jang, Mi-Ja;Lee, Eu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13 no.3
    • /
    • pp.169-180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ath recognition, meaning in life, and death attitude of participants in the death education program.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nd 205 data were collected. Descriptive statistics, ${\chi}^2$-test, ANOVA, and Duncan test were used. Results: 1) The followings were the characteristics of death recognition shown by the participants. Over half of the participants said that they had given some thoughts on their deaths, that they had agreeable view on death acceptance, and that diseases and volunteer works made them think about their deaths. Moreover, suffering, parting with family and concerns for them, etc. were the most common reasons for the difficulty of accepting death. As for 'the person whom I discuss my death with', spouse, friend, and son/daughter were the most chosen in this order. Lastly, the funeral type that most of the participants desired was cremation. 2) The means of meaning in life and death attitude were $2.92{\pm}0.29$ and $2.47{\pm}0.25$,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ealth status, meaning in life and death attitude. 3) A significant positive co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meaning in life and death attitude (r=0.190, P=0.001). Conclusion: For an effective death education program that would fit each individual's situation, an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make a person understand the meaning of his or her life and death, includes knowledge to lessen the fear and anxiety of death, and helps a person heal from the loss of a family member is absolutely necessary.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of Cultural Arts Education in the 4th year Univers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Focused on metropolitan universities-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의 교과과정 중 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 개선에 관한 연구)

  • Park, Joo-W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
    • /
    • pp.360-372
    • /
    • 2017
  • Cultural arts education helps in the holistic development of children and enhances their language skills and creative thinking. This type of education not only fosters emotional intelligence, but has also been proven to play a positive role in helping children understand different cultures. Based on these findings, in recent times, interest in cultural arts education has been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experiencing art in childhood and the development of artistic ability. A high standard of cultural arts education is desirable, in which regular classes are held based on the close cooperation of teachers, with extensive knowledge and sense of the cultural arts, and cultural arts exper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lude extensive cultural arts education in the training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cultural arts education. This study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 academic curriculum and develop plans to enhance the experti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field of cultural arts by analyzing the academic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urses in 4-year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Korean tertiary mathematics and curriculum in early 20th century (한국 근대 고등수학 도입과 교과과정 연구)

  • Lee, Sang-Gu;Ham, Yoon-Mee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2 no.3
    • /
    • pp.207-254
    • /
    • 2009
  • We would like to give an introduction about Korean Tertiary Mathematics and curriculum in the early 20th centuryan Ttails like, when tertiary mathematics was introduced in Korea, who adiated it, and how it appeared in curriculum for college education were presented. From the late 19th century, the royal circle of the dynasty, officers, socd. Felites, intellectu. sculum in tand many foreatn my mionaries, who entered Korea, began to establish educational ulstitutions begulnearlfrom the nt80s. Kearl GoJongtannounced thescript for general education icentur. Most of the new schoo scadiated western mathematics as tcompulsory course in their curriculumiese introduced tertiary mathematics in most of the curriculumurse end curriculum in, lfrom nt85 to 1960. Since then, tertiary mathematics was tautit at most of the new private and public schools of each level and in colleges. We have investigated the history of Korean tertiary mathematics with its curriculum from 1895 to 1960.

  • PDF

Oriented Constructivism Class Operating System for Considering Interactions between Education Player (교육주체간 상호작용을 고려한 구성주의 기반 학급운영시스템)

  • Moon, Chang-Bae;Goh, Yo-Seop;Son, Chung-Ki;Ma, Ji-Sun;Cho, Jung-Won;Park, Jung-H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3
    • /
    • pp.454-462
    • /
    • 2010
  • The current curriculum in the 7th informatics, which simply highlights the use of applied programs rather than enhancing creativity through learning several principles in information science and thus making it hard to have optimism on the future as a powerhouse in IT. By diagnosing these problems, Education Ministry revised the existing curriculum to have a more scientific access to the informatics. However, the curricular revision fails to meet the needs of learners sufficiently because it tends to put the considerations of theoretical specialists before the learners them selves.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learners on informatics, current-curriculum and 7th revised curriculum and that of college-level, thus offering the student-centered one. Also, the research tries to bridge the opinion gap between developer and learner by looking into the understanding level of university majors about the current curriculum. In doing so, thesis may provide the basis on exploring new approaches and contribute to establishing 7th revised curriculum in school.

Housing Policy for the Elderly and the Meaning of "Aging in Place" in Japan (일본의 고령자 거주문제와 주거정책: Aging in Place를 중심으로)

  • Cho, Ara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8 no.5
    • /
    • pp.709-727
    • /
    • 2013
  • Recently, "aging in place" has become the principle philosophy of elderly housing policy in many countries. However, since there is ambiguity surrounding the universal definition of it, the meaning of AIP has been defined by political expediency.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meaning of AIP by examining the transition of elderly housing issues and policy in Japan. During the last two decades, the Japanese government has tried to launch a new elderly welfare system to shift the responsibility of elderly care from the family to the society and from the society to the region. And the focus of elderly housing policy has shifted from the promotion of three-generation dwellings to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private residences. However, since the main goal has been limiting the welfare budgets rather than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elderly housing issues have been reduced to a matter of choosing either elderly care facilities frequently located in suburbs or not. This paper suggest that we should pursue the true AIP idea in housing policy, and argues that to do so we need to consider AIP from diverse aspects such as temporal continuity, the range of space, the dynamics of place experience and the capability of communities.

  • PDF

Regional Identity and Symbolic Representation by the Historical Figure - In case of the making 'pottery culture village' in Kurim-ri, Youngam - (역사적 인물을 이용한 지역의 상징성과 정체성 형성 전략 - 영암 구림리의 도기문화마을 만들기를 사례로 -)

  • Chu, My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8 no.3
    • /
    • pp.326-346
    • /
    • 2002
  • This study examined how the tradition and culture based on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the region are regenerated on the making regional identity and symbolic representation in Kurim-ri, Youngam. Kurim has represented the most typical community of the aristocratic class through Daedong-gae of 400 years. But, since 1970's Kurim has undergone a rapid change in regional identity in Kurim ; from the beginning of the spot of Wangin festival to the village of earthenware, the village of pottery culture heritage most recently. The process of history-making around Wangin in Kurim was connected with the strategy of the pottery culture village-making centering around the Youngam Pottery Culture Center. These projects ultimately were resulted in expression the regional identity, 'Kurim of Wang-in'. The regional tradition of Daedong-gae and Wangin in Kurim was linked together solidly through the Wangin festival procedures. And the excavation of a kiln site in Kurim which was going on with the process of history-making at the same time around Wangin in Kurim provided the cultural episode on related 'earthenware' with an archeological foundation. As a consequence of these, the cultural space, the Young-am Pottery Culture Center has came to establish in Kurim finally. However, recently the Kurim of Wangin and Daedong-gae which was representative of regional identity in Kurim is bringing Dosun who was distorted and estranged during the history-making focused on Wangin in Kurim. Now, there are some cultural issues in Kurim ; an authentical settlement of the Youngam Pottery Culture Center in Kurim and how Wangin and Dosun is linked together into the cultural strategy of 'the traditional village, Kuri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