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입공간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29초

호텔 진입공간의 유형별 인지특성 및 이미지형성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Image Formation Structure of Hotel Access Space)

  • 이정림;조용준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9-21
    • /
    • 2009
  • This study classified visual perception types of access space at 17 five-star hotels in Jejudo and examined their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image formation structures in an effort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important for designing the elevation and the access spaces of a hot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ccess space image of experimental hotels showed more negative evaluations at both city hotels and resort hotels, viewing angle (upward angle) was also positively evaluated between $10^{\circ}{\sim}12^{\circ}$ and $18^{\circ}$ and central type in arrangement type and detour access and straight access types in access circulation type were positively evaluated. When viewed from an upward angle of $10^{\circ}$ to $12^{\circ}$, the most important factors were as plasticity, decorativeness, and creativity; from $18^{\circ}$ it was such factors as harmony and peculiarity; and at $45^{\circ}$ it was factors like decorativeness and stability. In considering the various access types,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a straight access type were peculiarity and harmony; for one-time curved access type it was by decorativeness, creativity, Peculiarity, and stability; and for detour access types it was decorativeness, stability, and peculiarity. Influential of factors affecting image formation and plasticity and harmony factors and the form had more influences on image formation.

호텔 진입공간의 구성요소 및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Hotel Access Space)

  • 이정림;김윤학;조용준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1-9
    • /
    • 2009
  • In this study, an examination and an analysis are carried out on the forms and components of the access spaces of hotel entrances from the front gate of five star hotels in Jejudo,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erms of the arrangement of the hotel, city hotels with a relatively narrow site area are influenced by site shape, while resort hotels with a relatively wide site area are affected by the environment. However, the location of the front gate was determined by the access road from the outside. Therefore, forms of access space are related to the front gate, which is governed by the access road, and to the entrance, which is determined by the hotel arrangement. If the front gate is in line with the hotel entrance, a straight line and the hotel are arranged vertically to the front gate(side arrangement) or the hotel is arranged horizontally to the front gate, but if the entrance is not in line with the front gate, it appears as a curved shape. However, those who use their own cars have a variety of choices for access route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parking lot.

블로그출판 - 1인 미디어 '블로그' 이젠 종이출판으로 확대

  • 임남숙
    • 프린팅코리아
    • /
    • 제8권4호
    • /
    • pp.56-61
    • /
    • 2009
  • 최근 블로그의 변신이 주목 받고 있다. 과거에는 한낱 가상공간의 사사로운 기록들이었지만, 이제는 재미와 전문성을 갖추고 신문은 물론이고, 잡지와 책의 형태까지 탐하고 있다. 가상공간을 뛰어넘어 현실 세계로의 진입을 시도하는 블로그. 이번 호에는 새로운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는 '블로그 출판'에 대해서 알아봤다.

  • PDF

공간적 형평성을 고려한 통합 감응 램프미터링 제어 연구 -고속도로 진입로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ordinated Traffic Responsive Ramp Metering Control considering Spatial Equity)

  • 윤재용;신형오;이의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2호
    • /
    • pp.361-367
    • /
    • 2019
  • 램프미터링은 고속도로로 진입하는 차량들을 제어함으로써 고속도로 본선의 정체를 줄이는 교통운영기법으로, 국외에서는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외곽순환도로 7개소에서 운영중이다. 램프미터링은 본선 정체를 줄이는 장점이 있는 반면 단점도 존재하는데, 램프 출구에서 차량들이 신호를 받고 대기하기 때문에 대기행렬이 발생하고 차량이 많은 시간대는 램프 대기행렬이 인접 도로에 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여유가 있는 램프는 진입 수요를 많이 제어하고 공간적으로 여유가 없는 곳은 진입 수요를 적게 제어하도록 램프미터링 알고리즘을 개선하였다. 이를 평가하기 위해 통합평가지수(Combined Index)를 사용하였고 평가 결과 형평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가 원룸촌 외부공간의 생활안전 기능요소에 관한 연구 -충청북도 소재 'O' 대학교 원룸촌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lements of Life Safety Environment in the exterior Space of the University neighborhood One-room village -Focused on the case of 'O' university neighborhood One-room village in Chungcheongbukdo-)

  • 김환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321-331
    • /
    • 2018
  • 본 연구는 거주자의 생활안전도를 연구하기 위한 기초 단계로서, 대학교 인근 원룸촌을 대상으로 거주자 의식조사 및 현장조사 등을 통해 대학가 원룸촌의 생활안전요소를 도출하고, 문제점 및 해결방향을 건축계획적 차원에서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선행연구 결과 거주공간의 진입로 등 넓은 범위의 외부공간에 대한 생활안전 관련 연구나 실제 제도는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의식조사 결과, 거주공간의 생활안전 환경에 가장 심리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보행로와 같은 외부공간의 환경이 거주지의 생활안전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주지 외부공간의 생활안전 기능요소는 건축 계획적 차원에서 크게 거주자 감시, 동선유도와 영역 구분, 외부의 공적 공간 활용, 쾌적한 환경 유지 등의 4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소는 건물 진입 공간뿐만 아니라 보행로나 기타 오픈스페이스 등 보다 넓은 범위의 공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셋째, 대학가 원룸촌의 외부공간을 조사 분석한 결과, 보행로 같은 외부공간의 생활안전 환경이 거주인구와 원룸 건축물이 가장 많은 구역에서 매우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옥표준설계도의 평면도 공간배치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Space Arrangement in 'Standard Korea Traditional-Houses Design')

  • 황용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579-586
    • /
    • 2019
  • 본 연구는 경상북도 홈페이지에서 공개하고 있는 한옥표준설계도 4개 타입 32개 종류의 평면도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목표는 한옥표준설계도의 타입별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한옥을 설계하고자 하는 이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옥표준설계도에 현대주택에서 사용하는 현관과 같은 건축구성요소를 포함시켜 현대인의 삶을 수용하려고 노력하였다. 2. 농촌의 다양한 대지조건에도 불구하고 한옥표준설계도에서도 거실과 현관을 남쪽으로 배치하는 것을 선호하였고, 추후 확장을 위한 여분의 공간도 있었다. 3.침실개수는 2개 또는 3개가 가장 많았고 이에 침실의 개수 추가 및 농촌의 다양한 기능을 담을 수 있는 다양한 공간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4. 공간구문론과 감마맵을 이용한 공간깊이 분석에서 안방의 공간 깊이는 툇마루에서 진입하는 동선보다 현관에서 진입하는 동선이 공간의 깊이가 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안방의 공간 깊이는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관련되는 만큼 충분한 공간깊이로 확보될 수 있도록 계획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안도 타다오 건축의 외부공간에 나타난 진입시퀀스의 구성방식 (The Compositions of Approaching Sequence in Exterior Space of Tadao Ando′s Works)

  • 문정민;안우진;고성룡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9호
    • /
    • pp.27-34
    • /
    • 2001
  • The concept of homogeneous space which was made in during the modern architecture was criticize for making our circumstances uniformly. The difference of place disappeared. The concept of place, however, has been watching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 basis for the concept of place is 'movement in space'through the sense of the body. Thus, architectural methods for experiencing place are composing the sequence through the continuous time. It is important that the composition of sequences in place makes the spatial experiences with harmonies of architecture and environments in exterior space for people who enter the building. Tadao Ando makes place in terms of experiencing body. Compositions of sequence in his works are expressed very well at the approaching stages in the process of exterior space. This stud is to survey the compositions of approaching sequence in Tadao Ando's Works.

  • PDF

다중 무인 항공기의 협동 작업을 위한 무 충돌 비행 계획 (Collision-free Flight Planning for Cooperation of Multiple Unmanned Aerial Vehicles)

  • 박재병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9권2호
    • /
    • pp.63-7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공동 작업 공간에서 다중 무인항공기의 협동 작업을 위한 확장 충돌 지도 기반 무 충돌 비행 계획 기법을 제안한다. 먼저 무인항공기는 회전과 같은 3차원 움직임을 고려해 구로 모델링하였다. 공동 작업 영역에 진입 후 진출할 때까지 무인 항공기는 직선 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모든 무인 항공기의 우선순위는 미리 정해져 있다고 가정한다. 가정에 따라 3차원에서 정의된 구와 구 사이의 충돌 검출 문제를 2차원에서 정의된 원과 직선 사이의 충돌 검출 문제로 축소할 수 있다. 원과 직선 사이의 충돌영역은 계산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위해 충돌사각형으로 근사화 하였다. 이렇게 정의된 충돌사각형을 이용하여 무인 항공기들 간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도록 각 무인 항공기의 공동 작업 공간 진입 시간을 조율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모든 무인 항공기는 공동 작업 공간에 진입해서 진출할 때까지 서로 간에 충돌 없이 이동 할 수 있게 된다. 제안된 무충돌 비행 계획의 효율성을 증명하기 위해 12대의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광안리 도시공간의 해양문화공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안웅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95-197
    • /
    • 2014
  • 부산 광안리 일대는 해수욕장과 광안대교 그리고 불꽃축제와 해양레저센터 등을 두루 갖춘 국제적인 관광명소이다. 특히 김해국제공항으로부터 부산에 진입하는 경우 공항에서 연결된 자동차 전용도로가 광안대교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외지에서 볼 때, 가장먼저 부산의 바다를 보게 되는 장소이기도 하다. 따라서 광안리 도시공간은 바다와 내륙의 관광명소가 어우러진다는 부산의 정체성을 잘 보여주는 장소로서 그 의미가 더욱 크다. 그러나 광안리 도시공간이 국제적인 명소로 확고하게 정착되기 위해서는 보완해야 할 공공디자인적 요소들이 있다. 그것은 도시공간의 결절점과 확장성, 광안리를 향한 보행자의 접근로, 해변공간의 구조, 건축물들의 파사드와 같은 것들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요소들을 정리하고 분석하여 광안리 도시공간의 업그레이드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부산의 대표적인 관광명소인 광안리와 그 일대의 도시공간이 향후 세계적인 규모의 행사 수용은 물론 장기적인 발전이 가능해지는 초석이 될 것이다.

  • PDF

종합병원 진입부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복도 및 대기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ning of Entry Space in General Hospital - Focused on the corridor and the waiting space -)

  • 윤우용;채철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06-112
    • /
    • 2006
  • Buildings undergo changes by various factors according as pass at time. Due to that social requests and issues form one common sense of value and this would influence the architect's design intention. In fact, the form and function of buildings have coped with transition of the common sense of value by each times. Hospital architecture is also changed in function, scale and technology since, Kwanghyewon which was the first western style hospital in Korea was established in 1885. It is changing that the social needs for hospital which was a basic function of healing to laying emphasis on the function of precaution. According to this, the change of hospital spaces means that it can promote healing environment which is expanded from the modern concept of isolation, accommodation and urban sanitation. These changed concepts were adopted limited areas in hospitals at first however, nowadays they are expanding to other areas. So, this is caused to make the image of the hospital. From this point of view, Entry space is an example to show the changes. This study is intended to determine the overall space structure of entry area and to classify and analyze the dif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