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진원도측정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INDEX HEAD를 이용한 절대 진원도의 측정 평가에 관한 연구

  • 이동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1.04a
    • /
    • pp.143-149
    • /
    • 1991
  • 기계공업의 발전과 함께 각종의 기계, 장치 및 기기등은 보다 고정도와, 다기능화 및 고품질화가 계속 추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선 및 개량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이에 들어가는 각종 부품들의 고정도화와 고품질화가 선행되어져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반의 문제점 내지는 결함을 어느정도 해결하고 현장 및 측정실에서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INDEX HEAD를 이용한 절대 진원도의 측정법(일종의 양쎈터 지지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istion Measuring System (피스톤 측정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김경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Technology Engineers
    • /
    • v.6 no.2
    • /
    • pp.19-25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measuring system of piston. Designed values are compared with values of measured data of oval shape piston and allowable range and deviation are printed out by using this system. Thereafter, it is able to measure ovality precisely and to estimate its quality rapidly.

  • PDF

An Analysis of Performance Error of High Precision Measuring Instrument (진원도 측정기의 오차특성에 관한 연구)

  • 한응교;노병옥;허민석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3 no.5
    • /
    • pp.862-874
    • /
    • 1989
  • A phase evil method and spectrum analysis were instrument error which is originated from measurement system and the form error of standard specimens. An instrument with a rotating table supported by an air bearing is calibrated using standard specimens. The phase of standard specimens was measured 12 times on the rotating table with rotating 30 in turn and its measurement magnification was set by 100000 times.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of all the observations, read out at each of 144 orientations(per 2.5) from recorded datafiles, the error of the performance of the instrument and those of the standard specimens are evaluated and a systematic deviation of the instrument is determined. In the particular instrument used in the present experiment, the deviation of the instrument is determined with the accuracy of 15nm and those of standard specimens with the accuracy of 23, 13 n, respectively. The reproducibility of the instrument is investigated, too. If the instrument is calibrated by using the above standard specimens, then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of roundness error can be improved to about 15nm.

Alloy 690 제1열 시제전열관의 U 굽힘가공에서 치수평가 및 표면잔류응력

  • 김우곤;이창규;장진성;국일현;이동희;주영한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05b
    • /
    • pp.110-117
    • /
    • 1997
  • Alloy 690 제1열 시제 전열관을 U 굽힘 가공할 시 전열관에 도입된 표면 잔류응력 및 굽힘 단면에서 치수변화 (벽두께, 진원도)를 위치별로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외측호(extrados)의 표면 잔류응력은 $\psi$=0$^{\circ}$에서 축 방향 응력이 -319 MPa (압축)로 가장 높았으며, 내측호(intrados)는 $\psi$=0$^{\circ}$, 160$^{\circ}$ 위치인 천이영역 부관에서 응력 변화가 크게 되는 경향을 보였다 측면(flank)은 인장 잔류응력으로 $\psi$=90$^{\circ}$(apex)에서 최대 190 MPa 로 축방향 응력으로 나타났다. 잔류응력치는 벽두께 보다는 진원도 변화와 일치되어 나타났으며, 시제 전열관의 벽두께 및 진원도는 ASTM의 치수 허용치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잔류응력 측정은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구멍뚫기 방법 (Hole-Drilling Method)을 사용하였다.

  • PDF

스트레인 게이지의 온도특성과 극저온 환경에서의 거동

  • 주진원
    • Journal of the KSME
    • /
    • v.32 no.6
    • /
    • pp.514-523
    • /
    • 1992
  •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변형측정을 할 때 온도변화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겉보기 변형도와 게이지 상수의 변화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실제 측정시 정확한 측정값을 얻기위한 온도보상 방 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온도변화에 의한 겉보기 변형도의 값은 기계적 하중에 의한 변형도에 비하여 무시할 수 없는 큰 값을 나타내기 때문에 적절한 보상에 의하여 정확한 측정값을 얻어 내야 한다. 항공우주산업, 원자력산업 등의 분야에서 널리 응용되는 극저온 환경에서 겉보기 변 형도와 게이지 상수의 측정결과를 제시하였다. 극저온에서는 자체 온도보상된 스트레인 게이지라 할지라도 대단히 큰 온도영향을 받기 때문에 본시험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측정결과를 온도보 상하여 처리해야만 의미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시험에서 4차식으로 구해진 겉보기 변형 도에 대한 특성곡선과 게이지 상수에 대한 시험결과는 극저온에서 변형을 측정할 때 직접적으로 보상하여 사용될 수 있다.

  • PDF

Roughness Measurement of Hole Processing Surface for Mold Steel Using White Light Interferometer (백색광간섭계를 이용한 금형용 강재 구멍가공면의 조도 측정)

  • Lee, Seung-Chul;Kim, Kyeong-S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33 no.1
    • /
    • pp.73-79
    • /
    • 2013
  • In this study, NIMAX material has been processed using the three-dimensional measuring instrument and white light interferometer. they were tested to roundness and surface roughness and results are as follows: As for a cutting characteristic, it indicated that F4 showed a lower result than 2F showed due to the high hardness of the material and showed a good result when spindle rotation speed and tool feed were low. As for the measurement of roundness through 3-Dimensional measuring machine, it indicated that 4F showed a good result like the condition of cutting component and that roundness showed a good result when spindle rotation speed of 1,700 rpm and tool feed speed of 85 mm/min were applied. As for the surface roughness of processing surface, Surface roughness showed better 4F than 2F and conditions of spindle rotation speed 1,700 rpm, tool feed rate 55 mm/min showed good results in the Ra $0.4025{\mu}m$.

Development of Computer Modules for Precision Measurement of Geometric Tolerances (기하학적 공차의 정밀측정을 위한 컴퓨터 모듈개발)

  • 박희재;황상욱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0 no.3
    • /
    • pp.205-219
    • /
    • 1993
  • 제품의 기하학적 칫수 공차는 생산제품의 품질관리에 매우 종요하며, 측정기기의 발달과 함께, 컴퓨터를 이용한 기하하적 공차 해석의 수요와 경향은 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ISO의 공차 정의에 기초한 공차들(진직도공차, 편평도공차, 진원도공차, 평행도공차, 직각도공차, 윤곽공차)을 해석할 수 있는 컴퓨터 모듈이 개발되었다. 특히 윤곽공차의 경우 측정프로브의 반경의 효과가 배제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컴퓨터 모듈을 실제적인 측정작업에 적용하였으며, 고종도와 고효율성을 보임을 입증하였다.

  • PDF

표면 응력구배시의 잔류응력 측정에 관한 연구

  • 이택순;최병길;전상윤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4 no.4
    • /
    • pp.761-768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4-점 굽힘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구멍의 표면에서 응력구배를 발생시켰을 때 (구멍의 깊이 방향으로는 응력구배가 없음), 구멍을 뚫기전 표면의 응 력구배를 고려하여 산정한 하중상태와 구멍을 뚫은 후 이완되는 잔류응력을 비교하였 다. 또한 잔류응력 측정시 구멍의 진원도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연구하였으며, 구멍 직경의 측정오차가 잔류응력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4-점 굽힘 시험시 하중상태는 응력구배를 고려하여 계측되어야 하며, 응력구배장에서의 잔류응력 을 로젯트 게이지 중심에 존재하는 균일응력으로 나타낼 수 있다.

컬러 잉크제트 용지의 흡수거동과 인쇄품질에 관한 연구

  • ;Shigenori Kuga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1999.11a
    • /
    • pp.72-80
    • /
    • 1999
  • 친수성의 도공층을 갖고 있는 컬러 잉크제트 용지의 특성을 동적주사 흡액측정, 망점의 화상해석 및 도공층 표면을 주사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하여 검토하였다. 비잉크제트 용지와 도공지에 비하여 잉크제트 용지는 단시간 동안에 현저한 표면 흡액특성을 나타내었지만 그 특성은 제품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망점 특성으로부터 평가한 잉크 방울의 흡수시간은 망점의 면적과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진 않았으나 진원도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빠른흡액특성은 원형의 망점을 형성하는데 유효하였다. 광택 처리제품과 광택처리를 하지 않은 제품을 비교할 경우 광택처리 제품의 진원도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주사전자현미경의 관찰 결과로부터 도공층을 칼렌더 처리할 때 발생하는 할열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stablishment of nanometer length standardization using the monolithic x-ray interferometer (일체식 엑스선 간섭계를 이용한 나노미터 표준확립)

  • 김원경;정용환;박진원;김재완;엄천일;권대갑
    • Proceedings of the Korea Crystallographic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35-35
    • /
    • 2002
  • 나노미터 표준을 확립하기 위하여 일체식 엑스선 간섭계에 광간섭계를 결합시킨 복합간섭계를 구성하였다. 복합간섭계는 광간섭계의 Zero crossing 지점부터 표준시편이 올려진 미소이동대의 이동거리를 변화된 위상값으로 읽고 그 변화량을 고분해능 변위 측정기인 엑스선 간섭계로 읽어들이는 구조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소이동대의 위치 변화와 관련된 광간섭계의 위상 안정도, 엑스선 간섭계 및 미소이동대의 위치 안정도 등이 나노미터 영역의 길이 측정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므로, 미소이동대의 위치 변화시 정지상태에서의 위상 잠김 (phase locking) 안정도를 측정하였다. 마이켈슨 레이저간섭계의 한쪽 팔을 고정시키고 다른 한 팔은 미소이동대 위에 반사거울을 설치하여 미소이동대의 움직임을 측정하였다. 보다 안정된 위상잠김 상태를 확보하기 위하여 PID feedback loop controller를 사용하였다. 측정 결과 위상 변동폭이 0.022 degree 이하의 높은 위상잠김 안정도를 확보하였으며, 이를 길이단위로 환산하면 정지상태에서 약 0.02 nm 이하의 위치 안정도를 나타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