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진료과목 예측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Health Examination Data Based Medical Treatment Prediction by Using SVM (SVM을 이용한 건강검진정보 기반 진료과목 예측)

  • Piao, Minghao;Byun, Jeong-Yong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6 no.6
    • /
    • pp.303-308
    • /
    • 2017
  • Nowadays, living standard is improved and people have high interest to the personal health care problem. Accordingly, people desire to know the personal physical condition and the related medical treatment. Thus, there is the necessary of the personalized medical treatment, and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the automatic disease diagnosis and the related services. Those studies focus on the particular disease prediction which is based on the related particular data. However, there is no studies about the medical treatment prediction. In our study, national health data based medical treatment predictor is built by using SVM, and the performance is evaluated by comparing with other prediction method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health data based medical treatment prediction resulted in the average accuracy of 80%, and the SVM performs better than other prediction algorithms.

Association Prediction Method Using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ine Dust and Medical Subjects (미세먼지와 진료과목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연관성 예측 방법)

  • Lim, Myung Jin;Kim, Seon Mi;Shin, Ju Hyun
    • Smart Media Journal
    • /
    • v.7 no.3
    • /
    • pp.22-28
    • /
    • 2018
  • Air pollution problems in Korea are gradually becoming a higher concern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fine dust, causing anxiety among people with regard to their health. Although various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fine dust and a certain disease, they are mostly focusing on the analyzation that fine dust is related to specific illnesses such as respiratory and cardiovascular diseases, hypertension and diabetes. In this paper, we utilize the public data of medical history information to extract ten medical care subjects with the highest number of monthly care in 2016, and analyze the relation of fine dust with certain medical subjects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 also subdivide and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fine dust and the medical subjects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age. Middle-aged Female group with the stronges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ine dust and the medical subjects is analyzed with the correlation from 2011 to 2015, with its relevance coefficient extracted by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predict the correlation with the medical subjects according to the fine dust concentration.

National Health Data based Medical Treatment Prediction (국민건강정보 기반 진료과목 예측)

  • Ahn, Shinyoung;Lee, Yookyung;Piao, Minghao;Byun, Je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546-547
    • /
    • 2016
  • 생활수준의 향상 및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자신의 건강에 대해서 스스로 결정하고자 하는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IT와 의료기술의 발달은 이를 가능하게 하였으며 각종 의료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질병진단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민건강정보 기반 진료과목 예측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소비자 스스로 진료과목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Classification Modeling for Predicting Medical Subjects using Patients' Subjective Symptom Text (환자의 주관적 증상 텍스트에 대한 진료과목 분류 모델 구축)

  • Lee, Seohee;Kang, Juyoung
    • The Journal of Bigdata
    • /
    • v.6 no.1
    • /
    • pp.51-62
    • /
    • 2021
  • In the field of medical artificial intelligence, there have been a lot of researches on disease prediction and classification algorithms that can help doctors judge, but relatively less interested in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can help medical consumers acquire and judge information. The fact that more than 150,000 questions have been asked about which hospital to go over the past year in NAVER portal will be a testament to the need to provide medical information suitable for medical consumers. Therefore, in this study, we wanted to establish a classification model that classifies 8 medical subjects for symptom text directly described by patients which was collected from NAVER portal to help consumers choose appropriate medical subjects for their symptoms. In order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data involving patients' subject matter, we conducted similarity measurements between objective symptom text (typical symptoms by medical subjects organized by the Seoul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and subjective symptoms (NAVER data). Similarity measurements demonstrated that if the two texts were symptoms of the same medical subject, they had relatively higher similarity than symptomatic texts from different medical subjects. Following the above procedure, the classification model was constructed using a ridge regression model for subjective symptom text that obtained validity, resulting in an accuracy of 0.73.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Pediatric Dentists and the Adequacy of Supply and Demand Based on Covered Services (소아치과 전문의 인력 현황 및 공급 적정성에 관한 연구 - 급여 진료 항목을 기준으로)

  • Yeo Won Lim;Yong Kwon Chae;Ko Eun Lee;Ok Hyung Nam;Hyoseol Lee;Sung Chul Choi;Mi Sun Kim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50 no.3
    • /
    • pp.360-372
    • /
    • 202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pediatric dentists, evaluate the adequacy of pediatric dentist supply and demand, and find out the perception of all pediatric dentists on the current state of pediatric dentists and policy establishment.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pediatric dentists. The questionnaire was subdivided into 'general characteristics', 'number of dental treatments and working days per year', 'proportion of covered services', 'perceptions of supply and demand of pediatric dentists'. Through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s,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and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the current state of pediatric dentists, the number of claims for covered services, and the decrease in births per year were investigated. Dental clinics claiming to be pediatric dentistry reached half of all medical institutions, but only 3.78% of pediatric dentists actually worked. 61.36% of all pediatric dentists were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showing a national imbalance. Although the popul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have continuously decreased over the past 20 years, the number of NHIS-covered services has shown a continuous increase. Over the past 10 years, the optimal supply of pediatric dentists has been maintained at around 4,000. According to the analysis, 92.15% of pediatric dentists thought that it was necessary to prepare policies and support measures at the government level.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demand estimation method for pediatric dentistry specialists in the future.

Roles and Preparation for the Future Nurse-Educators (미래 간호교육자의 역할과 이를 위한 준비)

  • Kim Susie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39-49
    • /
    • 1981
  • 기존 간호 영역 내 간호는 질적으로, 양적으로 급격히 팽창 확대되어 가고 있다. 많은 나라에서 건강관리체계가 부적절하게 분배되어 있으며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적절한 건강관리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어 수준 높은 양질의 건강관리를 전체적으로 확대시키는 것이 시급하다. 혹 건강관리의 혜택을 받는다고 해도 이들 역시 보다 더 양질의 인간적인 간호를 요하고 있는 실정이다. 간호는 또한 간호영역 자체 내에서도 급격히 확대되어가고 있다. 예를들면, 미국같은 선진국가의 건강간호사(Nurse practitioner)는 간호전문직의 새로운 직종으로 건강관리체계에서 독자적인 실무자로 그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의사의 심한 부족난으로 고심하는 발전도상에 있는 나라들에서는 간호원들에게 전통적인 간호기능 뿐 아니라 건강관리체계에서 보다 많은 역할을 수행하도록 기대하며 일선지방의 건강센터(Health center) 직종에 많은 간호원을 투입하고 있다. 가령 우리 한국정부에서 최근에 시도한 무의촌지역에서 졸업간호원들이 건강관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법적 조치는 이러한 구체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기존 간호영역내외의 이런 급격한 변화는 Melvin Toffler가 말한 대로 ''미래의 충격''을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역동적인 변화는 간호전문직에 대하여 몇가지 질문을 던져준다. 첫째, 미래사회에서 간호영역의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이러한 새로운 영역에서 요구되는 간호원을 길러내기 위해 간호교육자는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 셋째 내일의 간호원을 양성하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전략은 무엇인가 등이다. 1. 미래사회에서 간호영역의 특성은 무엇인가? 미래의 간호원은 다음에 열거하는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지금까지의 것과는 판이한 환경에서 일하게 될 것이다. 1) 건강관리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컴퓨터화되고 자동화된 기계 및 기구 등 새로운 기술을 많이 사용할 것이다. 2) 1차건강관리가 대부분 간호원에 의해 제공될 것이다. 3) 내일의 건강관리는 소비자 주축의 것이 될 것이다. 4) 간호영역내에 많은 새로운 전문분야들이 생길 것이다. 5) 미래의 건강관리체계는 사회적인 변화와 이의 요구에 더 민감한 반응을 하게 될 것이다. 6) 건강관리체계의 강조점이 의료진료에서 건강관리로 바뀔 것이다. 7) 건강관리체계에서의 간호원의 역할은 의료적인 진단과 치료계획의 기능에서 크게 탈피하여 병원내외에서 보다 더 독특한 실무형태로 발전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미래 간호영역에서 보다 효과적인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 미래 간호원들은 지금까지의 간호원보다 더 광범위하고 깊은 교육과 훈련을 받아야 한다. 보다 발전된 기술환경에서 전인적인 접근을 하기위해 신체과학이나 의학뿐 아니라 행동과학 $\cdot$ 경영과학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훈련을 받아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행동양상면에서 전문직인 답게 보다 진취적이고 표현적이며 자동적이고 응용과학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훈련을 받아야 한다. 그리하여 간호원은 효과적인 의사결정자$\cdot$문제해결자$\cdot$능숙한 실무자일 뿐 아니라 소비자의 건강요구를 예리하게 관찰하고 이 요구에 효과적인 존재를 발전시켜 나가는 연구자가 되어야 한다. 2. 미래의 간호교육자는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 간호교육은 전문직으로서의 실무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석이다. 이는 간호교육자야말로 미래사회에서 국민의 건강요구를 충족시키기는 능력있는 간호원을 공급하는 일에 전무해야 함을 시사해준다. 그러면 이러한 일을 달성하기 위해 간호교육자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우선 간호교육자는 두가지 측면에서 이 일을 수정해야 된다고 본다. 그 하나는 간호교육기관에서의 측면이고 다른 하나는 간호교육자 개인적인 측면엣서이다. 우선 간호교육기관에서 간호교육자는 1)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간호원을 교육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2) 효과적인 교과과정의 발전과 수정보완을 계속적으로 진행시켜야 한다. 3) 잘된 교과과정에 따라 적절한 훈련을 철저히 시켜야 한다. 4) 간호교육자 자신이 미래의 예측된 현상을 오늘의 교육과정에 포함시킬 수 있는 자신감과 창의력을 가지고 모델이 되어야 한다. 5) 연구 및 학생들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의사결정에 학생들을 참여시키도록 해야한다. 간호교육자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교육자 자신들이 능력있고 신빙성있으며 간호의 이론$\cdot$실무$\cdot$연구면에 걸친 권위와 자동성$\cdot$독창성, 그리고 인간을 진정으로 이해하려는 자질을 갖추도록 계속 노력해야 한다. 3. 미래의 간호원을 양성하는 능력있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전략은 무엇인가? 내일의 도전을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있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전략을 논함에 있어 우리나라의 실정을 참조하겠다. 전문직 간호교육자를 준비하는데 세가지 방법을 통해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는 간호원 훈련수준을 전문직 실무를 수행할 수 있는 단계로 면허를 높이는 것이고, 둘째는 훈련수준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학사 및 석사간호교육과정을 발전시키고 확대하는 것이며, 셋째는 현존하는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첫째와 둘째방법은 정부의 관할이 직접 개입되는 방법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하고 현존하는 교과과정을 발전시키고 그 질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해서만 언급하고자 한다. 미래의 여러가지 도전에 부응할 수 있는 교육자를 준비시키는 교육과정의 발전을 두가지 면에서 추진시킬 수 있다고 본다. 첫째는 국제간의 교류를 통하여 idea 및 경험을 나눔으로서 교육과정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서로 다른 나라의 간호교육자들이 정기적으로 모여 생각과 경험을 교환하고 연구하므로서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발전체인(chain)이 형성되는 것이다. ICN같은 국제적인 조직에 의해 이러한 모임을 시도하는 것인 가치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국가간 또는 국제적인 간호교육자 훈련을 위한 교육과정의 교환은 한 나라안에서 그 idea를 확산시키는데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충분한 간호교육전문가를 갖춘 간호교육기관이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그렇지 못한 기관과의 연차적인 conference를 가지므로 확산시킬 수도 있으며 이런 방법은 경제적인 면에서도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그 나라 그 문화상황에 적합한 교과과정 개발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는 둘째전략은 현존간호교육자들이 간호이론과 실무$\cdot$연구를 통합하고 발전시키는데 있어서 당면하는 여러가지 요인-전인적인 간호에 적절한 과목을 이수하지 못하고 임상실무경험의 부족등-을 보충하는 방법이다. 이런 실제적인 문제를 잠정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1) 몇몇 대학에서 방학중에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직 간호교육자들에게 필요하고 적절한 과목을 이수하도록 한다. 따라서 임상실무교육도 이때 실시할 수 있다. 2) 대학원과정 간호교육프로그램의 입학자의 자격에 2$\~$3년의 실무경험을 포함시키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교수와 학생간의 진정한 동반자관계는 자격을 구비한 능력있는 교수의 실천적인 모델을 통하여서 가능하게 이루어 질수 있다고 믿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