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로몰입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3초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이 진로자기조절,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ysfunctional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on Job-Seeking Anxiety)

  • 김인숙;손민정;박혜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02-312
    • /
    • 2017
  • 우리나라 교육은 대학졸업이 필수적인 것으로 생각하며, 이러한 사회현상으로 진로선택이 매우 중요한 과제이나 청소년이나 청년들은 자신의 진로를 스스로 결정하거나 책임지기에는 매우 부족한 부분이 많다. 그로인해 타인의 영향을 받게 되므로, 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이 진로자기조절과 전공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 대상자는 M전문대 1-3학년 대학생 300명으로 하였다. 조사기간은 2015 .9 .30~10. 7까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첫째, 진로정체감이 진로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는 진로환경조성 18%, 진로몰입의지 27%, 계획 및 점검 18%, 진로피드백 12%, 긍정적사고 22%로 나타났으며 진로몰입의지가 진로정체감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진로정체감은 전공만족도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에 대한 결과는 인식만족, 관계만족, 일반만족이 진로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이 전공이나 직업선택에 갈등을 낮추고, 그들이 전공에 대한 만족감이 높아지면 취업준비나 직업선택에 자신감과 인생목표를 세울 수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러므로 대학에서는 진로정체감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직업지도프로그램과 진로상담 등에 대한 개발과 연구가 필요하다.

미용 전공 대학생의 진로성숙도가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areer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on Immersion in the Major)

  • 문소희;전현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3-118
    • /
    • 2023
  •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career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on their devotion to the major. Research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areer maturity level of cosmetology majors and the sub-factors of devotion to majors, all question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career maturity of cosmetology majors and devotion to majo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career maturity on major activity sub-factors of major involvement, the crystallinity of career maturity , readiness statistic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career maturity on the major satisfaction subfactor of major immersion, the crystallinity of career maturity , readiness, and certainty were shown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Through research results, we aim to develop a positive career maturity for cosmetology majors, improve their immersion in their majors, and establish a sense of values through correct theory and practical education. Immersion education and ongoing guidance seem necessary. Through this research, we hope that active discussions will be held on the career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and their devotion to the major.

PLC실습을 통한 몰입경험 (Flow Experience through PLC Practice)

  • 허준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43-49
    • /
    • 2014
  • 몰입을 할 줄 아는 능력과 습관이 한 개인의 삶의 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청소년기로부터 성인 초기로 전환하는 중요한 시기에 있는 대학생의 몰입 경험은 일차적으로 전공 탐구와 진로 결정에 크게 영향을 주고 향후 질 높은 삶이 전개에도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공과대학 메카트로닉스공학부생들이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실습을 통하여 몰입을 경험하는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몰입 요건을 분석하여 PLC실습에서 몰입학습이 일어나도록 강의계획을 수립하고, 학습여건을 만들고, 수업 난이도를 조정하였다. 그리고 한 학기 동안 PLC실습을 수강한 학생들 90명에 대하여 Likert식 5점 척도 설문으로 몰입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생애진로분기점별 진로정체성 혼돈에 따른 진로전략 분석 (Analysis of Career Strategy according to Career Identity Confusion at the Each Life Career Branching Point)

  • 손민정;조인수;최정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299-323
    • /
    • 2018
  • 이 연구는 진로전환의 기점을 분기점별로 확인하고, 진로정체성 혼돈에 따른 진로전략을 질적 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학령기 교육의 수직적 전환단계에 해당하는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3학년, 대학 졸업 전후의 시기별로 각 3명씩을 선정하였으며, 조직규모별 종사경험자가 포함될 수 있도록 30세 전후, 40세 전후, 60세 전후 참여자를 각각 3명씩 선정하였다. 총 18명의 면담내용을 주제 분석한 결과, 첫째,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3학년, 대학 졸업 후 취업하기 전까지, 직장생활 3년 차 이내, 40대 초중반, 60세, 80세를 생애진로분기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애진로분기점별 외부적 상황은 부모, 교사, 상사, 동료, 또래 등 의미 있는 타인의 영향을 받거나 그 외에 교육 및 훈련, 일 관련 경험, 취업 실업, 직무전환 등 환경적 요인, 진로사건에 관한 내용이었다. 셋째, 생애진로분기점에서의 정서적 상황에서는 분기점별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생애진로분기점을 경험할 때마다 부정적 정서가 반복되는 양상을 보였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은 생애진로분기점마다 진로정체성에 대한 혼돈을 보였다. 다섯째, 생애진로분기점에서의 진로 전략은 접근 전략으로 진로 범위의 확대, 멘토링의 활용, 직무 충실과 몰입, 관련 교육 및 훈련 등과 같이 진로 목표에 다다르기 위한 전략이 있었고, 회피와 관련한 전략은 진로 제한에 따른 타협, 당면과제 회피 및 현실도피, 사회 규범적 가치에 편승, 진로와 관련 없는 성과에 주력하는 등과 같이 궁극적으로 진로목표 달성과는 연관성 없는 행동을 지향하는 내용 전략으로 범주화되었다.

대학생의 진로유형별 진로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진로결정몰입의 차이 (Differences of Career Stress Coping Strategy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mong the Career Types for College Students)

  • 황지영;고미나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1041-105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group differences o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nd Career stress coping strategy by the Career decis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College Student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anted to look for discriminatory implications for the counseling intervention. The data of 720 college students were collected for the study. The distinction of four types was revealed by the results from Crosstabs and One-way ANOVA. The frequency of upper grades indicated ideal type. But the immature type was fourth grad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two-dimensional typology o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nd Career stress coping strategy by One-way ANOVA. Discussion focused on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in career counseling based on group differences by the Career decis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한국판 학생 진로구성척도(Korean Student Career Construction Inventory)의 타당화 연구: 초기 성인기를 중심으로 (The Validation of Korean Student Career Construction Inventory: Focusing on emerging adulthood)

  • 표소휘;양은주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7권2호
    • /
    • pp.145-164
    • /
    • 2020
  • 본 연구는 진로적응모형의 진로적응반응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학생 진로구성척도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진로구성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대학생과 대학원생 집단의 측정동일성을 검증하였으며, 내적일치도 및 재검사 신뢰도를 평가하고 진로관련 척도들과의 준거관련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총 294명의 연구참여자는 번안된 진로구성척도(Student Career Construction Inventory)와 진로적응성 척도(Career Adaptability Scale) 및 진로정체성 척도를 온라인 설문으로 작성하였다. 재검사 신뢰도 검증을 위해 125명의 참여자가 3개월 후 진로구성척도 설문에 같은 방식으로 참여하였다. 검사 결과 원척도와 동일한 18문항 4요인 구조가 지지되었으며, 대학생과 대학원생의 측정동일성이 지지되었다. 내적 일치도 및 재검사 신뢰도 역시 적절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진로구성척도는 진로적응성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다차원적 진로정체성의 탐색 및 몰입 차원과는 정적상관을, 재고 차원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단일차원의 진로정체성과도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본 결과는 한국판 학생 진로구성척도가 원척도와 유사한 심리측정적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대학생과 대학원생 모두에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미래의 나에게 쓴 편지 분석을 통한 과학영재들의 진로 정체성 탐색 (Explore Vocational Identity of Science-Gifted Students by Analyzing Letters Written to Myself in the Future)

  • 유은정;김경화;고선영;장선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53-267
    • /
    • 2016
  • 사람은 누구나 행복한 미래를 꿈꾼다. 개인이 결정하는 진로의 방향은 곧 그의 삶의 방향과 질을 결정하므로, 긍정적 진로발달을 이루기 위한 진로 정체성은 청소년기의 가장 중요한 발달 과업 중 하나이다. 개인적 측면뿐만 아니라 국가적 측면에서도, 과학영재들의 진로 정체성은 중요한 논의의 대상이다. 본 연구는 과학영재학교에 최종 합격한 과학영재 10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들의 진로 정체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미래의 자신에게 쓴 편지를 수정 보완된 VISA 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영재들의 진로 정체성 상태는 조기결정과 탐색유예를 보여주었다. 과학영재들은 진로 몰입 정도가 진로 탐색이나 진로 재고려 차원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진로 동일시, 좁은 탐색과 진로 유연성이 높게 나타났다. 과학영재들의 진로 정체성에서 발견된 공통적인 지향점은 강한 열정, 한계에 대한 도전, 인류에 대한 책임감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과학영재들의 진로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하고자 하였으며 과학영재들이 개인의 목표와 영재교육 본연의 목표를 실현할 수 있도록 영재를 위한 진로교육방법과 그 내용을 개발하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승무원 준비생의 3세대 SNS 사용동기가 몰입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개인적 특성 조절변수 추가 (The effect of motivation of using instagram on flow of instagra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job seekers for cabin crew: inclusion of personal characteristic as a moderator)

  • 고민환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76-90
    • /
    • 2018
  • Despite the growing use of SNS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recruitment related to SNS,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between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and relationship with SN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among purpose of using instagram, flow of instagram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by investigating the adjustment effect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 among them.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students who want to be cabin crew.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otivation of using instagram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flow of instagram, which in turn positively influenc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urthermore,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re was a adjustment moderating effect on personal characteristic between purpose of using instagram and flow of using insta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likelihood of recruitment for being cabin crew can be achieved by identifying mutual relationships among motivation of using instagram, flow of instagram,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청소년 게임 과몰입 해소를 위한 e-스포츠 온라인 수련활동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온라인 롤(League of Legends: LoL) 게임학교'를 중심으로 (Effectiveness of e-Sports Online Training Program for Relieving Youth Game Over-flow: Focusing on 'Online LoL(League of Legends) Game School')

  • 최정혜;방승호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33-142
    • /
    • 2021
  • 본 연구는 청소년 게임 과몰입 해소를 위한 e-스포츠 온라인 수련활동 프로그램인 '온라인 롤(League of Legends: LoL) 게임 학교'에 대한 효과성을 조사하였다. 서울시교육청 학생교육원에서 주관한 온라인 롤 게임학교는 e-스포츠게임을 전문적으로 배울 수 있는 다양한 활동과 관련 진로를 탐색해 볼 수 있는 수련활동이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정서를 제공하였고, 내재적 동기 유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고 이색적인 경험을 추구하는 Z세대 청소년들에게 e-스포츠 교육 콘텐츠가 건강한 게임 문화를 이해하는데 직접적인 도움이 되고, 자신의 진로와 삶에 대한 건설적인 생각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드는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한다.

인식된 과잉자격이 직무재창조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종단연구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Its Relationships with Job Craft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 Longitudinal Study)

  • 권정언;우형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531-54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근래에 노동시장에서 부각되고 있는 과잉자격 문제를, 직무설계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해소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과잉자격이란, 조직구성원이 보유한 기술, 지식, 교육 수준이 자신에게 부여된 업무에서 요구하는 자격요건 수준보다 상회하는 상태이다. 그동안 과잉자격의 부작용이 중점적으로 연구되어 왔지만, 본 연구는 이를 극복하는 돌파구로서 직무재창조에 초점을 두었다. 과잉자격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인식이 직무재창조 활동을 촉발시키고, 나아가 조직몰입을 제고하는 과정을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으로 실증하였다. 3개월 간격으로 총 3차례에 걸쳐 반복측정하여 263명의 종단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조직구성원의 인식된 과잉자격이 직무재창조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교차지연적 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전 시기의 직무재창조는 다음 시기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다른 역인과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 즉, 인식된 과잉자격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직무재창조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과잉자격을 자각하는 조직구성원이 자발적으로 직무재창조에 나설 수 있는 조직풍토를 조성할 것을 제언하고, 이를 추진할 수 있는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