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로결정효능감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1초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 임수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575-586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진로장벽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모델을 설정하였다. 5개 대학의 1-4학년 대학생 307명의 응답이 분석되었다. 통계분석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학년이나 계열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진로장벽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부적 영향을 주었다. 진로장벽이 증가할수록,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낮아졌다. 또한 진로장벽은 사회적 지지와 상호작용 하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었다. 사회적 지지가 높은 경우에는 진로장벽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였지만 사회적 지지가 낮은 경우에는 진로장벽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더 적은 영향을 주었다. 진로장벽을 낮추고 사회적 지지를 높이는 것은 결과적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여 대학생의 진로발달에 도움을 줄 것이다.

공학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to the Career Decision Level.)

  • 강승희
    • 직업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291-30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공학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진로 관련 변인, 즉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효능감 그리고 진로태도성숙의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지역 대학교 공학계열 남녀학생 총 435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효능감,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결정수준 검사를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공학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결정효능감,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결정수준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다. 둘째, 공학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효능감 및 진로태도성숙 중에서 진로결정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진로태도 성숙으로 나타나, 진로결정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학전공 대학생의 진로태도 성숙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진로결정 효능감 역시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진로태도성숙과 함께 진로결정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대학생 대상의 진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청소년의 참여행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Youth Participation Behavior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조성희;김웅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605-613
    • /
    • 2017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참여행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수행을 위해 J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 1,077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경로분석 방법을 통해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참여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직접적인 영향력과 참여행동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하는 간접적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참여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력과 참여행동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하는 간접적인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있어서 참여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시켜 주었으며, 특히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개입에 있어서 참여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 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청소년의 참여행동,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을 증진하기 위한 융복합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뷰티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 직업가치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ajor Satisfaction, Occupation Value View and Career Decision-Marking Self-Efficacy of Beauty Majoring students)

  • 표영희;윤미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44-153
    • /
    • 2019
  • 본 연구는 뷰티관련 학과에서 보다 질 높은 교육과정을 통해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전문화되고 경쟁력 있는 인재를 양성하고 뷰티전공 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 및 직업가치관과의 구조적인 상관관계를 설문수집과 통계분석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뷰티관련 대학의 뷰티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 직업가치관,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구직결정 자기효능감에 관하여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 전공만족도는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대하여 p<.001로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가치관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진로결정과 구직결정에 대하여 p<.001로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가치관은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중 진로결정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전공만족도와 직업가치관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있어 구조적으로 유의미하게 작용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뷰티전공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수들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대학생활에서의 진로동기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플로리시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Flouris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College Life)

  • 이정아;김미진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931-938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이 이들의 진로결정 및 진로과업 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인식하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진로동기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함과 동시에 진로동기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플로리시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355명을 연구대상으로 진로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플로리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플로리시는 보통보다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플로리시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동기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플로리시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진로동기와 플로리시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켜 이들이 진로결정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진로동기와 플로리시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이 진로결정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mployment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Career Decision Efficacy in University Students')

  • 김영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778-2788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이 진로결정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밝히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I시에 소재한 대학생 4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결과에 대하여 첫째,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 심리적안녕감, 진로결정효능감은 성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별에 따른 취업스트레스, 심리적안녕감, 진로결정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 심리적안녕감, 진로결정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은 진로결정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진로탐색과 진로선택에 있어 취업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변인임을 보여주며, 진로와 관련된 결정을 내리는데 진로결정효능감은 진로지도에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기업가정신이 창업효능감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Effect of the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윤지수;현병환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87-711
    • /
    • 2017
  •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이 창업효능감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양자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기업가정신은 창업효능감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가정신은 창업의도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가정신과 창업효능감 및 창업의도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모두 정(+)의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어 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 PDF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Competence)

  • 권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181-187
    • /
    • 2013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한 진로결정효능감의 효과를 검증하여 향후 대학생들의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대학의 진로 지도의 방향 설정의 기초가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창원시 소재 K대학교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실시 전후의 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우선 대학생 진로상담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적용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결정효능감수준이 향상되었다. 진로결정효능감 변화량의 집단간 T-test 결과 진로결정효능감 전체에 대하여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 요인으로서는 계획수립, 자기평가의 변화가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직업전문학교 청소년의 직업훈련만족도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Job Training Satisfaction on Career Attitude Maturity in Vocational College Youth: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 조창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15-2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직업훈련만족도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태도성숙에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4개의 직업전문학교에서 편의표집하여 설문조사에 참여한 386명이며, 통계 처리에는 SPSS 21.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훈련만족도와 진로태도성숙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직업훈련만족도는 진로태도성숙에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태도성숙에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청소년의 직업훈련만족도와 진로태도성숙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부분매개의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들이 직업전문학교에서 직업훈련만족도가 높아지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아지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아지면 진로태도성숙도 역시 향상되어 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대학생의 진로내외통제소재가 진로결정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e of Career Locus of Control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Efficacy)

  • 김영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488-5496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진로내외통제소재가 진로결정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밝히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I시에 소재한 대학생 4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 결과에 대하여 첫째, 대학생들의 진로내외통제소재와 진로결정효능감은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대학생들의 진로내외통제소재와 진로결정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들의 진로내외통제소재가 진로결정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진로탐색 및 진로선택, 구직활동을 하는데 내적통제 요인이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며, 진로와 관련된 결정을 내리는데 진로결정효능감은 진로지도에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진로내외통제소재와 진로결정효능감에 대한 지속적인 탐색과 분석이 이루어지며, 대학생에게 다양한 진로지도프로그램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