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진동 및 안정성

Search Result 446,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A study on vibration characteristics and optimum design of a desander developed for constructing nonmansize cable tunnel in downtown (도심지 무인통신구 건설을 위한 도심형 디샌더의 진동특성과 최적화에 관한 연구)

  • Kim, Jung-Guen;Baik, Song-Hoon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187-191
    • /
    • 2005
  • 도시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초고속 네트워크서비스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KT는 경제적이고 안정된 구조의 직경 1,000mm 이하의 무인통신구를 건설하고 있다. 도심지에서 무인통신구 공사 허가 및 민원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공사시 발생하는 이수 처리장치인 디샌더(Desander)의 소음과 진동이 있다. 소음과 진동은 불쾌감을 유발하고 인근 건물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소음과 진동의 주 원인인 디샌더가 발생하는 진동 특성을 모델링하고 설계인자를 이용한 최적화를 통해 진동전달 량의 최소화에 관한 것으로 이를 통해 디샌더의 설계단계에서부터 민원 유발원인인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 하고자 한다.

  • PDF

대구경 광학탑재체 광구조부의 길이 안정성 측정장치

  • Yeon, Jeong-Heum;Lee, Eung-Sik;Jang, Su-Yeong;Lee, Deok-Gyu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227.2-227.2
    • /
    • 2012
  • 대구경 고해상도 광학탑재체의 광구조부는 주반사경과 부반사경 등을 포함한 주요 광학부품들과 검출기를 포함한 초점면 조립부 등을 고정 지지해주는 부분으로, 발사시 전달되는 진동 및 우주 열환경하에서의 길이 안정성을 광학성능 범위내로 유지하여야 한다. 광학탑재체의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주반사경과 부반사경의 광축방향의 길이 안정성으로, 광학탑재체의 작동 온도범위 내에서 수 마이크로미터 내외로 안정성이 요구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주반사경과 부반사경의 간격은 열 및 흡습에 둔감한 탄소섬유 강화수지 복합재로 되어 있는 경통 구조물로 설계, 제작된다. 제작된 경통구조물의 길이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정밀 측정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길이 안정성 측정장치에 대해 기술한다. 온도에 대해 변화가 거의 없는 (CTE<0.1ppm/K) Zerodur 소재의 막대 구조물을 기준 스케일로 삼았고, 이를 지지하기 위해 Invar 소재의 구조물을 사용 하였다. 주반사경의 베젤부위와 부반사경의 접속부위의 변위 변화를 세점에서 측정하여 길이 안정성을 측정할 수 있게 하였다.

  • PDF

Experimental study of Auto Balancer Using Steel Ball (볼을 이용한 자동평형장치의 실험적 연구)

  • 김유신;양보석;전상범;이장우;김성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04a
    • /
    • pp.53-59
    • /
    • 1996
  • 오늘날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기계와 가전 제품에는 회전기계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이러한 회전 요소에서 종종 진동이 발생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진동이 발생시키는 원인 중에서도 회전체의 불평형(unbalance)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불평형 중에도 매 운전 사이클마다 불평형의 크기나 위치가 바뀌는 경우에는 평형잡이 기계로는 불평형을 수정할 수 없다. 이를 자동적으로 수정하는 장치로써 Thearle가 볼(steel ball)을 이용한 자동평형장치를 제안하였고, 정상는 2개의 볼을 내장한 1개 또는 2개의 원판을 설치하여 계의 기본적인 진동특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볼과 저점성유체를 내장한 단일원판의 자려진동에 대한 안정성을 조사한 연구결과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이론들을 기초로 하여 1) 2개의 원판을 모델한 기본적인 진동거동, 2) 자동 평형장치로서 이용가능한 운전영역과 자려진동의 발생 영역 및 조건, 3) 계의 파라메터, 즉 각가속도, 원판내의 유체의 점성계수 및 볼의 갯수의 변화에 대한 자동평형장치의 성능 등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 PDF

Propellane 분자들의 안정성 특성에 대한 고찰

  • Sin, Chae-Su;Son, Mun-Gi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5.03a
    • /
    • pp.167-170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기 반응에 등장하는 propellane의 흥미로운 안정성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통해 접근하였다. [1.1.1]propellane은 ring strain이 비교적 약한 [2.2.2]propellane보다도 안정적이다. EDISON에 업로드 되어있는 GAMESS 패키지 및 wxMacmolplt을 활용하여 이러한 현상에 대해 이론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로 보고된 이례적인 안정성을 여러 종류의 propellane 분자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 비교를 통해서도 확인하였으며, 분자오비탈 모양과 같은 정성적인 시뮬레이션 결과뿐만 아니라 계산된 에너지준위 간격, 진동자 강도 등의 정량적인 수치들 역시 이러한 안정성과 합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 PDF

Vibration Stability Analysis of Automotive Exhaust Sensor (자동차 배기계 센서 구성품의 진동 안정성 해석)

  • Park, Hyun Bum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1 no.4
    • /
    • pp.44-47
    • /
    • 2017
  • This work dealt with vibration stability analysis of automotive exhaust sensor. In this work, structural design and analysis of exhaust gas sensor of automobile system were performed. Firstly, structural design requirement of automobile exhaust system was investigated. After structural design,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exhaust measurement sensor system were performed usig the finite element analysis method. It was performed that the vibration and thermal stress analysis at the high temperature condition. After structural test of target structure, structural test results were compared with analysis results. Through the structural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signed measurement sensor structure is safety.

On the Evaluation of In-Vehicle Dynamic Characteristics and On-Road Dynamic Stability(Angle of Rotation) of Rearview Mirror (리어뷰 미러의 실차 동특성 및 주행시 동적 안정성(회전각)에 대한 평가)

  • Jung, Seung-Kyun;Lee, Keun-Soo;Kim, Jeung-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8.11a
    • /
    • pp.385-386
    • /
    • 2008
  • Dynamic stability of the vehicle rearview mirror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driver's visual perception (image blur) when driving down the road and regarded as one of the vehicle level N&V performance of visible component vibration. Several projects within GM identified a set of objective metrics and validation methods that can replace current existing subjective evaluation of mirror stability. This paper presents objective evaluation results for assessing dynamic stability (angle of rotation) of the vehicle rearview mirrors using both in-lab FRF measurements and on-road testing.

  • PDF

Vibration Stability Analysis of Multi wall Carbon Nanotubes Considering Conveying Fluid Effect (유체유동효과를 고려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진동 및 안정성 해석)

  • Yun, Kyung-Jae;Choi, Jong-Woon;Song, Oh-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219-224
    • /
    • 2012
  • In this paper, vibration and flow-induced flutter instability analysis of cantilever multiwall carbon nanotubes conveying fluid and modelled as a thin-walled beam is investigated. Non-classical effects of transverse shear and rotary inertia are incorporated in this study. The governing equations and the associated boundary conditions are derived through Hamilton's principle. Numerical analysis is performed by using extend Galerkin method which enables us to obtain more exact solutions compared with conventional Galerkin method. Cantilevered carbon nanotubes are damped with decaying amplitude for flow velocity below a certain critical value, however, beyond this critical flow velocity, flutter instability may occur. Variations of critical flow velocity with both radius ratio and length of carbon nanotubes are investigated and pertinent conclusion is outlined.

  • PDF

A example study on monitoring near field vibration in the rock mass adjacent blast hole (발파공 주변의 인접거리 진동계측 사례연구)

  • Lee, Hyo;Won, Yeon-Ho;Kim, Jin-Soo;Ju, Young-Og
    • Proceedings of the KSEE Conference
    • /
    • 2006.10a
    • /
    • pp.153-166
    • /
    • 2006
  • 종래의 발파진동의 분석은 주로 대상 지장물에 대한 피해한계를 정립시키고자 하는 관점에서 발파공에서 비교적 원거리의 진동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어져 왔으나, 최근의 추이는 발파공 주변 암반의 손상의 정도를 평가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그 분석영역의 범위가 근거리 진동특성 연구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터널 발파작업시 여굴의 발생, 암반사면의 안정성 검토 등의 목적으로 암반의 손상영역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암반손상의 평가를 위한 손상권 예측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 대부분이 발파진동속도에 근거하고 있으며, 평가를 위한 진동의 예측은 기존에는 원거리 진동특성을 이용하여 근거리 진동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그 손상의 정도를 평가하였으나, 최근의 추세는 계측기의 발달로 수m 이내의 진동특성의 계측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국외에서는 수차례의 실험결과가 여러 문헌에서 보고되고 있으나, 실험장비의 선택 및 측정방법의 어려움 등의 연유로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실시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발파공 근접진동(near field vibration) 계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추후 지속적인 근거리 진동측정 방법 및 평가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무엇보다도 어떻게 계측할 것인가 하는 계측방법 및 그 계측결과의 분석방법에 대해 문제점 파악 및 향후 보완점에 대해 비중을 두어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