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단척도

검색결과 500건 처리시간 0.025초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소형척도 개발 (Small diagnostic scale for internet addiction)

  • 오광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6호
    • /
    • pp.1203-1209
    • /
    • 2010
  •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는 2002년 개발한 한국형 인터넷 중독 진단척도를 사용하여 인터넷 중독 실태를 매년 발표하고 예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정보화의 역기능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인터넷 중독의 폐해가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소형척도를 제안하고자한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킴벌리영척도와 한국형진단척도를 적용하여 인터넷 중독을 진단한 자료를 분석한다. 두 척도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한 결과 한국형진단척도에서 요인타당도가 있음으로, 이를 이용하여 소형척도를 개발한다. 요인타당도의 요인적재값과 변수선택법을 이용하여 선택한 소형척도들을 비교 분석한다. 분할표와 감마 연관성측도를 이용하여 소형척도와 기존의 척도들과의 일치성을 비교하고, 소형척도들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조사한다.

성인 인터넷 중독진단을 위한 K-척도와 KS-A 척도 비교 (Comparison of K-scale and KS-A scale for Adult Internet Addiction Diagnosis)

  • 김희재;김종완;황병곤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224-22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한국정보화진흥원의 인터넷 중독진단 척도인 K-척도와 2012년 새롭게 발표된 성인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간략형 척도인 KS-A를 비교함으로써 성인 인터넷 중독진단의 현황과 문제점을 확인한다.

  • PDF

대학생의 인터넷 이용패턴을 통한 인터넷과 스마트폰 중독진단에 관한 비교연구 (A Study on the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Diagnosis's Comparison through internet usage pattern of College Students)

  • 김희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10
    • /
    • 2014
  • 유비쿼터스의 기능이 결합된 뉴미디어의 보급으로 인터넷 중독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중독은 정보화의 역기능으로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스마트폰 중독정도를 비교분석하고자 지역 인근 대학교의 일부 대학생들에게 한국형 성인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척도인 K-척도와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인 S-척도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기본적인 인터넷 이용패턴을 취득하는 설문문항을 개발하여, K-척도와 S-척도로는 별견되지 않는 숨겨진 인터넷 중독자와 스마트폰 중독자를 찾아서 K-척도와 S-척도의 진단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K-척도 및 S-척도와 달리 대학생들의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통한 인터넷 주활동과 예상 및 실제 사용시간을 계산하여 구한 내성정도를 이용하여 중독을 진단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SPSS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숨겨진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자를 찾을 수 있었다.

  • PDF

K-척도와 인터넷 사용 내성정도를 이용한 인터넷 중독 진단 방법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K-scale and the internet addiction diagnosis method using tolerance degree for internet use)

  • 김희재;김종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47-55
    • /
    • 2012
  •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개발한 4가지 부류의 20문항으로 구성된 한국형 성인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척도 (K-척도)의 4가지 요인 가운데 '내성 및 몰입 요인'이 인터넷 중독 진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데이터마이닝 기법으로 밝힌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토대로 사용자의 직무 무관 인터넷 이용 활동에 대한 내성정도를 이용하여 인터넷 중독 진단을 수행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K-척도와 제안된 내성정도를 이용한 인터넷 중독 진단 방법에 대하여 설문조사에 참여한 일부 사용자 대상으로 피드백을 받은 결과, 제안된 사용자 중심의 진단 방식이 사용자 고의에 의한 미발견 중독자 발견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성인 인터넷 중독진단 개선을 위한 요인분석 (Factor Analysis for Improving Adults' Internet Addiction Diagnosis)

  • 김종완;김희재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17-322
    • /
    • 2011
  •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개발한 한국형 성인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척도인 K-척도는 4가지 요인의 20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설문응답값으로 인터넷 중독을 진단한다.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인터넷 중독의 원인을 찾으려는 시도였으며, 청소년 대상으로 수집된 표본을 가지고 그들의 인터넷 중독진단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계 기법의 주성분분석과 데이터마이닝 기법인 의사결정트리를 이용하여 K-척도의 사용자군 분류를 판정하는 주요인을 발견하는 것이다. 실험 결과로부터 K-척도를 구성하는 4가지 요인 중 내성 및 몰입 요인이 성인 인터넷 중독진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우울과 불안의 변별적 진단을 위한 다차원 정서 척도의 개발 (Development of an Multi-dimentional Affect Scale for Distinguishing between Depression and Anxiety)

  • 이창묵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393-406
    • /
    • 2018
  • 우울과 불안은 진단 기준, 관련 이론, 증상 등에서 유사한 점이 많아 기존의 척도로는 서로를 변별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적 정서와 부적 정서가 우울, 불안과 높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는 선행 연구를 근거로 우울과 불안의 변별적 진단을 목적으로 하는 진단 척도를 개발하였다. 먼저 우울과 불안의 공통분을 제거한 편상관 계수를 기준으로, 한 쪽에만 높은 상관을 나타내는 문항들을 찾아서 우울 및 불안에 대한 씨앗 척도를 구성하였다. 이 두 씨앗 척도를 독립변수로, 각 정서 문항을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 회귀를 시행하여 회귀 계수를 구했으며, 이것을 우울과 불안 점수의 배점으로 사용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정서 척도는 좋은 내적 일치도를 나타냈으며, 기존 척도와는 높은 상관을 가지면서도 서로에 대한 상관은 더 낮았기 때문에, 기존 척도만큼 잘 측정하면서도 우울과 불안을 좀 더 잘 변별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실제 활용을 위해서 정서에 대한 문화적 특성을 보완하고, 보다 정교한 통계적 방법을 적용해야 할 것이며, 임상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타당화 연구를 제안하였다.

간이정신진단검사를 이용한 구강작열감 환자의 심리학적 분석 (Psychological Analysis of BMS Patients through the SCL-90-R)

  • 장용석;태일호;고명연;안용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1호
    • /
    • pp.49-57
    • /
    • 2008
  • 저자는 2006년부터 2007년까지 부산대학교병원 구강내과 구강안면동통클리닉에 내원한 외래환자중 BMS환자 59명과 대조군으로는 저자의 클리닉에 내원한 치과신환 94명과 일반시민 92명을 대상으로 간이정신진단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BMS환자군, 치과신환군, 일반시민군은 정상범위내에 있었다. 2. BMS환자군은 HOS척도, PHOB척도에서 낮은 척도를 보이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PAR척도, PSY척도에서 가장 낮은 척도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었다. 3. BMS환자군의 남성에서는 HOS척도에서, 여성에서는 PHOB척도에서 가장 낮았다. 4. BMS환자군의 여성척도군에서 SOM척도, O-C척도, DEP척도, ANX척도, PSY척도에서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5. BMS환자군의 급성군과 만성군으로 비교하였을때 별다른 점이 관찰되지 않았다.

한국판 아동용 Luria-Nebraska 신경심리 검사의 표준화 연구 I: 척도 제작, 신뢰도 및 뇌손상 진단을 위한 규준 산출 (STANDARDIZATION STUDY FOR THE KOREAN VERSION OF THE LURIA-NEBRASKA NEUROPSYCHOLOGICAL BATTERY FOR CHILDREN I : SCALE CONSTRUCTION, RELIABILITY & NORMS FOR THE KOREAN VERSION OF LNNB-C)

  • 신민섭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5권1호
    • /
    • pp.54-69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아동용 Luria-Nebraska 신경심리 검사(LNNB-C)에 대한 한국 표준화 연구의 일부로, 한국판 LNNB-C를 제작하고 각 척도별 신뢰도 및 뇌손상 진단을 위한 규준을 산출하였다. 한국판 LNNB-C를 제작하고 신뢰도 및 뇌손상 진단을 위한 척도별 T점수를 산출하기 위해, 규준 집단으로 서울과 춘천에 거주하는 8세에서 12세 범위의 정상 아동 147명(남아 74명, 여아 73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신뢰도 검증을 위해 포함된 임상 집단에는 뇌손상 아동이 19명, ADHD 아동이 16명, 그리고 소아정신과 장애 아동이 16명이었다. 한국판 LNNB-C의 채점자간 채점의 일치도는 96.3%로 매우 높은 펴이었고, 본 연구에서 산출된 각 척도들에 대한 신뢰도 계수 ${\alpha}$의 범위는 .91에서 .51로, 미국의 연구 결과와 유사한 내적 일치도를 보여주었다. 뇌손상 진단을 위한 규준을 산출하기 위하여, 정상 규준 집단의 척도별 원점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각 척도점수를 평균이 50이고 표준편차가 10인 T-점수로 전환하였다. 주어진 연령에서 정상으로 간주될 수 있는 연령별 평균 LNNB-C 척도점수를 예측하기 위해, 규전 집단의 LNNB-C 11개 임상 척도에 대한 평균 T점수를 산출한 후, 이렇게 산출된 평균 T점수와 연령을 종속 변인과 독립 변인으로 하여, 주어진 연령에서 기대되는 정상 아동의 평균 T점수(임계 수준)를 예측하는 직선 회귀 방정식을 산출하였다. 이때 11개의 임상 척도와 1개의 병리 척도중에서 임계 수준을 넘어서는 척도의 수가 3개 이상일 때 뇌손상을 시시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한국판 LNNB-C 문항 제작상의 어려움과 LNNB-C 척도 수행상에서 한국 규준 집단과 미국 규준 집단의 아동들이 보인 문화적인 차이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설문 응답에 대한 신뢰도를 반영한 K-척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K-scale reflecting the confidence of survey responses)

  • 박혜정;피수영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1호
    • /
    • pp.41-51
    • /
    • 2013
  • 정보화시대에 인터넷 중독의 심각성은 정보화 사회의 큰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인터넷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정보화의 역기능도 증가하고 있어 인터넷 중독은 사회적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초고속 무선인터넷 서비스 보급 및 넷북, 스마트 폰 등의 인터넷 접속기기가 더욱 다양화됨에 따라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검사 척도인 K-척도의 진단기준도 시대변화에 따라 변화가 요구되었으며 2012년 3월에 K-척도의 진단기준이 변경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2012년 변경된 K-척도의 기준으로 경북지역 대학생들의 인터넷 중독 실태와 K-척도 특징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K-척도에서 중독 진단을 위한 조사방식은 응답자가 직접 자신의 중독증상을 주관적 판단에 의해 응답하는 설문방식이므로 응답자의 고의적인 사실 숨김으로 인해 응답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응답오차를 줄이기 위해 변경된 K-척도에 응답자에게 설문 응답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신뢰도 값을 추가적으로 입력하여 분석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한다.

인터넷 주활동 분석을 통한 사용자의 인터넷 중독진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r's Internet Addiction Diagnosis by Analyzing Internet Main Activities)

  • 김희재;김종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35-45
    • /
    • 2011
  • 전 국민의 인터넷 이용율 향상과 유비쿼터스 기술의 확산으로 인터넷 중독은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하지만, 한국형 성인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척도인 K-척도는 사용자의 특성을 구분하지 않는 일반적인 진단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직무 연관 또는 직무와 무관하게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기본적인 인터넷 이용 패턴을 취득하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사용자의 직무 무관한 인터넷 활동을 기반으로 인터넷 중독을 진단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솔직하게 인터넷 중독 문항에 표시하는 것을 꺼리는 인터넷 이용자에게 기본적인 인터넷 이용 패턴만 요구하여 K-척도에서 발견되지 않는 숨겨진 인터넷 중독자를 찾을 수 있음을 SPSS 통계 분석 도구로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