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진공여과

Search Result 5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Study of Factors for development of Advanced Media filter for Ballast water Treatment (밸러스트 수 처리용 메디아 필터 개발을 위한 여과특성에 관한 연구)

  • Park, Seon-Jeong;Lim, Jae-Dong;Kim, Dong-Geun;Kim, In-Soo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2 no.6
    • /
    • pp.499-503
    • /
    • 2008
  • As the conference result of MEPC in IMO, development of ballast water management system corresponding to newly established ballast water management standard (D2 regulation) of shipping is being made an active progress over the whole world. The ballast water management system should treat particular material of more than $10{\mu}m$ in high capacity of more than 500t per hour in the event of filtration process. Also, it is very difficult to develop a practical management system since a limited element which a narrow space of the ship should be designed in the minimal volume is assumed. Therefore, the study promoted a study on the next generation auto back wash media filter to overcome such a limited element. Also, the study performed pressure and flux measurement test followed by thickness of each filter medium for filtration by each size to grasp a relation between absorption and pressure at the time of vacuum filtration and mechanical analysis and turbidity change observation of filtered water after vacuum filtration.

Preparation of potassium hexathiocyanatochromate (Potassium hexathiocyanatochromate (III)의 제조에 관한 실험)

  • 최종인
    • YAKHAK HOEJI
    • /
    • v.13 no.1
    • /
    • pp.38-42
    • /
    • 1969
  • Chloropentammine chromium(III) chloride를 출발물질로 하여 여러가지의 thiocyanatoammine계 착화합물을 합성하는 실험에 있어서 그 수득량이 예상보다 매우 적고 그 염의 모액이 농적자색이라는 점으로 보아 그 모액중에 어떠한 다른 착화합물이 다량 형성되어 있으리라고 추측하여 그 분리를 시도하였다든바 미려한 적자색의 결정을 얻었다. 그리고 분석에 의하여 이 물질이 potassium hexathiocyanatochromate(III) 임을 증명하였다. Cr$^{+++}$ 의 thiocyanate 착화합물형성에 관하여는 Niel Bjerrm$^{(8)}$에 의한 보고문이 있고 또 이들의 제법으로서는 Roesler$^{(9)}$들에 의하여 Potassium chromium alum에서부터 이 물질을 만드는 방법만이 보고되어 있을뿐이다. 따라서 Chloropentammine chromium(III) chloride에서 부터 이 물질을 만드는 이 새로운 방법이 이러한 화합물들의 제법으로서 앞으로 이용될 수 있는것으로 사료한다. 제조 방법: Chloropentammine chromium(III) chloride 3g을 KSCN 24g, 빙초산 24ml및 물 48ml의 혼합수용액에 현탁시킨 혼합물을 처음에는 잘 교반하면서 가온하고 다음 완전히 용해될때까지 끊인다. 냉각시킨 다음 생성된 증황색의 침반 Thiocyanatopentammine chromium(III) thiocyanate를 여과하고 여액 65ml에 KSCN 50g을 추가하여 완전용해시킨다. 이 용액을 방냉시키면 적자색의 미려한 결정이 석출되므로 이 결정을 여과하여 ethanol로 세척하고 진공 desiccator중에서 건조시켰다. 수득량 1.2~1.3g.

  • PDF

ITER HCCR TBM 헬륨냉각계통 개발을 위한 헬륨공급장치 구축 및 실험계획

  • Lee, Eo-Hwak;Kim, Seok-Gwon;Jin, Hyeong-Gon;Yun, Jae-Seong;Jo, Seung-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465-465
    • /
    • 2014
  • 증식블랑켓모듈(TBM, Test Blanket Module)을 개발하여 왔다. 이 두 증식블랑켓모듈은 모두 헬륨냉각을 기반으로 개발 되어왔으며 이에 따라, 헬륨순환기, 헬륨히터 및 헬륨열교환기 등에 대한 기본적인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후 2012년 고체형 증식블랑켓모듈을 ITER TBM 개념으로 주도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HCCR (Helium Cooled Ceramic Reflector) TBM의 보조계통인 하나인 헬륨냉각계통(HCS, Helium Cooling System)에 대한 개발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는 HCCR TBM의 냉각성능을 만족하기 위하여 8 MPa, 1.5 kg/s 및 $300/500^{\circ}C$ (입구/출구 온도)의 운전조건을 갖는 헬륨냉각계통의 설계를 완료하였다. 설계된 헬륨냉각계통은 HCCR TBM에서 회수된 약 $450^{\circ}C$의 헬륨을 열회수기(recuperator)기와 냉각기를 통해 상온으로 냉각시킨 후, 필터를 통해 헬륨을 여과시킨다. 여과된 헬륨은 헬륨순환기에 의해 가압되어 열회수기를 다시 지나 $300^{\circ}C$ 이상으로 가열된다. 가열된 헬륨은 열회수기를 지나지 않는 상온의 헬륨과 혼합되어 최종적으로 HCCR TBM의 입구온도 조건인 $300^{\circ}C$로 맞추어 HCCR TBM에 공급된다. 이러한 열회수기 중심으로 '${\infty}$' 모양의 자가 교차로 설계된 헬륨냉각계통은 고온영역과 저온영역으로 냉각회로를 구분하여 순환기, 필터 및 각종 계측기의 운전온도 환경을 상온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운전 및 유지보수 관점에서 이점이 있다. HCCR TBM의 헬륨냉각계통 설계 및 핵심 기기를 실증하고, 운전 경험을 쌓기 위하여 헬륨공급장치(HeSS, Helium Supply System)를 헬륨유량기준 1/3 규모(0.5 kg/s)로 구축하였으며, '14년까지 HeSS를 실증규모로 업그레이드 하기 위하여 80기압 환경에서 압축비 1.1, 유량 1.5 kg/s의 성능을 내는 헬륨순환기를 설치할 예정이다. 현재 구축된 1/3 규모 HeSS는 국내 구축된 전자빔 고열부하 시험 장비인 KoHLT-EB (Electron Beam)와 연계되어 HCCR TBM의 일차벽(플라즈마 대향부품)을 검증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얻어진 열수력 DB는 현재 개발중인 핵융합로 안전해석코드인 GAMMA-FR 검증에 활용될 계획이다.

  • PDF

이온빔 식각을 통한 저마찰용 표면 구조 제어 연구

  • Lee, Seung-Hun;Yun, Seong-Hwan;Choe, Min-Gi;Gwon, Jeong-Dae;Kim, Do-Geun;Kim, Jong-G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370-370
    • /
    • 2010
  • 최근 자연모사를 통한 초저마찰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리소그라피, 레이져 가공법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표면구조 제어가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장여과 아크 플라즈마 이온 소스를 이용한 WC-Co 및 SCM 415 금속소재의 표면구조 형상제어를 통해 저마찰 특성을 시도하였다. 자장여과 아크 소스는 90도 꺽힘형이며 5개의 자장 코일을 통해 아크 음극에서 발생된 고밀도($10^{13}\;cm^{-3}$ 이상) 플라즈마를 표면처리 대상 기판까지 확산시켰다. 공정 압력은 알곤가스 1 mTorr, 아크 방전 전류는 25 A, 플라즈마 수송 덕트 전압은 10 V이다. 기판 전압은 비대칭 펄스 (-80 %/+5 %)로 -600 V에서 -800 V까지 인가되었으며 -600 V 비대칭 펄스 인가시기판으로 입사하는 알곤 이온 전류 밀도는 약 $4.5\;mA/cm^2$ 이다. WC-Co 시편의 경우 -600 V 전압 인가시, 이온빔 처리 전 46.4 nm(${\pm}12.7\;nm$)의 조도를 갖는 시편이 5분, 10분, 20분동안 이온빔 처리함에 따라 72.8 nm(${\pm}3\;nm$), 108.2 nm(${\pm}5.9\;nm$), 257.8 nm(${\pm}24.4\;nm$)의 조도를 나타내었다. SCM415 시편의 경우 -800 V 인가시, 이온빔 처리 전 20.4 nm(${\pm}2.9\;nm$)의 조도를 갖는 시편이 20분동안 이온빔 처리함에 따라 275.1 nm(${\pm}43\;nm$)의 조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한 표면 형상 관찰 결과, 이온빔 식각을 통해 생성된 거친 표면에 $3-5\;{\mu}m$ 직경의 돌기들이 산발적으로 생성됨을 확인했다. 마찰계수 측정 결과 SCM415 시편의 경우, 이온빔 처리전 마찰계수 0.65에서 조도 275.1 nm 시편의 경우 0.48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이온빔 식각을 이용한 금속표면 제어 및 저마찰 특성 향상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Manufacturing and Filtration Performance of Microfiltration Metal Membrane Using Rolling Process (압연공정을 이용한 금속 정밀여과막의 제조 및 여과특성)

  • Kim, Jong-Oh;Min, Seok-Hong;Jung, Jong-Tae
    • Membrane Journal
    • /
    • v.17 no.3
    • /
    • pp.174-183
    • /
    • 2007
  •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metal membrane made of only metal mesh and both metal mesh and powder with using rolling process have been studied. In the rolling of metal mesh, selected metal meshes were rolled with the reduction ratio of 10%, 20%, and 30%, respectively. Such rolling process resulted in the decrease of mesh pore size through reduction the cross sectional area of mesh and changing the diameter of mesh wires. Also, it enhanced the filtration ratio of rolled mesh which is almost same as the filtration ratio of upper grade unrolled mesh and the reliability of membrane by making pore size distribution become more uniform. In fabricating metal powder layer onto metal mesh, using PVA(polyvinyl alcohol) as a binder of powder, drying the metal powder layer at $100^{\circ}C$ for 1 hr, and sintering it at $1,000^{\circ}C$ for 3 hr in vacuum were to be optimum conditions for obtaining good quality of metal powder layer on metal mesh with high pore density but no crack. With additional rolling of metal powder layer on metal mesh with 30% reduction before sintering, metal membrane which filtration ratio is about $0.7{\mu}m$ has been successfully manufactured.

Investigation of Amorphous Carbon Film Deposition by Molecular Dynamic Simulation (분자 동역학 전산모사에 의한 비정질 탄소 필름의 합성거동 연구)

  • 이승협;이승철;이규환;이광렬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12 no.1
    • /
    • pp.25-34
    • /
    • 2003
  • Deposition behavior of hard amorphous carbon film was investigated by molecular dynamic simulation using Tersoff potential which was suggested for the interaction potential between carbon atoms. When high energy carbon atoms were collided on diamond (100) surface, dense amorphous carbon film could be obtained. Physical properties of the simulated carbon film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film deposited by filtered cathodic arc process. As in the experimental result, the most diamond-like film was obtained at an optimum kinetic energy of the incident carbon atoms. The optimum kinetic energy was 50 eV, which is comparable to the experimental observation. The simulated film was amorphous with short range order of diamond lattice. At the optimum kinetic energy condition, we found that significant amount of carbon atom were placed at a metastable site of distance 2.1 $\AA$. By melting and quenching simulation of diamond lattice, it was shown that this metastatic peak is Proportional to the quenching rat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hard and dense diamond-like film could be obtained when the localized thermal spike due to the collision of high energy carbon atom can be effectively dissipated to the lattice.

Improvement of Pervaporative Water Flux of Mordenite Zeolite Membrane by Controlling Membrane Thickness (분리막 두께 조절에 의한 모데나이트 제올라이트 분리막의 투과증발 물 투과유속 증진 연구)

  • Yoon, Byung-jin;Kim, Young-mu;Lee, Du-Hyoung;Cho, Churl-Hee
    • Membrane Journal
    • /
    • v.29 no.5
    • /
    • pp.263-275
    • /
    • 2019
  • In the present study, thickness of MOR zeolite membranes was controlled by changing seed size, seeding amount, and aging time of hydrothermal solution, and then effect of membrane thickness on pervaporative ethanol dehydration for 90 wt.% ethanol-water mixture was investigated. First, nanosize MOR zeolite seeds with a diameter of 20 to 30 nm was successfully prepared by planetary milling a laboratory synthesized MOR zeolites and the coating amount was controlled by seed concentration and infiltration volume of coating solution during vacuum-assisted seeding. As seeding amount decreased, membrane thickness was reduced up to around $4{\mu}m$. The MOR zeolite membrane having a thickness of $4{\mu}m$ showed a water/ethanol separation factor of 760 and water flux of $1.0kg/m^2h$. The excellent water flux was due to the reduced membrane thickness which was derived from the nanosize seed.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membrane thickness control by using nanosize seed can be a crucial factor to improve pervaporative water flux of MOR zeolite membrane.

A compact mass spectrometer for plasma ion species analysis

  • ;S.A. Nikiforov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00.02a
    • /
    • pp.185-185
    • /
    • 2000
  • 플라즈마 연구 및 응용에서 플라즈마를 구성하는 이온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은 중요하다. 특히 플라즈마 진단, 박막 증착, 플라즈마 코팅, 플라즈마 이온주입 등과 같은 플라즈마 프로세싱에서 이온들의 종류 구성비율 및 분포는 매우 중요하다. 질량분석기는 대개 큰 규모로 복잡하고 값비싼 경향이 있다. 플라즈마 교란을 최소화하면서 충분한 질량분해능을 갖고 국소적으로 이온들을 분석할 수 있는 간단하고 작은 규모의 값싼 질량분석기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즈마 내에 존재하는 이온을 분석하기 위하여 간단하고 작은 규모의 값싼 프라즈마 이온 질량분석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이온 질량분석기는 ion extraction part, double focusing sector magnet, ion collector로 구성되어 있다. 플라즈마에 잠기는 ion extraction part의 외부 전극에 Al2O3를 코팅하여 플라즈마 교란을 최소화하였다. 이온들의 공간적 분포를 측정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ion extraction part를 이동하여도 질량여과기를 통과한 후에 접속되는 초점의 위치가 Faraday ion collector 에 고정되도록 ion optical system을 설계하였다. Extracting electrode에 의하여 가속된 이온들이 sector magnet에 들어갈 때 평행이 되게 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미세구조를 갖는 Mo grids를 사용하고 immersion lens를 넣어서 이온 광학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extraction electrode와 sector magnet 사이에 보조 electrode를 하나 더 넣어서 extracting electrode와 보조 electrode 사이에 immersion lens를 만들었다. 질량여과기로는 permanent magnet sector와 time-varying electrical field를 결합하여 사용하였다. Extracting electrode에 1kV 정도의 전압을 인가하여 이온들을 가속시키고 sector magnet에 톱니파 형태의 전압을 인가하여 mass spectrum을 얻었다. 이온 질량분석기를 플라즈마 장치에 적용하여 질량분해능 등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Hot cathode discharge와 inductively coupled RF discharge에서 발생된 질소 플라즈마를 구성하는 이온들의 종류와 그 구성비율을 연구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Cellulosic Fiber Filter Using Replacement Liquid in Water-Swollen Fiber with Non-Polar Solvent (Non-Polar 물질 수분치환에 의한 종이필터 개발)

  • Kim, Kwang Soo;Ahn, Kwang Ho;Park, Jae Ro;Kim, Hyun J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5 no.10
    • /
    • pp.743-748
    • /
    • 201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prepare Hanji fiber-filter sheets using replacement liquid in water-swollen fiber with non-polar solvent such as ethanol, methanol and pentane. The experiments were studied on the selection of optimal non-polar solvent and the optimal drying method for wetted fiber and then were to know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repared Hanji fiber-filter sheet. The Ethanol as liquid changer in water-swollen fiber was excellent solvent and the optimal drying method for them was freeze drying served with vacuum pump. The bulk density and porosity of prepared fiber sheet from freeze dryer were 0.11-0.13 g/mL, half of natural dried fiber sheet, and 90%, respectively. The results of SEM observation for the fiber sheet prepared with natural drying or heating drying were shown very close structure of fiber wall in dry state. However, the freeze drying sheet were shown the open structure. So, the head loss of freeze drying sheet was very lower than natural drying and heating drying sheets. From the results of BTEX removal experiments, the sheets dried at water wetted condition was shown more higher efficiency than the fiber sheets dried at solvent wetted con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