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접기초

검색결과 1,807건 처리시간 0.034초

기초 연구 및 기술 동향

  • 기초기술위원회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4년도 발자취(20th anniversary)
    • /
    • pp.227-247
    • /
    • 2004
  • 직접기초(Shallow Foundation)란 상부구조로부터의 하중을 직접 지반에 전달시키는 형식의 기초로써 기초의 최소폭(B)과 근입깊이(D$_{f}$ )와의 비가 대체로 1.0이하인 경우나(Terzaghi, 1943), D$_{f}$ /D$\leq$1-4인 경우에도 직접기초라 정의되었다(Das, 1984). 현재, 깊은 기초보다 이용이 적지만 허용지지력과 허용침하량이 확보되는 지반이라면 깊은기초보다 훨씬 경제적인 설계를 할 수 있는 것이 직접기초이다. 이러한 직접기초의 지지력에 관한 이론적인 기본 개념은 Terzaghi(1943)에 의하여 처음 정립되었고, 그 이후 Meyerhof(1951, 1963), Hansen(1970), Vesic(1973, 1975), Chen(1975) 등에 의하여 각기 다른 지지력 산정식이 제안되었다.(중략)

  • PDF

직접기초와 파일기초로 적용된 이질기초에 대한 수치해석적 평가 (The Numerical Analysis for Different Foundations Constructed by Footing and Pile)

  • 황의석;장경준;탁기열;이종성;김학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985-992
    • /
    • 2009
  • 대형 구조물의 기초 시공 시 구조물의 하부지반이 불균질하거나 경사진 지반 또는 일반토사와 암반이 혼재된 지지력이 급격히 변화하는 구간에서 시공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경제적인 최적의 방안으로 직접기초와 말뚝기초를 혼용하여 사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기초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보수적으로 말뚝기초를 적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소규모의 아파트 기초현장에서는 부분적으로 이질기초가 적용되나 이에 대한 보강이나 안정성 검토는 형식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직접기초와 파일기초가 적용되는 이질기초에 대한 수치해석을 통하여 이질기초 적용 시 기초 및 하부지반에 대한 거동을 평가하여, 이질기초에 대한 적용가능성 여부 및 기초하부에서의 개략적인 거동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 PDF

이질기초의 침하량 및 각변위에 의한 안정성 평가 (The Estimation of Safety By Settlement and Angular Distortion of Different Foundations)

  • 황의석;송치용;박종범;장경준;탁기열;김학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621-628
    • /
    • 2010
  • 대형 구조물의 기초 시공 시 구조물의 하부지반이 불균질하거나 경사진 지반 또는 일반토사와 암반이 혼재된 지지력이 급격히 변화하는 구간에서 시공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경제적인 최적의 방안으로 직접기초와 말뚝기초를 혼용하여 사용하는 방안이 이전 연구에서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직접기초와 파일기초가 적용되는 이질기초에 대해 수치해석을 통하여 보수적인 말뚝과 이질기초의 침하량을 비교 평가하고, 이질기초에 대한 적용가능성 여부 및 기초하부에서의 개략적인 거동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

교량기초 종류 및 지반-구조물 상호작용을 고려한 지진취약도 분석 (Seismic Fragility of Bridge Considering Foundation and Soil Structure Interaction)

  • 김선재;안효준;송기일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129-137
    • /
    • 2020
  • 구조해석을 시행함에 있어 기초는 소성힌지모델로서 고정단으로 간주되고는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초가 고정단일 때, 2m깊이의 기반암에 시공된 직접기초일 때, 그리고 기반암 심도 10m~20m 구간에 시공된 말뚝기초일 때의 기초, 교각, 교좌장치의 변위를 비교하였으며 기초에 가해지는 전단력을 비교하고, 한계 상태에 대하여 손상 확률을 계산하고 비교하였다. 고정단으로 계산되었을때 기초부 변위가 0m에 수렴하였으나, 심도 2m의 기반암 위에 시공된 직접기초는 상대적으로 변위가 발생하였고, 심도 18m의 기반암에 선단부가 관입되도록 시공된 말뚝기초는 더 큰 변위를 보였다. 또한 하부구조물인 기초의 변위가 상부구조물의 변위에도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기초부분에 가해지는 전단력에는 세 가지 경우에 대하여 차이가 미미하였다. 교각 상단의 변위에 끼치는 영향은 직접기초와 말뚝기초간에 차이가 없는 반면, 고정단으로 가정하고 해석되었을 때와는 큰 차이가 있었다.

모형실험을 통한 복합기초의 현장 적용성 평가 (Field Applicability Evaluation of Foundation Combine with Footing and Pile by Model Test)

  • 김학문;장경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729-3744
    • /
    • 2011
  • 토목구조물이 대형화되고 규모가 커짐에 따라 하부 기초 지반 조건도 위치마다 상이하게 나타나게 되어 일부구간에서 기초지반의 불균일성으로 인해 국부적으로 지내력이 부족한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부 구조물의 안정성 확보 차원에서 기초지반이 균질하지 않은 경우에는 가능한 보수적인 기초공법을 적용함으로써 안정성 확보를 그 주안점으로 두고 있다. 직접기초와 파일기초가 혼용되는 복합기초의 경우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여 그 적용성과 안정성이 검증되지 못하고 개략검토를 통한 복합기초의 시공이 적용되고 있는 점이 원인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직접기초와 파일기초가 혼용되는 복합기초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고, 석고와 주문진 표준사, 쇄석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지반을 조성한 실내 모형실험을 수행하여 동일기초와 복합기초의 거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모형실험을 통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복합기초(직접기초+말뚝기초)와 보수적인 말뚝기초 및 전면기초의 거동을 확인하고 지내력이 급격히 변화하는 지반의 경우 기존의 기초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복합기초의 안정성 및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복합기초의 적용시 보수적인 말뚝기초보다 전체적인 침하량이 증가하였으나 그 차이가 미비하였고, 구조물의 부등침하에 대한 안정성평가 결과, 적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PBT에 의한 직접기초의 안정성 평가 (Stability Evaluation of Shallow Foundation by Plate Bearing Test)

  • 기완서;주승완;김선학
    • 지질공학
    • /
    • 제15권4호
    • /
    • pp.423-433
    • /
    • 2005
  • 직접기초의 설계 및 안정성 평가를 위해 편마암 풍화토로 구성된 A, B 대상현장에서 평판재하시험을 실시하여 이론적, 경험적 지지력 공식 및 여러 침하량산정 공식에 대한 비교$\cdot$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편마암의 풍화토지 반에 실시되어진 평판재하시험의 결과를 이용한 효율적인 안정성 평가방법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허용 지지력은 Terzaghi의 이론공식이 평판재하시험 결과에 비교하여 과대하게 산정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접 기초 설계시 국내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Terzaghi-Peck 방법이 침하량이 크게 나타나 안정적인 설계를 하는데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편마암의 풍화토 지반에 실시된 평판재하시험결과 하중-침하 곡선에서 얻어진 지지력으로 안정성을 검토하는 경우 침하량 관점 보다 더 안전측으로 평가되어 짐을 알 수 있었다.

깊은 직접기초의 지반-구조물 상호작용 평가 (Estimation of Kinematic Soil-Structure Interaction for Deeply Embedded Foundations)

  • 김승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105-11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먼저 지표면을 비롯하여 구조물 곳곳에 가속도계가 설치된 깊은 직접기초 구조물 2개를 선정하였다. 이어서 구조물에 기록된 실지진 데이터를 사용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Transmissibility 함수를 사용하는 기법으로 기초 위치에서와 자유지표면에서의 지반운동 사이의 차이를 산정하였고 실지진기록을 사용하여 산정된 이 변환함수를 기존의 간편식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비록 강성 기초저면, 연직으로 전파되는 지반운동을 가정하는 간편식의 전제조건은 실제 조건과 차이가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지진기록으로부터 산정된 변환함수와 매우 양호한 유사성을 보여주므로 간편식을 설계실무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시멘트밀크 고결체 위에 안치된 구조물기초의 이론적인 지지력 공식 제안 (Proposal of the Theoretical Equation of Structural Foundation Resting on Harden Cement Milk)

  • 박영호;육정훈;김낙영;임유진;최진오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58-666
    • /
    • 2005
  • 시멘트밀크(저압이나 고압에 의한 선단확근말뚝공법)나 쏘일시멘트(SIP말뚝공법) 위에 안치된 말뚝기초의 선단지지력과 확대기초를 지지하는 시멘트밀크 고결체 기둥 기초의 연직지지력 공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총 14개의 시험체에 대하여 정재하시험 및 하중전이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고결체 주변지반의 구속효과가 없는 8개의 시험체는 말뚝선단보강형태와는 무관하게 말뚝선단 아래의 시멘트밀크 고결체의 강도와 면적이 클수록 크게 나타났으며, 평균구속계수는 자유표면의 영향으로 1 보다 적은 0.43(D+1)이었다. 그리고 고결체 주변지반의 구속효과를 받는 6가지 지반조건에서 설치된 말뚝의 구속계수는 말뚝선단 아래 시멘트밀크 고결체를 주변지반의 구속효과로 1 보다 큰 평균 2.1의 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지반의 구속효과를 고려한 말뚝기초와 직접기초 아래에 설치된 시멘트밀크 고결체의 이론적인 (선단)지지력 공식을 제안하였다.

  • PDF

초음파 연료 공급장치를 이용한 EFI방식의 연료분무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uel spray for EFI type using the ultrasonic fuel feeding system)

  • 윤면근;류정인
    • 오토저널
    • /
    • 제16권6호
    • /
    • pp.16-21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연료의 핵심기술인 분사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연료의 고압분사와 초음파 에너지 공급기술을 이용하여 연료의 미립화를 시도하고 EFI연료 분사방식에서 초음파 공급장치를 개발하여 추후 직접 분사식 초음파 무화장치의 개발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 직접 분사식에서 문제시되어지는 분사 초기 또는 분사 말기의 분사연료 미립화의 분사 전구간에서의 분사연료의 미립화를 시도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 PDF

응결 시간차를 활용한 매스 콘크리트의 수화열 조정 공법 (A Method on the Control of Hydration Heat of Mass Concrete Considering Difference of Setting Time)

  • 심보길;윤치환;오선교;최주석;한천구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9-52
    • /
    • 2002
  • 종전의 경우 건축물의 기초 구조는 직접 기초 및 말뚝 기초 등이 많이 활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말뚝 기초의 경우 소음, 진동 등의 환경 문제가 중요시됨에 따라 대부분 매트 기초로 시공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따라서, 기초 부분의 매트 콘크리트 시공은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건물의 하부구조를 안전하게 지탱하게 하는 역할은 만족되었지만. 두께가 80cm를 넘어 매스 콘크리트로 되는 경우가 많아 수화열에 의한 균열 문제 등은 콘크리트의 품질 확보에 있어 새롭게 해결해야만 하는 중요한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중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