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장인의 외모관리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직장인의 외모관리를 위한 프로페셔널 이미지의 개념 연구 (제2보) (A Study on the Professional Image Concept for Appearance Management in the Workplace (Part II))

  • 유희;최선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952-965
    • /
    • 2012
  • This study verifies the constituents of the professional image by a quantitative method that follows previous qualitative work to clarify the conceptual structure of the professional image for appearance management in the workplace. This study used on-line and off-line data from a positive sampling that involved 1,056 male and female workers engaged in 10 occupational class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stituents of a professional image include openness, leadership, harmonious relationship, and financial power, all of which demonstrated a high interrelationship. Seco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vorable factors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category. It is important to strategically manage the professional image in consideration of effective image factors and related appearance attributes.

직장인의 외모관리를 위한 프로페셔널 이미지 개념 연구 (제1보) (A Study on the Professional Image Concept for Appearance Management in the Workplace (Part 1))

  • 유희;최선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742-1753
    • /
    • 2010
  • This study clarifies the importance, advantages, and constituents of the professional image by appearance management in the workplac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8 participants who have over 8 years experience in their respective fields. The transcripts of the interview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a card classification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fessional image by appearance management is important, because there is a special treatment by image in interaction on business. Second, the advantages of the professional image were to achieve a career opportunity,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btain special treatment or protection from a biased angle, and increase business reliability. Third, the constituents of the professional image were conscientiousness and self-management skills, assertive and open attitudes, leadership, interpersonal skills, customer-satisfaction spirit, expert knowledge and skills, and confidence in the business results.

직장인의 직업특성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의 차이 (Differences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Workers)

  • 유희
    • 복식
    • /
    • 제67권2호
    • /
    • pp.17-3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empirically the factors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 differences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variou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degree of efforts to manage appearance for workers.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1,056 male and female workers in 10 occupational categories in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alyses of variance (ANOVA) and chi-square tes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of worker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consist of 'appearance management for decora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for a good feeling'. Workers perform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for a good feeling more tha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for decoration.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f the workers according to occupational categories, the size of the organization, the presence of the dress code in the workplace.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anagement behaviors of workers by gender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urth, the largest number of monthly average expense for appearance management was 100,000~300,000 won (44.1%), and the largest number of daily average time for appearance management was 30 minutes~1 hour (45.5%). This study presents the tendency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workers and helps the marketer in the appearance industry understand the target customer clearly.

미디어 및 외모관심도가 직장인의 외모관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dia and Appearance Concern on Appearance Management of Workers)

  • 홍병숙;백인선;이은진;박성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24-63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a degree of media and appearance concern have an effect on appearance management of workers, and to analyze difference of appearance management with worker's men and women. A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 to October 2 in 2006, among worker's men and women. The 538 subjects were used to statistics,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wer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a degree of media concern factors were determined to be media-advertisement concern, media-information concern. And a degree of appearance concern factors were determined to be appearance-styling concern, appearance-management concern. Second, a degree of media and appearance concern factors had an effect on appearance management of workers. Therefore, the more a degree of media and appearance concern was higher, the more appearance management was higher. Third, worker's women than men were shown to have many concern about media, appearance concern and appearance management.

남성들의 외모관리 정보수용도에 따른 추구가치와 뷰티서비스 융합마케팅 연구 (A Study on the Convergence Marketing of Pursuing Value and Beauty Service in Accordance with Men's Acceptance of Information about Beauty Care)

  • 김혜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569-578
    • /
    • 2015
  • 남성들도 외모 추구스타일 변화, 그리고 외모관리행동과 그 추구가치에 상당한 변화가 나타났다고 보며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가 대두되었다. 이를 위해 남성들의 외모관리를 위한 정보 수용도와 이에 따른 추구가치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울거주 직장인 남성 약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섯 가지 외모관리행동의 실용적 가치에 대한 추구 정도가 가장 높고, 미적 가치는 다른 두 개의 가치에 비해 외모관리행동 유형에 따라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피부관리 양식의 수용도는 다른 양식과는 달리 사회문화적 가치, 실용적 가치, 미적 가치 모두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적가치 추구의 소극성과 실용적 가치와 사회문화적 가치의 중시 경향으로 나타났다. 헤어관리는 실용적 가치에 의해, 성형수술은 미적 가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양식 부분에서는 피부관리 수용도만이 복합적 가치 추구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 양식별 마케팅으로는 헤어관리는 대규모 마케팅 캠페인이 오히려 효과적일 수 있으며, 성형 수술에 대한 비즈니스에 대해서는 좀 더 심미적 차원의 캠페인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신체이미지가 외모관리행동,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성인남성을 대상으로- (Body Image Management Behavior, Self Respect, the Influ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 - For Adult Males-)

  • 안채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620-631
    • /
    • 2019
  • 현대 사회에서는 남녀를 불문하고 외모관리가 중요한 사회적인 영향력과 경쟁력으로 대두되면서 외모관리의 중요성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다. 외모관리행동은 전통적으로 여성을 중심으로 받아들여지고, 거의 모든 소비시장의 주체가 여성이라는 인식이 최근까지 확산되어져 왔으나 1990년대 이후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의 변화와 여성들의 사회 진출로 인해 독립적인 성향이 강해지면서 남녀의 지위와 역할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남성들은 여성적 영역에 있어서 과거보다 긍정적인 시각과 포용적인 태도를 보이기 시작했으며, 남성들도 자신의 외모를 가꾸고 자신을 잘 표현하기 위해서 외모관리행동에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여성의 전유물로만 여겨졌던 화장품 모델에서도 남자가 등장하는가 하면 그루밍족, 노무족, 로엘족 등 연령대에 상관없이 외모에 관심을 갖는 남성 인구가 증가하고 더 나아가 직장인 남성들에게 외모는 승진이나 연봉 등 직업적 성취를 위한 경쟁력 요소라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사회생활의 주체인 남성들은 호감 가는 외모와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하여 후광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는 두 가지 면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외모관리를 통하여 남성의 매력성을 증가시키며 그로 인한 스스로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사회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어 이는 업무 성취도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남성 고유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심리적으로 안정되어 사회적인 승인에 대한 의존도가 적으며 의복의 심미성을 중요시하게 되어 외모 관리행동력이 높아진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따라 자기 자신에 대한 외모평가와 신체만족도가 자아존중감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연구결과 확인하였으며 대인관계형성에도 유의한 영향을 준다고 규명하였다.

라이프스타일과 자기표현욕구가 비건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정인;허철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7-191
    • /
    • 2022
  • 최근 기초화장품 트렌드로 클린 화장품, 비건 화장품 등이 브랜드별로 새롭게 출시되고 시장내 성장하고 있다. 한동안 화장품의 성분에 대한 관심과 영향이 커지면서 기능성화장품, 코스메슈티컬화장품, 더마화장품들이 신뢰를 얻고 인기가 있던 가운데, 효능 외의 요소를 소구하는 브랜드와 제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중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에 있어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가치의 상관관계가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고 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ESG가 강조되는 사회 분위기 속에 클린 화장품 또는 비건 화장품의 소비가 일종의 자기표현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역할로써의 관계가 있는지도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기초 화장품을 사용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과 자기표현욕구가 비건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소비가치를 매개변수로 하여 라이프스타일과 자기표현욕구와 구매의도 간의 영향을 살펴하고자 한다. 독립변수는 라이프스타일의 하위변수인 외모관리 지향형, 질적건강추구형으로 구분하였고, 자기표현욕구를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대학생, 직장인, 주부등 20대부터 40대까지 연령층을 대상으로 진행하여 실증분석에 사용할 예정이다. SPSS v22.0을 사용하여 3단계 매개모형을 기반으로 회기분석할 예정이다.

  • PDF

현대 여성의 직업군에 따른 헤어스타일 유형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airstyle Types and Preference according to Occupational Groups of Modern Women)

  • 장율희;박장순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71-77
    • /
    • 2022
  • 현대 사회의 직장인은 원만한 인간관계와 타인과의 경쟁에서 밀리지 않는 직장 내의 승진을 위한 외모 관리가 간과될 수 없는 현실이다. 이러한 사회적 추세에 따라 헤어스타일을 포함한 직장인들의 외모 관리 및 인식에 대한 미용학적 심층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성 항공사 승무원, 여성군인, 여성 스포츠인, 여성 법조인, 여성 간호사의 직업인을 대상으로 연령, 결혼 여부, 학력, 직업 등으로 분류하여 집단 간 차이를 교차분석하여 헤어스타일 유형과 선호도에 대하여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각 직업군 여성에 따라 본인의 현재 헤어스타일 유형 및 모발 질감, 현재 사용하는 헤어스타일링 제품의 용도, 개인적으로 평소 선호하는 여성 헤어스타일 및 헤어컬러 등 각기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용 마케팅 시장에서의 고객 니즈를 충족시키는 뉴모드 아이템 개발과 고객 수요조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리라 사료한다.

Analysis of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lothing Lifestyle of the New Forty Generation

  • Bok, Mi-Jung;Hong, Eun-Si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151-158
    • /
    • 2020
  • 본 연구는 30대에서 50대 남성 직장인 394명을 대상으로 의생활 라이프스타일을 유형화 한 후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자료를 처리하기 위해 PASW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k-평균 군집분석, 일원분산분석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의생활 라이프스타일은 '패션 리더형(22.3%)', '가격 민감형(12.2%)', '패션 무관심형(27.9%)', '놈코어 패션형(37.6%)' 등 4개의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의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사회경제적 특성에서는 연령, 결혼여부, 직업, 월평균 가계소득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의생활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의복 구매 행동에서는 월평균 외모 관리 비용, 정장 소유 여부, 월평균 의복 구입 비용, 평균 정장 구입 비용에서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